중국의 역사 침탈(侵奪)

BC 28세기 요하문명의 濊貊族이 남하 하여 夏, 商, 周를 건국하면서 황하문명을 일구었으며, 鮮卑族이 秦, 漢, 隨, 唐을 건국했습니다. - 기본주제 참조

동아시아 역사

후기 고분시대를 전개한 백제사람들 이주 물결의 '타이밍'

자연정화 2018. 6. 15. 11:00

후기 고분시대를 전개한 백제사람들 이주 물결의 '타이밍'

Timing of the Kofun Wave from Paekche

 

자료출처 : <업코리아> 2005. 06. 10. 홍원탁의 동아시아 역사 바로보기

 

소(小)빙하기의 종결과 더불어 장기간 발생한 극심한 한발로, 4세기 초, 한반도 남부 사람들은 새삼 일본열도의 그들 먼 친척과 합류하려 했을 수 있다. 가야 사람들의 새로운 이주 시도는 초기(300-375) 고분문화의 전개와 일치한다. 다른 한편, 한강 유역의 백제 사람들은, 남서쪽의 마한을 정복하고(369년), 그 일부는 4세기 말경 일본열도로 건너가 후기(375-675) 고분문화를 전개했다. 대규모 인공 저수지와 U자형 철날을 둘러씌운 나무 쟁기, 삽 등을 사용하는 백제의 선진 농경기법 덕분에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면서, 대량의 노동력이 전통적인 논 농사로부터 방출돼 거대 분묘를 건설하는데 동원될 수 있었다. 타타라-부키 초기 형태의 철 생산 방법은 일본열도에서 6세기 후반 사철(砂鐵)이 최초로 발견됐을 때 도입된 백제(石帳里식) 제철공법이다. 본 연재는 영문과 국문번역을 동시에 제공한다. Text In PDF .../편집자 주

 

 

 

Timing of the Kofun Wave from Paekche

why the late fourth century?

 

Wontack Hong

Professor, Seoul University

 

“Timing” of the Kofun Wave from paekche to the japanese islands

 

I have tried to explain the timing of the “Yayoi wave” from the Korean peninsula by the abrupt commencement of a Little Ice Age ca. 400 BC that, with some time lag, induced the Pyun-han (Kaya) people to seek for a warmer and rainier place across the sea. Well then, how do I explain the timing of the “Kofun wave” from the Korean peninsula? What made the Paekche people suddenly cross the Korea Strait in the late fourth century? Was the appearance of conquerors (such as King Keun Chogo or Homuda) a purely historical accident or a product of a changed environment? Is it possible to establish a causality that looks more consistent with Korean history than that of Ledyard (1975)? I shall offer a motivation of sorts for the timing of the Paekche crossing, albeit this is a hypothesis impossible to test.

 

In the aftermath of the Little Ice Age, a series of plagues or some disastrous irregularities in climate such as frequent droughts could have occurred in the eastern extremity of the Eurasian continent.1 According to Lamb (1995: 168), the period of drought had two maxima, not only in the Mediterranean but also far to the east into Asia, around 300-400 AD and 800 AD, and such a drought could have devastated the places where agriculture had been carried on with the aid of elaborate irrigation works. Such an abrupt change in climate may well have had a serious impact, also, on the Paekche farmers around the Han River basin. 2

 

The following are the records of Samguk-sagi on droughts and famines in Paekche. 3 There was a drought in the spring of 316, and crop damage due to desert locusts in July 321. In 331, severe droughts in spring and summer dried up the river, and the famine resulted in the practice of cannibalism. There was a spread of an epidemic in 380. In 382, there was a severe drought in spring, rain did not fall until June, and the starving people sold their own children. In 386, frost formed in July and damaged crops. A severe drought in summer 402 dried out rice sprouts, and the King of Paekche offered prayers for rain. The Annals of Silla also record droughts and famines in 302, 313, 317, 372, 381, 397 and 401, and also crop damage due to desert locusts in July 389 and in 399

 

Due to the long spell of drought following the Little Ice Age, the Kaya farmers on the southern shore of the Korean peninsula could have renewed, by the turn of the 4th century, their emigration effort into the Japanese islands to join their distant cousins (commencing the Early Tomb culture, circa 300-375), while the more innovative farmers led by the martial rulers of the Paekche State at the Han River basin could have decided to conquer the Ma-han in the southwestern quarter of the peninsula (in 369), and then to branch off in the direction of the Japanese islands in the late fourth century (commencing the Late Tomb culture, circa 375-675). They could have anticipated, quite correctly, that their advanced agricultural technology would pay them better in the southern peninsula, but much more handsomely in the warmer and rainier Japanese islands.

