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역사 침탈(侵奪)

BC 28세기 요하문명의 濊貊族이 남하 하여 夏, 商, 周를 건국하면서 황하문명을 일구었으며, 鮮卑族이 秦, 漢, 隨, 唐을 건국했습니다. - 기본주제 참조

우리는 지금/우리 땅(대마도) 14

日, 1905년 ‘독도 = 한국 땅’ 알고도 강탈

日, 1905년 ‘독도 = 한국 땅’ 알고도 강탈 일본이 독도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는 근거는 1905년 2월 각의(우리의 국무회의에 해당) 결의로 당시 주인 없는 땅이던 독도를 자국 영토로 편입했다는 점이다. 이른바 ‘무주지(無主地) 선점론’이다. 하지만 이는 일본인 역사학자에 의해서도 타당성을 의심..

“‘동해’보다 ‘한국해’로 표기해야”

“‘동해’보다 ‘한국해’로 표기해야” 이돈수 한국해 연구소장, “현재 동해 표기도 병기 아닌 분쟁지역” 미디어다음 / 김준진 기자 이돈수 한국해 연구소장이 그동안 모아온 지도를 펼쳐놓고 설명을 하고 있다. ⓒ미디어다음 김준진 14일 국회 대정부 질문에서 오간 대화 중 하나. 권오을 한나라..

‘독도는 일본땅’ 주장 일본 역사학자 ‘0명’

‘독도는 일본땅’ 주장 일본 역사학자 ‘0명’ [한겨레신문] 2008년 07월 15일(화) 오후 02:22 [한겨레] [한겨레가 만난 사람] 한일 근대사연구 50년 최서면 명지대 석좌교수 논문 한편도 없고, 오히려‘일본땅 아니다’ 4명 ‘영유권 권위’ 에도시대 관찬지도에 독도 없어 “여든이 넘은 늙은이가 일본에 ..

한나라 “대마도는 우리땅, 교과서 수정하겠다”…

한나라 “대마도는 우리땅, 교과서 수정하겠다”… 대마도 역사연구회 발족 (고뉴스=이세찬 기자) 일본의 독도 교과서 명기와 관련해 ‘대마도는 우리 땅’이라는 주장과 함께 역사적 연구를 위한 움직임이 정치권에서 일고 있다. 부산시당 위원장을 맡고 있는 한나라당 김정훈 의원은 10여명의 소속 ..

동국대총도(『輿地圖』) 의 대마도 표기

동국대총도(『輿地圖』) 의 대마도 표기 동국대총도(『輿地圖』) (10149) 목판본, 19세기 전반, 27.0×33.4cm 조선 후기에 민간에서 유행했던 木版本 지도책에 실려 있는 우리나라의 전도이다. 이 木版本 『여지도』책은 간기와 제작자가 명기된 대표적인 경우로서 지도의 서문에 세도유작악 중추상한금호..

대마도가 우리 땅임을 밝히는 고증사료 모음

대마도가 우리 땅임을 밝히는 고증사료 모음 1. 『주서(周書』와『수서(隨書』 대판만(大阪灣)에는 담로(擔魯)와 일치하는 담로도(淡魯島)가 있었다. 일본열도 내에 한국어 계통이 많이 남아 있는 것을 보면, A.D 18년에 공주(熊津)에 도읍한 비류 백제는 처음부터 백가가 되는 많은 세력이 바다를 건너왔..

대마도의 역사와 생태환경이 한국 땅 입증

대마도의 역사와 생태환경이 한국 땅 입증 애증의 섬 대마도 통신사 오가던 교린의 징검다리, 약탈과 정벌에 상처입은 갈등의 진앙 한국인의 역사에서 대마도는 무엇인가. 일본인의 역사에서 대마도는 무엇인가. 일본에 속해 있으되 한반도에 더 가까운 섬. 일본 방송은 하나밖에 안 나오지만 한국 방..

마산시, 제4회 대마도의 날 기념식 가져

마산시, 제4회 대마도의 날 기념식 가져 입력 :송고--> 자료출처 : 마산 연합뉴스 2008.06.19 시청 대회의실에서 500여명 참석 마산시는 역사와 문화적 동질성을 지닌 대마도가 역사적으로 우리 땅이었음을 범시민은 물론 대외적인 역사의식을 고취시키기 위해 제4회 대마도의 날 기념식 및 명사초청 특별 ..

되찾아야 할 우리땅 대마도

되찾아야 할 우리땅 대마도 대마도 최북단 와니우라 해안의 한국전망대에 오르면 부산이 보인다. 저녁에도 광안대교의 불빛까지 선명하게 보인다. 대마도에서는 우리 휴대폰을 쓸 수 있었다. 하지만 “휴대폰이 터지는 곳은 우리의 영토입니다”라는 광고 카피 때문인지, 아니면 대마도에서 우리 휴대폰이 터진다는 스펀지 방송 때문인지는 몰라도 지금은 일본측에서 방해전파를 쏘아 휴대폰을 차단시키고 있다. 부산에서 49.5km, 반면 규슈(九州) 후쿠오카는 147km 떨어진 이곳 대마도는 본디 우리 땅이었다. 이 섬의 웬만한 사찰에는 신라불이나 고려불이나 조선의 범종이 모셔져 있다. 그리고 일본에 볼모로 잡혀간 신라 왕자 미사흔을 탈출시키고 처형당한 박제상의 순국비, 조선 숙종 때 조난당해 목숨을 잃은 조선역관사(譯官使)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