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역사 침탈(侵奪)

BC 28세기 요하문명의 濊貊族이 남하 하여 夏, 商, 周를 건국하면서 황하문명을 일구었으며, 鮮卑族이 秦, 漢, 隨, 唐을 건국했습니다. - 기본주제 참조

동아시아 역사

[14]한반도 남부의 예맥 친족: 백제, 신라, 가야

자연정화 2008. 11. 1. 23:17

[14]한반도 남부의 예맥 친족: 백제, 신라, 가야

[홍원탁의 동아시아사 바로보기]
The Yemaek Cousins in the Southern Peninsula: Paekche, Silla and Kaya

 

홍원탁 wthong@wontockhong.pe.kr

 

삼국지 위서 동이전을 보면, 낙랑과 대방군에 주둔하고 있던 변경지역 한족 관리들은 한반도의 수많은 성읍국가 부족장들에게 개별적으로 관직과 관인(官印), 예복과 중국에서 생산되는 값진 물건 등을 선물로 줬다. 한족 조정은, 이 같은 군사적인 전초기지를 통해, 독립심이 강한 수많은 “야만인” 부족장들에게, 명목상으로라도 개별적으로 신속(臣屬)을 하면 귀중한 재물과 함께 (상징적) 권위를 얻을 수 있다는 사실을 주지시키려고 노력했다. 이것은 한족이 소위 “야만인”이라고 부르는 이민족의 소(小)부족장들이 정치적으로 연합하여, (과거에 묵돌 흉노가 한 것처럼) 통일 국가를 이룩한 다음 한족에게 피해를 줄 위험성을 제거하기 위한 목적에서, 한족 조정이 흉노, 선비 등 모든 “야만족”들을 상대로 수백 년간 행해 온 전통적인 정책이었다. 본 연재는 영문과 국문번역을 동시에 제공한다. 편집자 주

The Yemaek Cousins
in the Southern Peninsula: Paekche, Silla and Kaya


Wontack Hong
Professor, Seoul University

   
▲ Bok-cheon-dong Tombs, Pusan Constructed mostly during 4-5c. but found more “standardized” armors dated 4c. (NRICP, 2001: 508-9)

States of the Ye-maek Tungus were initially formed through the confederation of clan leaders and tribal chiefs, as shown by the five tribe federation in Puyeo and Koguryeo, and the six tribe federation in Silla and Kaya. There were eight large clans in Paekche as well. The loose tribal confederations evolved into centralized monarchies of hereditary kingship. The organization of a tribal federation resulted in a hierarchy of hereditary official ranks and the institution of council of nobles to deliberate important matters.

The Ye-maek people believed in shamanism. The use of such a title as Cha-cha-ung (chief shaman) to designate the title of kings in old Silla reflects the influence of the shamanism (see Lee and deBary, 1997, p. 29). Buddhism was introduced to Koguryeo in 372, to Paekche in 384, and to Silla in 527. During its dissemination, Buddhism absorbed shamanist beliefs.

According to the Dongyi-zhuan, there were 78 states in the Three Han (i.e., the old Chin) area, and their people bred horses, produced silk, and enjoyed drinking, singing and dancing. In the fifth month when the sowing has been finished, and also in the tenth month when the farm work is finished, they sacrifice to their ghosts, spirits and the Lord of Heaven. They sing and dance day and night without ceasing. In their dancing, dozens of men form a line and, looking upward and downward as they stomp the ground, they move hands and feet in concert with a rhythm. Among these states, Paekche was in Ma-han area, Saro (Silla) was in Chin-han area, and Kuya (Kaya) was in Pyun-han area. Chin-han was the old Chin. The Dongyi-zhuan states that the Pyun-han people were adept at infantry warfare, and every one  of those 12 Pyun-han states “also” had a king. The Dongyi-zhuan records that both the Chin-han and Pyon-han people practice horseriding, but somehow contends that the Ma-han people do not know horseriding and hence use horses onl y for immolation.1

The Dongyi-zhuan has told us that the Puyeo people drink, sing and dance every day, alleging that, since every one  keeps singing on the road, the sounds of singing can be heard all day long, and also that the Koguryeo people enjoy singing and dancing every night. It is now telling us that the Three Han people enjoy drinking, singing and dancing day and night.