 

Building Gigantic Tombs: the late tomb culture

 

The Pyun-han (Kaya) people, who had crossed over the sea from the southern peninsula to the Japanese islands, had commenced the rice-farming Yayoi era (300 BC-300 AD) together with the Ainu and Malayo-Polynesian aborigines. By the turn of the fourth century, possibly coinciding with some fresh inflow of Kaya people, the Yayoi people began to construct the up-to-date Kaya-style tombs on hilltops, looking down on rice paddies. The Paekche conquerors, who arrived at the Japanese islands by the end of the fourth century, were duly impressed by the native burial practices. The new rulers started to build dramatically exaggerated gigantic tombs on level plains, surrounding them with moats, earth embankments, and small repository tombs for funeral artifacts. But how did they manage to build on such a scale?

 

The Little Ice Age (that began at around 400 BC) had induced the Kaya people to seek a warmer and rainier place across the sea. While the southern peninsular wet-rice farmers had tried to resolve the sudden climate change by moving south to Kyūshū, the middle peninsular farmers cultivating rice (around the Han River basin) below the millet-barley line seem to have tried to resolve the problem by time-consuming methods of developing rice strains for the changed climate, constructing large irrigation

ponds, digging deep and long canals to divert river water, and clearing the heavy soil with iron-edged (in U-shape) wooden hoes and spades to expand the irrigated paddies.

The Yayoi farmers in the Japanese islands, just like their peninsular Kaya cousins, had been cultivating rice either on a natural marshland, digging canals for drainage, or on a low terrace of dry land above the swampy lowland, supplying water by canal from the natural swampy fields which rainfall submerged under water throughout the year. 4 The Paekche farmers, however, brought in more advanced agricultural techniques that systematically utilized the large man-made reservoirs and deep canals, and extensively used the sharpened iron sickles, plows, and wooden spade and hoes armed with U-shaped iron edges. 5

 

With the beginning of the Iron Age (ca. 400 BC), the entire Liao-dong area and the Korean peninsula north of Cheong-cheon River started to use iron farming tools. In the southern peninsula, however, wooden agricultural tools dominated even until the first century BC, and the iron sickles started to appear only by the beginning of the first century AD.6

 

The U-shaped iron edges for wooden hoes and spades appeared in the Chu State during the last years of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722-481 BC), and then spread into North China and eventually to the Korean peninsula. The U-shaped iron edges appeared in the northern peninsula by the early first century, and began to appear in the south by the third century, first in the Paekche area of middle peninsula and then eventually in the Silla and Kaya area further south. It was during the third and fourth centuries that the middle peninsular farmers began to utilize various new iron implements and also irrigation ponds, drastically changing the agricultural technology. There followed some native innovations in farming tools around the Han River basin. The U-shaped iron shovel fittings (as well as iron plowshares) are recovered from the fourth century sites of Paekche.7 Silla was a little bit late in plowing.8

 

In the Japanese islands, hoes and spades with U-shaped iron edges are discovered only from the Late Tomb Period (5th-8th century) sites, and never from the Yayoi or the Early Tomb Period sites.9 It was the “fourth century” Paekche people who brought the idea of iron shoes folding around wooden blades into the Japanese islands. The U-shaped iron edges for wooden hoes and spades could bite more deeply into the earth, dig deeper irrigation ponds and ditches (piling up more earth for dams), enable the clearance of land with heavy soil, and hence enable more land (far from the naturally swampy fields) to be brought into rice cultivation. on the other hand, the large irrigation ponds enabled access to fertile soils at higher elevations.

Kojiki and Nihongi conspicuously record extensive construction of dikes, ponds and irrigation canals, particularly during the reign of Homuda and his son, Nintoku. According to Nihongi, Ōjin let the people who came from the Korean peninsula construct an irrigation pond (ca. 396), and named it, according to Kojiki, the “Paekche Reservoir.” Nihongi records that four more reservoirs were constructed in the eleventh year of Ōjin’s reign (ca. 400). According to Nihongi, an extensive canal system and a large dike named Mamuta were constructed in the eleventh year of Nintoku’s reign, overcoming enormous technical difficulties. According to Kojiki, Nintoku let the Hata people from Paekche construct another canal and two more reservoirs.10

 

Farris (1998: 82) states that “Archaeological evidence suggests that beginning in the early to mid-fifth century, inhabitants of the Japanese archipelago began to adapt all these new ideas to their environment. Most iron hoes and spades have appeared in tombs in northern Kyūshū, Okayama, and especially the Kinai and are nearly indistinguishable from southern Korean prototypes.” According to Farris (1998: 82), “Scholars have also noted signs of canal digging at the Furuichi site in Osaka on a scale unimaginable to Yayoi tillers.”

 

With greatly improved productivity, a large labor force on the Japanese islands could be released from the traditional rice farming activities and mobilized for the construction of gigantic tombs.11 The skills acquired from digging deep ponds and canals, and piling up a large amount of earth for dams were in no time applied to the construction of large tomb mounds surrounded by moats. The new agricultural technology produced a sufficient surplus to feed a large number of new rulers, administrators, soldiers, craftsmen, and ditch-diggers, and their activities are collectively thought of as “tomb culture.”

