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역사 침탈(侵奪)

BC 28세기 요하문명의 濊貊族이 남하 하여 夏, 商, 周를 건국하면서 황하문명을 일구었으며, 鮮卑族이 秦, 漢, 隨, 唐을 건국했습니다. - 기본주제 참조

민족의 기원

남아어족(南亞語族)

자연정화 2018. 7. 15. 23:22

남아어족(南亞語族)

 

남아어족 Austro-Asiatic Language Family 南亞語族 (오스트로아시아 어족)

(몬크메르어족 Mon-Khmer Language Family)

 

1. 명칭 : 예전에는 몬크메르어족 (Mon-Khmer Language Family, 孟高棉語族) 이라고 불렀다. 현재는 문다 언어군, 베트남어 등을 포함하여 남아어족 (AustroAsiatic Language Family, 南亞語族) 이라고 부른다.

 

2. 분포 : 주로 동남아시아 및 인도 동북부에 거주.

 

한장/남아/남도/파푸아 동남아시아 언어분포 스케치

 

남아어족 언어분포도-13분파/동남아/인도

 

남아어족 언어분포도-14분파/동남아/인도

 

남아어족 인구

 

몬크메르어군 언어분포도-11분파/동남아

 

3. 분류 : 최근 언어연대학이 측정한 언어학적 유사성을 바탕으로 베트남어와 문다어군 모두 오스트로아시아어족에 속한다는 것이 사실상 입증되었다. 언어 연대학의 통계적 측정기법에 따르면 몬크메르어군이 12개 어파로 갈라진 시기는 지금부터 약 3,000~4,000년 전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1) 몬어 Monic : 약 85 만명 (2004년) / 미얀마에 74만 - 태국에 11만 / 페구왕국의 유민

2) 크메르어 Khmer : 약 1600 만명 / 캄보디아의 국어

3) 바나르 제어 Bahnaric : 약 70 만명 / 라오스 남부 - 베트남 중부 - 캄보디아 동부의 산악지대

4) 베트남 제어 Viet : 약 8700 만명 (Muong 130 만명) / 카투어와의 연관성에 대해선 최근 의문이 제기됨

5) 카투 제어 Katuic : 약 130 만명 (2010) / 라오스 중부 산악지대 / Katu, Bru, So, TaOih 등의 종족 언어

6) 카시 제어 Khasic : 약 113 만명 (2000년) / 인도의 방글라데시 북부 접경지역 / 팔라웅 제어와 유사

7) 팔라웅 제어 Palaungic : 약 180 만명 (2010년) / 미얀마-중국 접경 / 팔라웅족 60만- 와족 100만- 브랑족 20만

8) 크무 제어 Khmuic : 약 60 만명 / 라오스 북부 산악 / 최근 팔라웅어와의 연관성 제기됨.

9) 페어 제어 Pearic : 소멸위기, 캄보디아-태국 남부 국경 (총어·페어어·삼레어·사오크어·앙라크어)

10) 니코바르어 Nicobarese : 약 3 만명, 인도양의 니코바르 제도

11) 아슬리 제어 Aslian : 약 15 만명, 말레이반도 산악지역

12) 문다 어계 Munda : 약 1200 만명, 인도 중동부, 가장 오래된 문헌 기록을 갖고 있다.

 

4. 문법 : 인도어의 강한 영향을 받은 문다어와 중국어의 강한 영향을 받은 베트남어는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의 다른 언어들과는 전혀 다른 특징을 갖게 되었다. 따라서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의 구조에 관한 일반론에서는 이 두 언어를 제외해야 한다.

 

접두사와 삽입사가 풍부한 반면 접미사는 니코바르어군에만 있다. 접두사는 다양한 기능이 있다.

 

표현사 라는 독특한 품사를 갖고 있는데 이것은 감각적인 인상이나 감정을 묘사하는 문장 부사로, 대개 공감각 즉 어느 감각기관이 다른 감각기관에 대한 자극을 감지하는 것을 연상시키는 상징적 표현으로 이루어져 있다. 미묘한 말장난은 이러한 인상주의적 언어 구사를 더욱 다양하게 해주는 요소이다.