The Chinese frontier officials stationed at the Le-lang and Dai-fang commanderies granted numerous independent tribal chiefs of peninsular walled-town states titular office and rank, official seals, ceremonial attire, and precious gifts of Chinese origin on an individual basis. Through the military outposts such as these, the Han Chinese court tried to convince the “barbarians” of the great material gains and prestige garnered from nominal submission. It was the traditional Han Chinese policy designed to discourage political union among petty tribal chiefs in “barbarian” lands and disrupt any possible unification movement among them.

The Donyi-zhuan records that, by the late second century (c.146-89), the (Ye or Ye-maek) Han states became too strong to be effectively controlled by the Le-lang commandery, and as a result a large number of people defected to the Han states. The period specified corresponds to the reign of King Chogo (166-214) in Paekche.

Saro (Silla) in the Chin-han area was founded on the Kyung-ju plain by six native clans. The Kaya (Karak) federation emerged from the twelve Pyun-han walled-town states, but it never reached the same level of political centralization and territorial extension as Silla and Paekche. According to the Samguk-yusa, the (pre-Kaya) ancient title for the Pyun-han tribal chiefs was “Khan 干.” The Silla court also used the Mongol title of “Khagan 角干.” According to the Samguk-saki, the title of General Kim Yu-sin was “Great Khagan.”

In his edict commissioning the Researches on Manchu Origins (Man-zhou Yuan-liu Gao), the emperor Qian-long of Qing noted the confusion in the Chinese records over the names of the Three Hans. The Chinese historians simply had not known that “han” was a term for a leader. With onl y guesses to guide them, they had somehow come to the conclusion that “han” was a word for a lineage, a notion that “is not worth a moment’s attention.” Such crude usage, having onc e taken root, was very hard to dislodge. Qian-long offered another example of such crude usage.2 According to the History of the Later Han, the Chin-han people had the peculiar practice of using stones to flatten the skulls of their infants. [Dong-yi-zhuan also records that the Chin-han people used stones to flatten their infants’ skulls, and consequently their heads were all flat.] Emperor Qian-long thought such a description simply ludicrous and contrary to all common sense. Qian-long stated that it was an old custom of the Manchus that infants more than a few days old were confined to their cradles in such a way that over the course of time the posterior portion of the skull did indeed become flat. Apparently the Chin-han people had the same custom. Regrettably for historians, they left no records of their customs so that their progeny might have an informed view of their traditions rather than engaging in the sort of groundless speculation that fueled in preposterous notions. The Manchus and their immediate predecessors in the Northeast, the emperor Qian-long went on to emphasize, had also been subjected to just such mistreatment in the Chinese records. During the Ming period in particular, “propagandists of the most scandalous inclinations picked over every word, every line, every paragraph, with no object other than to defame.” The scholars of the time, after all, had been onl y dogs barking in the service of their masters (see Crossley, 1999, pp. 301-2). 3

The Qing rulers believed not onl y that the imperial Aisin (Golden) Gioro lineage of the Qing dynasty were of the same people as the imperial Jin (Golden) Ruzhens, but also that the founder of the Jin dynasty had originally come from Silla and, consequently, the Silla royal surname “Golden” became their dynastic name.

   
▲ Kaya iron helmet and body armor from the pit-style stone chamber tombs of Sang-baek-ri, 咸陽 上栢里 (top, date not ascertained); and Jisan-dong 池山洞 Tomb No. 32, Koryung 高靈 (middle and bottom, dated early 5c.) See NRICP (2001: 613, 1117)
Earthen pits containing iron shields, weapons and tools, Former Han Dynasty mirrors, lacquered knife sheathes and bronze artifacts dated to about 100 AD were found in the Kyung-ju area.4 As far as the early Paekche and Silla are concerned, however, the absence of more impressive archeological evidence of elite culture (in the form of, say, large mounded tombs and prestige grave goods), and also the absence of any systematic records in the Chinese dynastic chronicles, have led many historians to believe that the third century was still a formative period during which the Paekche and Silla were progressing toward full-fledged (spatially-defined, not racially-defined) nation states from walled-town states. Many historians indeed regard the period prior to 300 AD as the Proto Three Kingdom Period.

The southeastern peninsula possessed fertile land with rich deposits of iron ore and sufficient rainfall for rice cultivation. The Pyun-han people had been cultivating rice and steaming it in Mumun (and later in stoneware) pottery for nearly two millennia when they at last crossed over the sea c. 300 BC to commence the Yayoi Era on the Japanese islands. According to the Dongyi-zhuan, the Pyun-han people had supplied iron ingots to the Wa people [i.e., their Yayoi cousins]. There seems to have been a heavy traffic of comings and goings between the Pyun-han people in the Nak-tong River basin and their cousins in northern Kyūshū throughout the Yayoi period.