 

Iron-making technology brought from Paekche

 

Iron had been imported from Pyun-han of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Yayoi period, but iron tools and weapons were most conspicuously used in large quantities only after the late fourth century. Peter Bleed (KEJ, 1983: 3.332), however, notes that iron-working itself did not become well established in Japan until the 6th century.

 

The early form of tatara-buki technology was introduced when iron sand was discovered in the Japanese islands in the late sixth century. 12 Although iron ore is scarce in the Japanese islands, iron sand is found in abundance. Prior to the late sixth century, iron ingots had been imported from Paekche and Kaya which was fashioned into weapons and implements in the Japanese islands. Leonard Lynn (KEJ, 1983: 7.348) notes that the idea of using hand bellows in iron-making was brought from Korea.

 

Seven iron furnace sites dated to the third and fourth centuries were discovered at Seok-jang-ri (Jin-cheon, Chung-buk) in the 1990s.13 The fact that furnaces for smelting, refining, melting, and forging are all found at those sites suggests that a sort of proto-integrated-steel-mills existed there, and that the iron making and processing were well established in Paekche as early as the third and fourth centuries. Furthermore, the remains show that the (so-called “unique” tatara-buki) iron-making technology adopted later in the Japanese islands was in fact identical to the old Paekche method discovered at these sites. The iron-making process in the Japanese islands was not “introduced from China, by way of Korea (--the Japanese scholars’ most favorate phrase),” but was brought from Paekche.

 

In the Japanese islands, there seems to have been no domestic production of gold ore before 698 or 701, copper ore before 697 or 707, and iron ore before the late sixth century. The refining of gold ore is mentioned in Shoku-Nihongi in the year of 698, and the Taihō-gwannen which commemorates the discovery of gold is 701, the year Shoku-Nihongi records that the island of Tsushima presented gold. Production of copper ore is mentioned for the first time in Shoku-Nihongi in the year 697, and the first year of Wado which commenmorates the discovery of naturally produced soft copper (niki-akagane) in Musashi is recorded as 708. Although iron sand was discovered only by the late sixth century, Nihongi records that 20 bars of iron were presented by the Great Minister Soga to a prince of Paekche in 642. As Farris (1998: 73) has called our attention in relation with iron-making in the Japanese islands, the implications of early Japan’s near-total reliance on Paekche and Kaya states for iron, copper, and gold must be very profound.

 

 

BIBLIOGRAPHY

http://www.EastAsianHistory.pe.kr

http://www.WontackHong.pe.kr

 

ⓒ 2005 by Wontack Hong

All rights reserved

 

[각주]

 

1 Ruddiman (2003) contends that a Little Ice Age can be followed by an outbreak of plague.

 

2 Lamb (1995: 159) quotes Huntington: “it was the drying up of pastures used by the nomads in central Asia that set off a chain reaction of barbarian tribes and unsettled peoples migrating westwards into Europe, where they ultimately undermined the Roman empire.”

The period immediately following the Little Ice Age of 400 BC-300 AD coincided with the demise of the Han Chinese empires and the beginning of the era of Five Barbarians and Sixteen States (304-439) in the eastern world, and a chain reaction over the steppes culminating in the Hunnish invasion (in 375), causing Völkerwanderung and the ensuing split of the Roman empire (in 395) followed by the downfall of the Western Roman Empire (in 476) in the western world.

Most parts of the northern hemisphere south of 35° N became warmer, but suffered drought because the equatorial rains had a restricted seasonal migration north at that time, coinciding with the blooming Mayan civilization in Central America. A curse for some peoples was a blessing for others.

 

3 Samguk-sagi posits intensified armed conflicts between the Mu-rong Xianbei and the Tungusic Koguryeo ca. 293-342, and hence Farris (1998: 77) notes that “the first Korean to use horse in combat were soldiers of Koguryeo doing battle with the Xianbei,” spreading the new technique of using stirrups.

 

4 Imamura (1996: 134-5)

 

5 In old Korean, “sickle” is called “nas” to which “nata” in old Japanese can be traced.

漢部里. . .漢人等 到來居於此處 故號漢部. . .伊和里 所以號手刈丘者. . .韓人等 始來之時 不識用鎌但以手刈稻 故云手刈村 (F: 268-70)

 

6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Properties (NRICP, 2001: 226-7) of Korea has summarized the recent research reports by the experts on Korea’s agricultural history (J. H. Kim, 2000; H. H. Lee, 1998; K. E. Kim, 1987; and K. K. Chee and S. M. Ahn, 1983).

 

7 See also Farris (1998: 81-82).

 

8 Spades and hoes with these edges, together with the greatly improved versions of other farming tools that appeared during the time of Unified Silla, have been extensively used by Korean farmers until the mid-20th century.

