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장. 곤지왕자 왜흥왕 청령천황과 개로대왕 참살
昆支王子 倭興王 淸寧天皇과 蓋鹵大王 慘殺
출처 : 일본사 X-file http://blog.daum.net/daangoon/13304948
[記] 白髮大倭根子命 / [紀] 白髮武廣國押稚日本根子天皇
1. 왜흥왕 청령천황의 즉위
倭興王 淸寧天皇의 卽位
461년, 백제 개로대왕은 동생 곤지왕자를 보내어 왜흥왕으로 세웠다. 개로대왕과 도미부인의 아들인 성천황자가 곤지대왕의 입성을 거부하자 불태워 죽이고 청령천황이 된다.
곤지왕자는 임신한 개로대왕비와 함께 일본에 가서 개로대왕비를 황태부인으로 올렸고, 개로대왕비가 무령대왕을 출산하니 일본 각자궁에서 기르게 하였다.
458년, 15세에 웅략천황을 사로잡은 곤지왕자는 백제로 돌아갔다가 461년에 다시 일본으로 왔는데 18세에 왜흥왕이라고 하였다.
458년부터 일본의 수도에 남아 왜왕의 지위를 누려온 도미 부인의 아들 성천황자星川皇子가 성문을 걸어 잠그고 곤지대왕의 입성을 거부하였다.
곤지대왕은 성을 태워버리고 성천황자를 죽였다.
이때 곤지왕자는 개로대왕비와 동행하였는데, 그녀는 이중천황의 딸인 반풍황녀飯豊皇女로서 임신중이었고, 무령대왕을 일본에서 출산하였다.
반풍황녀의 궁은 갈성葛城의 아름다운 각자궁角刺宮이었다.
지금 각자신사角刺神社로 남아있는데 그 아름다움은 당시에도 각자궁을 한번 구경하는 것이 백성들의 소원이었다. 다만 각자궁角刺宮은 부라궁夫羅宮으로 읽어야 할 것이다.
곤지대왕은 청령천황이 되어서 나라현 사쿠라이시櫻井市에 미카쿠리甕栗宮을 지었다.
왜제왕 즉, 개로대왕의 부인이었던 반풍황녀를 백제식으로 황태부인皇太夫人으로 봉하였다. [일본서기]에서 웅략천황의 비인 갈성한원을 황태부인으로 봉하였다는 것은 반풍황녀를 황태부인으로 봉한 것의 오기이다. 갈성한원은 황태부인으로 봉하지 않아도 황후이다.
청령천황은 부하장수를 시켜서 웅략천황을 다시 잡아오도록 하였다. 웅략 7년의 기사에서 미모로신三諸岳神을 잡아들인 것이다. 그리고 이름을 고무高武에서 고뢰高雷로 바꾸도록 하였다.
뢰雷의 발음에 “이가스시”가 있는데
[신찬성씨록]에서 다케하라竹原連는 신라국아라라국왕의 동생 이가쓰왕의 후예라고 하였다.
竹原連 新羅國 阿羅羅國主弟 伊賀都君之後也
아라라국주는 안강천황을 가리키는데 신라왕자지만, 윤공천황의 양자였는지 웅략을 그 동생이라고 기록한 것이다.
현재 이가伊賀는 미에현三重縣에 있고 그 중심성은 우에노성上城이다.
웅략천황(418~479)이 대화에서 쫓겨나서 여생을 마친 곳으로 고려된다.
청령천황은 웅략천황이 죽자 안강천황을 따라왔던, 신라의 또다른 왕자로 추정되는 조일랑朝日郞을 공격하였다. 웅략이 이름을 바꾸어 은거했던 이가伊賀의 청묘靑墓에서 싸워 죽였다.
조일랑의 후예가 [신찬성씨록]에서 낭자왕의 후예로 고려된다.
대가랑, 가랑성 등은 신라국 낭자왕의 후손이라고 하였다.
[신찬성씨록] 大賀良 新羅國郎子王之後也
[신찬성씨록] 賀良姓 新羅國郎子王之後也
2. 개로대왕 참살과 백제 재건
蓋鹵大王 慘殺과 百濟 再建
475년, 고구려 장수대왕의 백제 침략으로 개로대왕이 참살당하고 백제는 혼란에 빠져든다.
개로대왕의 동생 문주대왕이 즉위했으나 3년만에 암살당하고, 문주대왕의 아들 삼근왕이 즉위했으나 폐위되었다. 개로대왕의 동생 청령천황은 개로대왕의 아들 무령대왕을 왜무왕으로 봉하고, 시변인로왕의 손자 억계왕자를 백제왕으로 봉하니 곧 백제 모도대왕이다.
청령천황과 무령대왕은 바다 건너 고구려 공격에 나섰는데 이때 모도대왕의 동생 홍계가 무령대왕이 자리를 비운 사이에 왜왕위를 찬탈하여 현종천황이 된다.