Social stratification of the southern coastal societies into elite and commoner categories is evident in the construction of large tomb mounds (namely the Ko-ryung one  with 32 meters in diameter) built on the ridges, the practice of immolation (of both human and horse), and the burial of prestigious grave goods such as gilt-bronze crowns, ring-pommeled swords, and earrings in the main stone-lined pit-chambers and iron armor in the accessory chambers. The various archeological artifacts (including horse trappings, riveted iron helmet and cuirass, horse armor, iron ingots, iron tools, stoneware, vessels, knives and arrowheads) excavated from the tombs of the Kaya rulers further suggest a remarkable military strength and material affluence of individual Kaya walled-town states, though the entire Kaya federation was destined by the mid-sixth century to be conquered by Silla. The latest archeological discoveries, especially the first iron body armor in East Asia, have encouraged historians to see the Kaya states in a new light.

Many Japanese historians discredit the (Karak Kukki) foundation date of the mid-1st century because there is no inscriptions found yet that declares “this is a Kaya site” established during that period, and because the archeological evidence already excavated in the Kaya area that indicates the existence of an elite ruling class capable of producing a king “should be dated,” though based fairly arbitrarily on relative and intuitive chronologies, to the late-3rd century and never earlier (see Barnes, 2002, p. 186). At the same time, they do not hesitate to claim the existence of the mighty Yamato kingdom, despite the absence of any such exacting evidence as they demand for the Kaya.

   
▲ . Iron helmet and body armor from Funayama 熊本船山 Tomb
(top, dated late 5c-early 6c.); and Ken-ja-ki Naga-doro-nishi 群馬縣劍崎長瀞西 Kofun (bottom, dated late 5c.) See 日本古墳大辭典
(2002: 178-9, 422).
In the Japanese islands, a few helmets and cuirasses formed of vertical iron plates tied together with leather thongs have been found in the Early Tomb Period (c.300-375) sites, and then there began to appear the cuirass made of iron plates sewn together horizontally. Riveting replaced leather binding as a means of fastening the pieces of a cuirass or helmet together onl y after c. 425. A new type of visored helmet became popular (until about 500 when leather-bound lamellar armor began to replace the visored helmet and cuirasses of all types). According to Farris (1998: 75-6), “lamellar armor, the visored helmet, and riveting all came from the peninsula.” Barnes (2001: 142) notes that: a “riveted vertical-plated cuirass has been recovered from Bok-cheon-dong tomb No. 46, dated to the 4th century; if this dating is accurate, this is the earliest incidence of riveting in either Korea or Japan.”5

Many Japanese historians, however, try to explain the discovery of iron armor and helmets in “the 5th century” tombs on the Japanese islands as proof of subjugation of “the 4th century” helmeted and armored peninsular warriors by the then-bareheaded, naked, insular warriors, led by the ghost of 3rd century Dongyi-zhuan queen, Pimihu. 6

BIBLIOGRAPHY


[각주]

1 三國志 卷三十 魏書 三十 烏丸鮮卑東夷傳 第三十 韓傳 韓在帶方之南 有三種 一曰馬韓 二曰辰韓 三曰弁韓 辰韓者 古之辰國也

馬韓在西… 伯濟國 … 桓靈之末(146-89)韓濊彊盛 郡縣不能制 民多流入韓國 建安中(196-220)公孫康分屯有縣以南荒地爲帶方郡…景初中(237-9)明帝 …越海定二郡 諸韓國臣智加賜邑君印綬 …自服印綬衣幘千有餘人…不知乘牛馬 牛馬盡於送 死 … 常以五月下種訖 祭鬼神 羣聚歌舞 飮酒晝夜 無休 其舞 數十人俱起相隨 踏地低昂 手足 相應 … 十月農功畢 亦復如之 信鬼神 國邑立一人主祭天神 名 之天君

辰韓傳 … 其言語不與馬韓同…
始有六國…

弁辰傳 … 狗邪國… 斯盧國 … 土地肥美 宜種五穀及稻 曉蠶桑 … 乘駕牛馬 … 俗喜飮酒歌舞 有瑟 … 便步戰 兵仗與馬韓同 …與辰韓雜居 亦有城郭 衣服居處與辰韓同 言語法俗相似… 十二國亦有王