 

9 See (Barnes, 1993: 187).

 

10 亦新羅人參渡來 是以. . 命引 率 爲役之堤而作百濟池 (K:248)

 

應神七年 高麗人百濟人任那人 新羅人並來朝 時命…領諸韓人等作池 因以名池號韓人池 (NI: 367)

 

應神十一年 作劒池 輕池 鹿垣池 廐坂池 (NI:369)

 

仁德十一年 掘宮北之郊原引南 水以入西海 因以號其水曰堀江 又將防北河之澇 以築茨田堤 是 時 有兩處之築而乃壞之難塞 時 天皇夢有神誨之曰…二人以祭於河伯 必獲塞則筧二人而得之 因 以禱于河神 (NI: 395)

 

又役秦人作茨田堤及…又作丸邇池 依網池 又掘難波之堀江而通 海 又掘小椅江… (K: 266)

 

Construction of a reservoir or a canal could not have been a simple matter. A monument erected by the Silla people on the occasion of the repair of a reservoir in Yung-cheon, called Luxuriant Dike, sheds light on the magnitude of works involved in such irrigation projects. The Silla dike was built in 536 and repaired in 798. The repair work lasted from the twelfth day of the second month to the thirteenth day of the fourth month, and 136 ax men and 14,140 soldiers from the Dharma Banner, and the recruits from the districts of Jeol-wha (Yung-cheon) and Ap-ryang (Kyung-san) were mobilized during that period.

 

永川 菁堤碑 貞元十四年 … 堤傷故… 了治內之 都合斧尺 百卅六 法功夫 万四千百卌人 此中 典..角助役 切火[永川]押 [梁]二郡 各□人尒起使內之節.. (韓國古代金石文二: 30-31)

 

11 A rapid increase in rice production implies a rapid increase in population also.

 

12 Tatara means foot bellows 踏鞴 (ふみ-ふいご) and buki (from fuki) means air blowing (吹き).

A mixture of iron sand and charcoal fuel was placed inside a clay funace, and was heated by means of blasts of air from a bellow in order to melt iron sand into sponge-like solid iron. Slag would occasionally be tapped. The furnace would be broken up and the main mass of iron would be removed. Makino Noboru (KEJ, 1983: 3.332-3) notes that variations of the tatara process were widely used until the end of the 19th century.

 

13 Initially, a (6.4 meters long and 6.0 meters wide) hole was dug underground, the bottom was layered with clay and charcoal, and then two furnaces (the large one for iron-making and the small one for processing) were installed on top of the layers. The round-shaped clay furnace measures about one meter in diameter, and a tap to deliver slag was installed at the lower side. Both iron ore and iron sand were used in iron-making, and limestone (or calcific materials such as animnal bones and clamshell) was used as a solvent to reduce melting point or carbon. Either iron ax-head mold pieces or minmal remains of slag were found from a melting furnace, while forged iron pieces were found from a forging furnace.

See NRICP (2001: 641-2).

 

 

 

후기 고분시대를 전개한 백제사람들 이주 물결의 “타이밍”

왜 4세기 말인가?

 

홍원탁(서울대 교수)

 

백제로부터의 고분시대 이주(移住) 물결의 타이밍

 

난 대략 기원전 400년경 갑작스레 출현한 소(小)빙하기가, 약간의 시차를 두고, 변한(가야) 사람들에게 따뜻하고 좀 더 비가 내리는 땅을 찾아 바다를 건너가도록 했다고 한반도로부터의 “야요이 이주 물결”을 설명했다. 그렇다면 일본열도에 (후기) 고분시대를 전개한 백제 사람들 이주 물결의 “타이밍”을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도대체 무슨 일이 있었길래 4세기 말 백제 사람들이 갑작스레 대한해협을 건널 생각을 했는가? 근초고왕이나 호무다 같은 정복자의 출현이 순전히 역사적 우연인가 혹은 어떤 환경변화의 산물인가? Ledyard(1975)의 주장보다 좀 더 한국 역사와 일관성이 있는 인과관계를 설정해 볼 수 있지 않을까? 검증해 볼 수 있는 가설은 아니지만, 난 백제 사람들 이주 물결의 타이밍에 대해 일종의 동기를 제시하고자 한다.

 

소 빙하기의 여파로 전염병의 만연, 혹은 극심한 가뭄 같은 재앙의 원인이 되는 기상조건의 불규칙성이 유라시아 대륙의 동쪽 끝에서 발생했을 가능성도 있다. 1 Lamb(1995: 168)에 의하면, 지중해 연안 뿐만 아니라 동아시아에서도 AD 300-400년 사이와 AD 800년경 전후 시기 등, 2차례에 걸쳐 가뭄이 최고조에 달했고, 그 극심한 가뭄은 정교한 수리시설을 이용해 농사 짓던 농경지대를 황폐화시켰을 가능성이 있다. 또 이 같이 급격한 기후 변화는 한강 유역의 백제 농부들에게도 심각한 영향을 줬을 수 있다. 2

 