 

구문상의 특징은 문장의 주부와 술부를 연결하는 연결사인 BE동사가 없다.

행위자를 주어로 표현하지 않는 구문을 흔히 사용한다.

문장 끝에 붙여서 존경이나 친밀함의 정도, 또는 화자 의견, 기대, 의도의 정도를 보여주는 불변화사가 있다.

 

5. 어순 :

SVO 주어+동사+목적어 (예: I like you 영어와 동일)

SVC 주어+서술어+보어 (예: I am boy 영어와 동일)

보어가 형용사 일 경우 BE동사를 쓰지 않는다. (예: He is very tall > He very tall 한국어와 동일)

한정어가 명사 뒤에 놓인다. (예: That person is his brother. > Person that is brother he.)

 

6. 음운 :

풍부한 모음을 갖고 있다. 한 언어에서 대개 30~35개의 다른 모음이 있는데 이 모음들은 길이에 따라 각각 구별된다. 같은 성질을 지닌 보통 모음과 단모음이 서로 대조를 이룰 수도 있다.

 

음색 또는 음역이 다른 2쌍의 대조적인 모음이 있다. 예를 들면 똑같은 모음을 '끽끽 소리 나는' 음색으로 발음할 수도 있고, '기음(氣音)을 많이 섞은' 음색으로 발음할 수도 있으며, 보통 목소리로 발음할 수도 있다.

 

일부 언어는 일련의 대기음(帶氣音)을 갖고 있다.

몬크메르어군은 공기를 빨아들이면서 흡착하는 소리를 내어 발음하는 내파음(內破音)을 갖고 있다. 비음과 유음 뒤에 성문 폐쇄음이 따라 나오는 경우도 있다.

 

7. 문자 :

몬어와 크메르어의 글자 형태와 표기원칙은 한때 동남아시아에서 사용된 인도 문자를 차용한 것이었다.

 

몬어의 가장 오래된 비문은 6세기의 것이다. 미얀마-타이에 있는 많은 기념비에는 이 시대의 비문이 새겨져 있다. 미얀마인들은 몬 문자를 채택하여 자신들의 문자체계를 개발했다.

 

크메르어의 가장 오래된 비문은 7세기초의 것이다. 캄보디아-타이에 있는 많은 기념비에는 이 시대의 비문이 새겨져 있다. 크메르 문자는 후에 타이어에서 차용되었다.

 

베트남은 1,000년 동안 중국의 속국이었기 때문에 공식적인 경우에는 중국어가 사용되었다. 따라서 처음에는 중국 문자를 수정한 쯔놈문자로 베트남어를 기록했으나, 1650년에 라틴 문자가 도입되면서 차츰 라틴 문자로 베트남어의 독특한 소리와 음조를 나타내게 되었다.

 

널리 쓰이지 않는 언어는 대부분 문자로 기록되지 않았으며 다른 언어들도 최근에야 기록되기 시작했다.

 

8. 어휘 :

고립된 언어를 제외하고는 모든 언어가 다른 언어의 어휘를 많이 차용한 것이 특징이다.

베트남어는 중국어에서 많은 어휘를 차용하였고, 몬어와 크메르어는 산스크리트와 팔리어에서 많은 어휘를 차용하였다.

 

말장난과 다양한 표현을 나타내는 파생어로 어휘가 확장되고 있으며, 어휘는 또한 금기에 따라 계속 변화한다. 예를 들면 금기로 인해 진짜 이름을 말해서는 안 되는 동물을 가리킬 때 별명이나 은유를 사용한다. 그러나 이 새로운 표현도 결국에는 금기시될 것이고 그러면 다시 새로운 이름이 생겨날 것이다. 이로 인해 니코바르어군의 언어에서처럼 밀접한 관계를 가진 언어들이 전혀 다른 어휘를 갖게 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