475년 9월, 고구려 장수대왕長壽大王은 3만의 병력으로 남하하여 476년 정월에는 백제의 수도인 개로대왕의 대산한성과 한산성을 함락시키고,
개로대왕을 아차성阿且城에 끌고가서 참살하였다. 이 아차성은 서울의 아차산성峨嵯山城으로 알려져 왔으나 평안북도 선천군宣川郡의 읍성이던 아단성阿旦城으로 추정한다.
[삼국사기/백제본기]에서는 고구려가 백제 북성을 쳐서 7일만에 함락시키고, 이어 개로대왕이 있던 남성을 공격하여 서쪽으로 도망치던 개로대왕을 죽였다고 하였다.
[일본서기]에서 웅략천황 20년조에 [백제기百濟記]를 인용한 기록이 남아 있다. 백제 개로대왕의 을묘년475년에 맥貊, 즉 고구려의 대군이 와서 대성大城(=평성平城 청룡산성靑龍山城=대산한성大山漢城)을 치고,
칠일만에 왕성王城(=평양平壤 대성산성, 안학궁安鶴宮)을 함락시키고, 마침내 위례성까지 잃었다고 하였다. 또한 백제의 국왕과 왕비, 왕자들이 고구려적에게 떼죽음을 당하였다고 기록하였다. 여기서 북성, 즉 대성은 평성 청룡산성이다. 북한산성北漢山城, 대산한성大山漢城이라고도 하였다.
개로대왕의 사후에 그의 동생인 문주대왕文周大王(~477)이 충청남도 공주땅의 금강 웅진성에 도읍하였다. 문주대왕이 개로대왕의 아들이라는 [삼국사기]와 달리 [일본서기]에는 개로대왕의 동생이라고 하였다. 문주대왕은 고구려 침략 때에 함경남도 문천文川에 있던 문주(文州)에서 수비하고 있다가 신라로 가서 구원병을 얻어와서 공주에서 백제를 재건하였다.
477년, 문주대왕이 공주에서 백제를 재건하는데 청령천황이 일본으로부터 찾아갔다. 문주대왕은 청령천황을 내신좌평으로 임명했으나 받지 않고 석달만에 다시 일본으로 떠나버렸다.
478년 9월, 문주대왕은 병관좌평 해구解仇에게 암살당했다.
뒤이어 문주대왕의 13살 짜리 아들 삼근대왕三斤大王이 즉위하였다.
477년, 청령천황이 백제로 떠날 때에 개로대왕의 아들인 무령대왕을 왜무왕倭武王으로 즉위시켰다.
[고사기 하권]에는 천황 숫자를 19명이라고 하고 18명만 적었으니 한 명을 기록하지 않았는데, 대개 반풍황녀로 추정해왔다.
그러나 빠진 것은 무령대왕武寧大王(462~523)이며 왜무왕倭武王인데 [고사기]를 전사傳寫하는 과정에서 일부러 없애버린 것이다.
왜무왕倭武王은 시마왕島王인 백제 무령대왕이다.
[일본서기]에서 일본에서 태어난 개로대왕의 아들인 무령대왕은 도군島君, 즉 도島왕자라고 하였다. 도島는 일본말로 시마斯麻라고 발음하는데 무령대왕릉 지석에 기록된 이름이 역시 시마斯麻다.
왜무왕은 당시 478년 송나라에 보낸 국서에서 475년에 있었던 개로대왕과 왕자들의 죽음을 부형父兄의 죽음으로 기록하였다.
그 국서에서 왜제왕을 부왕이라 하면서 동시에, 참살당한 개로대왕을 부왕이라고 부른 그 국서에 의해서 왜무왕이 시마왕, 즉 백제 무령대왕인 것이 증명된다.
[宋書] 臣亡考 濟 , 奄喪 父兄 , 申父兄之志..
왜무왕은 이 국서로서 자신의 왜왕 즉위를 알리면서 동시에 왜왕과 백제왕의 겸왕을 선언하였다. [宋書] 自稱使持節 都督 倭百濟新羅任那加羅秦韓慕韓 七國諸軍事 安東大將軍 倭國王
무령대왕은 개로대왕의 아들로서 삼촌인 문주대왕을 인정 안한 것이다. 하지만 송나라는 무령대왕에게 백제를 제외한 6국제군사겸 안동대장군 왜국왕으로 책봉하였다.
무령대왕武寧大王(462~523)은 고구려계 윤공천황의 증손녀인 난파소야왕難波小野王(461~498)과 사랑에 빠졌다.
[고사기/웅략천황기]에 나오는 천어가天語歌 등의 시가詩歌 6편이 무령대왕의 이야기이다. 시 한 편에서는 오도히메(袁杵比賣=小姬=웅략천황의 손녀)와 술래잡기를 하였고, 또 한 편에서는 미에三重(웅략천황이 은거한 곳)의 공녀가 무령대왕을 축수하는 시가였고, 또 한 편은 황후가 그녀에게 무령대왕을 위해서 술을 올리라는 것이고, 또 무령대왕이 그녀에게 술병을 꼭 잡으라는 시가도 있다. 마지막 한 편은 그녀가 무령대왕을 위해 헌신한다는 축사였다.