다음은 백제에서 발생한 한발과 기근에 관한 삼국사기 기록이다. 3 316년 봄, 한해가 있었다. 321년 7월, 사막의 메뚜기 떼가 날아와 농작물에 피해를 줬다. 331년 봄과 여름, 한발이 너무 심해 강이 말랐고, 흉작으로 사람이 사람을 잡아먹었다. 380년, 전염병이 창궐했다. 382년, 6월까지 비가 내리지 않아 봄에 혹독한 한발이 있었고, 굶주린 사람들이 자기 아이를 팔았다. 386년 7월, 서리가 내려 농작물에 피해를 줬다. 402년 여름, 혹독한 한발로 벼가 말라 죽자 백제 왕이 기우제를 지냈다. 신라본기도 302년, 313년, 317년, 372년, 381년, 397년과 401년에 한발과 기근이 있었고, 또 389년 7월과 399년엔 사막의 메뚜기 떼에 의한 농작물 피해가 있었다고 기록한다.

 

소 빙하기 종결과 더불어 장기간 발생한 극심한 한발로 인해, 4세기 초, 한반도 남부 해안의 가야 농부들은 새삼 일본열도의는 그들 먼 친척과 합류하려는 이주 시도를 했을 수 있다. 이 가야 사람들의 새로운 이주 시도가 (대략 300-375년간의) 초기 고분문화의 전개와 일치했을 수 있다. 다른 한편, 전투적인 백제 지배자들 영도 하에 보다 혁신적 한강 유역 농부들은, 한반도 남서쪽의 마한을 정복하고(369년), 일부는 4세기 말경 일본열도로 건너가 (대략 375-675년의 300년 간) 후기 고분문화를 전개했다. 그들은 자신들의 선진 농경기술이 한반도 남부에서 보다 높은 수익률을 거둘 수 있고, 특히 따뜻하고 비가 많이 내리는 일본열도에서는 훨씬 높은 수익률을 올릴 수 있을 것으로 정확히 예상했을 수 있다

 

거대한 분묘의 조성: 후기 고분 문화

 

일찍이 한반도 남부에서 바다를 건너 일본열도로 들어간 변한(가야) 사람들은 아이누와 말라요-폴리네시안 원주민들과 함께 쌀을 재배하는 야요이 시대(BC 300-AD 300)를 전개했다. 4세기 초, 가야 사람들의 새로운 유입과 동시에 야요이 사람들은 최신식의 가야 고분을 논이 내려다보이는 언덕 위에 만들기 시작해, 초기 고분시대를 전개했다. 4세기 말, 일본열도에 건너온 백제의 정복자들은 원주민들 매장 풍습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 새로운 지배자들은 평지에다 극적으로 과장된 거대 분묘를 조성해, 주위에 해자를 파고 흙으로 둑을 쌓아 둘렀고, 작은 부장 묘들을 만들어 제사용 부장품들을 묻기 시작했다. 그러나 그들은 대체 어떻게 그리 거대한 규모의 분묘들을 만들 수 있었을까?

 

기원전 400년경 시작한 소 빙하기는, 급기야 가야 사람들이 보다 따뜻하고 비가 많이 내리는 지역을 찾아 바다를 건너도록 유도했다. 한반도 남부에서 쌀 농사를 짓던 농부들은, 남쪽 큐슈로 이주하는 방식으로, 갑작스런 기후조건의 변화로 야기된 생존문제를 해결하려 했다. 반면, 기장-보리 경작지대 경계선 바로 아래인 한반도 중부 한강 유역에서 쌀을 재배하던 농부들은 (눈 앞에 남쪽 나라 큐슈를 그저 쳐다만 보며 1,000년 이상 살아온 가야 사람들과 달리) 시간이 걸리지만 새로운 기상조건에 적합한 종자를 개량한다거나, 대규모 저수지를 만들고, 수로를 길고 깊게 파서 강물을 끌어들이며, 나무 쟁기나 가래 끝에 U자형 철날을 둘러 씌워 (늪지나 강물에서 멀리 떨어진 고지대의) 단단한 땅을 새로 개간해, 한발이라는 기후조건 변화 문제를 해결하려 했다.

 

일본열도의 야요이 농부들은, 한반도의 가야 친족들처럼, 천연 늪지에 배수로를 만들어 논농사를 짓거나, 혹은 늪지대 주위 저지대의 마른 땅에다 (비로 인해 1년 내내 물에 잠겨있는) 천연 늪지대의 물을 끌어들여 쌀을 재배했다. 4 그러나 백제 농부들은 대규모 인공 저수지와 깊은 수로를 체계적으로 만들어 이용하고, 날카로운 철제 낫이나, U자형 철 덮개를 씌운 나무 쟁기, 가래, 괭이 등을 대대적으로 사용하는 선진 농경 기법을 일본열도로 갖고 왔다. 5

 

기원전 400년경 철기시대가 시작하면서, 요동지역 전체와 한반도의 청천강 이북에서는 철제 농기구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한반도 남부에서는 기원전 1세기까지 대부분 목제 농기구를 사용했고, 철제 낫은 AD 1세기에서야 나타나기 시작했다. 6

 

목제의 가래, 괭이 끝 부분에 U자형 철날을 둘러 씌우는 기법은 춘추시대(기원전 722-481) 말 초나라에서 출현해, 중국 북부로 퍼져나가 결국 한반도로 들어왔다. 1세기 초 U자형의 쇠날이 한반도 북부에 출현했, 3세기에 와 남부에서도 나타나기 시작했다. 먼저 한반도 중부 백제 지역에서 나타났고, 마침내 보다 남쪽인 신라와 가야지역으로 퍼졌다. 한반도 중부의 농부들이 다양한 새로운 철제 농기구와 관개용 저수지를 이용하기 시작하는 등, 농경 기술의 급격한 변화가 생긴 것은 3-4세기 기간 중 이다. 한강 유역에서는 농기구 형태의 토착적 혁신이 있었다. U자형 쇳날을 붙인 삽 또는 쟁기가 4세기 백제 유적지에서 발굴된다. 7 신라는 쟁기의 사용이 약간 늦은 편 이다. 8

 

일본열도에서는 U자형 쇳날을 둘러 씌운 삽과 괭이가 후기 고분시대(5-8세기) 유적지에서만 발견되고, 야요이 혹은 초기고분 시대 유적지에서는 전혀 발견되지 않는다. 9 목제 농기구에 쇠날을 부착해 사용한다는 아이디어를 일본열도에 들여온 것은 “4세기” 백제 사람들이다. 목제의 삽이나 괭이에 U자형 쇳날을 부착하면, 깊이 삽질할 수 있기 때문에, 관개용 저수지 및 도랑들을 보다 깊게 팔 수 있고, 댐을 쌓기 위해 좀 더 많은 흙을 퍼올릴 수 있으며, 굳은 땅의 토지도 쉽게 개간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천연 늪지대에서 멀리 떨어진 땅들도 논 농사에 활용할 수 있다. 한편, 대규모의 관개용 저수지는 고지대의 비옥한 땅을 생산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한다.

 

고사기와 일본서기는, 유난히 호무다와 그 아들 닌토쿠 치세 때, 둑과 저수지, 관개 용수로가 대대적으로 축조된 사실을 기록한다. 일본서기에 의하면 오오진(호무다)이 (396년경) 한반도에서 건너온 사람들에게 관개용 저수지를 건설토록 한 다음, (고사기에 의하면) “백제지(百濟池)”라고 이름지었다. 일본서기는 오오진 11년(400년경)에 4개의 저수지를 더 만들었다고 기록했다. 일본서기에 의하면, 닌토쿠 11년 엄청난 기술적 난관을 극복하고, 광범위한 수로 시설과 함께 마무타라는 거대 제방을 축조했다고 말한다. 고사기에 의하면, 닌토쿠는 백제에서 건너온 하다 씨족을 시켜 또 다른 수로와 저수지 2개를 추가로 건설케 했다. 10

 

Farris(1998: 82)는 “고고학적 증거들을 보면, 5세기 초~중엽 사이에 일본열도 주민들이 이 모든 아이디어들을 자신들 환경에 응용키 시작했음을 알 수 있다. 철제 호미와 삽들은 대부분 북(北)큐슈, 오카야마, 그리고 특히 키나이(畿內)의 고분들에서 발견됐고, 이들은 한반도의 원형과 거의 구분할 수 없다”고 말한다. Farris는 또, “학자들은 오사카 후루이치 지역에서, 야요이 농부들이 도저히 상상할 수 없는 규모로 수로를 판 흔적을 발견했다”고 말한다.

 

백제의 선진 농경기술 덕분에 농업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면서, 대량 노동력이 전통적 논 농사로부터 방출돼 거대 분묘를 건설하는데 동원될 수 있었다. 11 저수지와 수로를 깊이 파고, 대량의 흙을 퍼올려 제방을 쌓으면서 축적한 기술은 곧바로 거대 분묘를 만들고 해자를 두르는데 적용됐다. 새로운 영농 기술은 많은 수의 새로운 지배층과 관료들, 군인들, 기술자들, 땅 파는 인부들을 부양하기에 충분한 잉여 농산물을 생산했고, 이들 모두의 활동을 총체적으로 “고분 문화”라 부른다.

 

백제에서 전래된 제철기술

야요이 시대에도 철덩이를 한반도 변한 지역에서 수입해 철제품을 만들어 사용했지만, 각종 철제 기구와 무기들을 본격적으로 대량 사용하는 것은 4세기 말 이후다. 그러나, Peter Bleed(KEJ, 1983: 3.332)는, 일본열도에서 철 생산 자체가 6세기까지도 확립되지 않았다는 사실을 지적한다.