479년, 청령천황은 고구려에 복수하기 위해 왜무왕의 왜군을 동원하였다.
백제대왕으로는 인현천황仁賢天皇(447~498) 억계왕億計王을 임명하였다.
[청령천황기]에서 청령천황은 억계왕을 태자로 세웠다고 하였다.
[책부원구冊府元龜]에서 건원 2년, 480년에 백제왕으로 모도왕牟都王을 책명하였고, 또한 영명8년, 490년에 그 손자 모대왕牟大王을 백제왕으로 책명하였다.
즉, 백제 모도왕牟都王이 동성대왕東城大王이며 억계왕 인현천황仁賢天皇이다.
[일본서기/웅략천황기] 23년, 즉 479년경에 말다왕末多王을 백제왕으로 봉하여 축자국군筑紫國軍(큐슈의 군대) 500명으로 호송하고, 또 축자의 안치신安致臣, 마사신馬飼神들이 배를 거느리고 고구려를 쳤다고 하였다. 이때 부형을 잃은 왜무왕, 무령대왕과 청령천황이 함흥 방면 고구려 공략의 선봉에 선 것이다.
청령천황과 무령대왕이 고구려로 떠나던, 479년에 미에三重縣에 은거했던 웅략천황雄略天皇(418~479)이 죽었다. 위험인물이라서 죽였는지도 알 수 없다. 그의 고분은 75m의 원분으로 되어 있다.
동성대왕東城大王(=모도대왕牟都大王=인현천황仁賢天皇)은 이중천황履中天皇의 아들인 이치베노오시와왕市邊忍鹵王(416~458)의 큰 아들이다.
인현천황은 동생인 현종천황과 함께 몸을 피했다가 고모인 반풍황녀가 개로대왕비가 되니 고모를 찾아와서 각자궁角刺宮에 살고 있었다.
청령천황은 그중 인품이 있는 첫째 인현천황으로 백제왕을 삼고, 반풍황녀의 아들인 무령대왕으로 왜무왕을 삼았던 것이다.
그런데 청령천황과 왜무왕의 고구려 정벌은 역사에 잘 알려지지 않았다.
청령천황과 무령대왕은 함경북도 청진淸津에 상륙하여 점거하고 그곳에 이름을 남겼다. 청진의 어원이 청령천황이었던 것이다.
청령천황은 일본에서 죽지 않았으므로 [고사기]에 그 서거 기록이 없다. 그러나 청령천황이 된 백제 곤지대왕을 모시는 일본의 신사가 남아있는데 아스카베신사飛鳥部神社이다.
飛鳥部神社
所在地 羽曳野市飛鳥(河内國安宿郡)
祭神 百濟王弟こん伎王, 古代のこの地は安宿郡賀美郷で
飛鳥部造一族の居住地で現在もその祖神を祀っている
現在の社地は小さな杜に過ぎないが
当時は氏の勢力も強勢であったことから
相当な有力神社であった
この地の有力渡來系氏族としては
飛鳥部造氏と上曰佐氏のニ氏がある
[신찬썽씨록]에서는 이들의 후예를 백제 동성대왕의 후손이라고 기록했다.
[新撰姓氏錄]飛鳥部造、百濟末多王の後也
청령천황 곤지왕자와 백제 동성대왕을 모시는 아스카베飛鳥部 신사
(주) [일본서기/웅략천황기]에 도입된 백제 기록은 [백제신찬百濟新撰]의 429년 기사년부터 461년 곤지군의 기록과, [백제기百濟記]의 475년 기록이 있다.
[백제기]는 근초고대왕부터 개로대왕(346~475년)까지 소개되어 있는데, 그 이전의 역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백제의 박사 고흥高興에 의해 [백제서기百濟書記]가 편찬된 것이 근초고대왕 때이므로, 근초고대왕 이전을 [백제서기]에 기록하고 근초고대왕 이후부터 [백제기]를 만들었을 수도 있다.
[백제신찬]은 비유대왕부터 무령대왕(429~501)까지 인용되었으며, [백제본기百濟本記]는 무령대왕부터 위덕대왕(501~557)초기까지 기록이 인용되었다.
'홍익인간·인류공영 > 백제,왜,일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장. 백제 무령대왕 왜무왕 사마왕의 큐슈 병합 (0) | 2018.07.24 |
---|---|
19장. 백제 동성대왕 모도 인현천황의 중국 경영 (0) | 2018.07.24 |
17장. 백제 근개루대왕의 중국 경영 (0) | 2018.07.24 |
16장. 고구려계 웅략천황의 몰락과 백제 개로대왕의 일본통일 (0) | 2018.07.24 |
15장. 백제 개로대왕 왜제왕 (0) | 2018.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