 

초기 형태의 타타라-부키 제철기술은 일본열도에서 6세기 후반 사철을 최초로 발견했을 때 도입한 제철공법이다. 12 일본열도에는 철광은 아주 희소하지만, 사철은 풍부하게 발견된다. 6세기 말 이전엔 철괴가 백제와 가야에서 수입됐다. Leonard Lynn(KEJ, 1983: 7.348)은, 제철 공정에서 손-풀무를 사용한다는 발상은 한국에서 전파된 것이라고 말한다.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면 석장리(鎭川郡 德山面 石帳里)에서 3-4세기 경에 해당하는 제철과 관련된 유물과 유구가 7개 장소에서 발굴됐다. 제련로(製鍊爐), 정련(精鍊)로, 용해(鎔解)로, 단야(鍛冶)로 등이 석장리 일대에서 발견된 사실은, 제련-정련-단야 등 일련의 종합 철생산 공정들이 한 장소에 모여있음을 의미하는 동시에, 백제에서는 제철과 철가공이 이미 3-4세기경에 확립됐음을 의미한다. 13 이 유물들을 보면, 6세기 말 이후 일본열도에서 사용된 제철 공법이 (“일본 고유”의 방법이 아니라) 석장리에서 발견된 옛 백제 공법이라는 사실을 보여준다. 또, 일본열도의 제철공법은 (일본 학자들의 가장 즐겨 쓰는 어법인) “중국으로부터-한국을 거쳐” 전해진 게 아니라, 백제에서 전래된 것이다.

 

일본열도에서는 698년 혹은 701년 이전엔 금의 생산이 없었고, 697년 혹은 708년 이전엔 동(銅)의 생산이 없었고, 6세기 후반 이전엔 철의 생산이 없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금의 제련은 속일본기 698년 조에 나오는데, 대마도에서 금을 발견한 것을 기념하는 다이호(大寶) 원년은 701년이다. 동의 생산은 속일본기 697년 조에 처음 나오는데, 무사시에서 동을 발견한 것을 기념하는 와도(和銅) 원년은 708년이다. 사철은 6세기 말에야 발견 되는데, 일본서기 642년 조를 보면 소가 대신이 백제 왕자에게 철괴 20개를 선사한 기록이 나온다. Farris(1998: 73)가 철과 관련해 독자의 주의를 환기시킨 것처럼, 야요이와 고분시대에 걸쳐 일본열도가 금, 동, 철 모두를 가야와 백제에 전적으로 의존했다는 사실의 의미는 정말로 심오할 수밖에 없다.

 

 

동아시아 역사 강의: 2-10 (2005. 6. 11)

정리: 강현사 박사

ⓒ 2005 by Wontack Hong

All rights reserved

 

 

BIBLIOGRAPHY

http://www.EastAsianHistory.pe.kr

http://www.WontackHong.pe.kr

 

[각주]

 

1. 지구학자 Ruddiman(2003)은 소 빙하기가 끝난 직후 전염병이 창궐할 수 있다고 말한다.

 

2. Lamb(1995: 159)은 “중앙아시아 유목민들 생존의 터전인 목초지가 말라버리자 야만족들과 새삼 떠돌이 신세가 된 종족들이 연쇄반응을 불러일으켜 이들을 서쪽 유럽으로 향해 이동케 만들었고, 결국 로마제국의 기반을 약화시켰다”는 Huntington의 견해를 인용한다. 400BC- 300AD 에 걸친 소 빙하기의 종결은, 동방에서는 한족 제국들이 멸망하고 5호16국 시대(304-439)가 시작되는 시기와 일치하며, 서방에서는 초원지대에서 야기된 연쇄반응이 훈족의 침입(375)으로 이어져 로마제국이 양분(395)되고, 급기야 서로마제국의 몰락(476)으로 이어지는 시기와 일치한다.

 

소 빙하기가 끝나자, 북반구 북위 35° 아래 대부분 지역이 따뜻해졌으나, 적도 부근에서 형성된 비구름의 북방 이동이 미약해져, 극심한 한발에 시달렸다. 이 시기는 중남미에서 마야문명이 번성하는 시기와 일치한다. 즉 한쪽 사람들에 대한 저주는 다른 쪽 사람들에겐 축복이었다.

 

3. 삼국사기는, 대략 293-342년 기간 중, 모용 선비와 퉁구스 고구려 사이에 벌어진 치열한 전쟁을 기록한다. 그래서 Farris(1998: 77)는 “말을 전투에 처음 사용한 한국 사람은 선비와 싸웠던 고구려 군사들”이었고, 이 과정에서 말등자를 사용하는 새로운 기술이 보급됐다고 말한다.

 

4. Imamura(1996: 134-5)

 

5. “낫”은 옛 한국말로 “나스”였는데, 여기서 옛 일본어인 “나타”가 유래된 것 같다. 하리마 풍토기엔 백제로부터 도래한 아야씨족 사람들이 이주해 와 아야베라는 마을을 만들어 정착하고, 이 지방 사람들에게 최초로 풀이나 곡식을 벨 때 쇠로 날을 만든 낫의 사용법을 가르쳐줬다는 내용의 기록이 나온다.

 

漢部里... 漢人等 到來居於此處 故號漢部... 伊和里 所以號手刈丘者... 韓人等始來之時 不識用鎌但以手刈稻 故云手刈村(F: 268-70)

 

당시엔 쇠붙이를 다루는 대장간 일을 한반도를 지칭하는 가라(韓)의 가누치(鍛)라고 불렀다. 한반도에서 도래한 사람들에 의해 철제 무기와 각종 철제 농사기구를 대량으로 사용하는 후기 고분시대가 전개됐다는 사실을 시사해 주는 것이다.

 

6. 한국 국립문화재연구소(NRICP, 2001: 226-7)는 한국 농업사 전문가들의 최근 연구 성과를 요약했다.(J. H. Kim, 2000; H. H. Lee, 1998; K. E. Kim, 1987; and K. K. Chee and S. M. Ahn, 1983).

 

7. Farris(1998: 81-82) 참조.

 

8. U자형 쇳날을 둘러 씌운 삽과 괭이와 개량된 다른 농기구들이 통일신라 시대에 본격적으로 나타나, 20세기 중반까지 한국 농부들이 광범위하게 사용했다.

 

9. Barnes(1993: 187) 참조.

 

10. 亦新羅人參渡來 是以... 命引 率 爲役之堤而作百濟池(K:248)

應神七年 高麗人百濟人任那人 新羅人並來朝 時命… 領諸韓人等作池 因以名池號韓人池(NI: 367)

應神十一年 作劒池 輕池 鹿垣池 廐坂池(NI:369)

仁德十一年 掘宮北之郊原引南 水以入西海 因以號其水曰堀江 又將防北河之澇 以築茨田堤 是時 有兩處之築而乃壞之難塞時 天皇夢有神誨之曰… 二人以祭於河伯 必獲塞則筧二人而得之 因以禱于河神(NI: 395)

又役秦人作茨田堤及… 又作丸邇池 依網池 又掘難波之堀江而通 海 又掘小椅江…(K: 266)

 

당시 저수지를 만들고 수로를 판다는 것은 간단한 일이 아니었다. 신라 사람들이 영천(永川)의 저수지를 수리하고 난 다음 세운 청제비(菁堤碑)를 보면 이런 관개시설 공사가 얼마나 거창한 사업이었는지 알 수 있다. 이 신라 제방은 536년 건설돼, 798년 수리됐다. 수리 작업은 2월12일부터 4월13일까지였는데, 그 기간 중, 도끼질 하는 기술자 136명, 법공부(法功夫, 촌락을 기반으로 해 조직된 法幢 소속 군인) 14,140명, 그리고 주변의 절화(切火, 영천)군과 압량(押梁, 경산)군에서 잡역부 [...] 여명 등을 동원했다

 

永川 菁堤碑 貞元十四年… 堤傷故… 了治內之 都合斧尺 百卅六 法功夫 万四千百卌人 此中 典... 角助役 切火[永川]押 [梁]二郡 各□人尒起使內之節...(韓國古代金石文二: 30-31)

 

11. 쌀 생산의 급속한 증대는 인구의 빠른 증가를 의미한다

 

12. “타타라”는 발-풀무(踏鞴, ふみ-ふいご), 부키(후키)는 바람을 불어 넣는다(吹き)는 뜻이다. 타타라라고 부르는 노(爐) 내부에 사철(砂鐵)과 숯을 넣고 풀무로 바람을 불어넣어 가열한다. 노의 바닥에 쌓아놓은 숯으로부터 불이 타오른다. 노 안으로 불어 넣는 바람으로 내부 온도가 올라 사철이 스펀지 모양의 단단한 철 혹은 연철(鍊鐵)로 전환된다. 이따금 하부에 설치된 관으로 쇠찌꺼기가 배출된다. 마지막으로 노를 깨, 바닥에 고인 철을 꺼낸다. 소위 타타라 공법의 변형은 일본열도에서 19세기 말까지도 광범위하게 사용했다. Makino Noboru(KEJ, 1983: 3.332-3) 참조.

 

13. 석장리 유물을 보면, 좌우 6.4x6.0미터(m) 크기의 구덩이를 판 다음, 바닥에 점토와 목탄을 번갈아 깔고 그 위에 2개의 장방형(相形) 노를 설치했다. 2개의 노 중 큰 것은 제철로고, 작은 것은 제철 다음 단계의 공정을 위한 노다. 석장리 원형로의 지름은 1.0m 정도며, 점토로 노 벽을 만들고, 경사면 아래쪽으로 철찌꺼기를 배출하는 관을 부착했다. 철광석과 사철 모두 원료로 사용했고, 제련시 용융점을 떨어뜨리고, 탄소 함량을 낮추기 위해 석회석을(조개 껍질, 짐승 뼈 등 석회 물질 등도)사용했다. 용해로에서는 쇠도끼 머리 거푸집 조각(鐵斧范芯片)이 발견되거나, 슬래그가 극소량만 발견됐다. 단야로에서는 단조 철조각(鍛造剝片)이 발견됐다. NRICP(2001: 641-2)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