2 欽定 滿洲源流考
卷首諭旨 後漢書三韓傳謂辰韓人兒生欲令頭匾押之以石夫兒初墮地豈堪以石押頭奇說甚悖於理 國朝舊俗兒生數日置臥具令兒仰寢其中久而腦骨自平頭形似匾斯乃習以自然無足爲異辰韓或亦類 …曲爲之解甚矣其妄也若夫三韓命名第列辰韓馬韓弁韓而不詳其意義 當時三國必有三汗各統其一 史家不知汗爲君長之稱 遂以音詞誤譯 而庸鄙者甚至訛韓爲族姓 …有三韓 訂謬之作惜未令
人盡讀之而共喩耳若 …

卷七 部族 完顔 五代 金史世紀
金之先出靺鞨氏古肅愼地也…金之始祖 初從高麗來 按通考及大金國志云 本自新羅來姓完顔氏 新羅王金姓 相傳數十世則金之自新羅來 無疑建國之名…史家附會之詞未足憑耳 居完顔部

三國志 魏書卷三十 烏丸鮮卑東夷傳 弁辰傳 兒生便以石壓其頭 欲其褊. 今辰韓人皆褊頭

Crossley (1997: 20) notes that the curved, hanging cradle of the Manchus often flattened the backs of infants’ heads that was later imagined to be a “genetic” quality of the Manchus.

3 Crossley (1997: 124) has presented a rather faithful translation of the Qian-long’s edict, but somehow hides the fact that it was “the Chin-han” that was specifically mentioned by the emperor. Crossley replaces “the Chin-han” with “the Sushen.” She should have explained that the skulls of ancient “Chin-han” people were flat in the back as were the skulls of the Manchus because they used the same distinctive cradles as the Manchus and their cultural cousins.

4 Barnes (2001: 86)

5 Iron body armors and helmets (for both man or horse) dated to the 4th century were excavated at the Bok-cheon-dong and Yang-dong-ri (良洞里 Kim-hae) sites. Those excavated at the Chil-san-dong (七山洞 Kim-hae), Ok-jeon (玉田 Hap-cheon), and Do-hang-ri (道項里 Ham-an) sites are dated to c.350-450 (see NRICP, 2001).

6 See Barnes (2001: 134-44, 196).

wthong@wontackhong.pe.kr.
2005 by Wontack Hong
All rights reserved




한반도 남부의 예맥 친족: 백제, 신라, 가야


홍원탁 (서울대 교수)


예맥-퉁구스 국가들은 씨족-부족장들의 연맹 형태로 시작했다. 부여와 고구려는 5개 부족의 연합으로 시작되었고, 신라와 가야는 6개 부족의 연맹체로 시작되었다. 백제에는 8대 씨족이 있었다. 이 느슨한 씨족-부족 연맹체는, 시간이 지나면서, 왕권이 세습되는 중앙집권적 군주제로 진화하였다. 하지만 부족 연맹체의 전통은 세습적인 관직 계급의 위계 질서를 형성했고, 국가 중대사를 심의하는 귀족들의 협의회 제도를 낳았다.

예맥 사람들 역시 북(北)몽골로이드 특징인 샤머니즘을 믿었다. 신라에서 한때 왕을 차차웅(次次雄, 우두머리 샤먼)이라고 부른 것을 보면, 샤머니즘의 영향이 어느 정도인가를 짐작해 볼 수 있다. 1  불교가 372년경 고구려에, 384년경 백제에, 527년경 신라에 각각 전파됐으나, 그 대중화 과정에서 토속 신앙인 샤머니즘을 상당히 흡수하지 않을 수 없었다.

삼국지 위서 동이전을 보면, 한반도 삼한 지역(옛 진국)에 78개의 (城邑) 국가들이 있었는데, 이들 나라 사람들은 말도 기르고, 양잠을 하며, 술과 노래와 춤을 즐겼다고 기록돼 있다. 그들은 5월에 파종을 끝내고 나서, 그리고 또 10월에 추수를 끝내고 나서, 하늘의 신과 산천의 귀신들에게 제사를 지내는데, 밤낮으로 노래를 부르며 춤을 췄다고 한다. 춤을 출 때에는, 수십 명이 한 줄로 서서, 하늘과 땅을 번갈아 쳐다보고, 땅에 발을 구르면서 손과 발을 리듬에 맞춰 흔든다고 기록했다. 기록된 국가 명칭들을 훑어 보면, 마한 지역에는 백제를, 진한 지역에는 사로(신라)를, 그리고 변한 지역에는 구야(가야)를 발견할 수 있다. 동이전은, 진한은 옛 진나라이며, 변한 사람들은 보병전을 잘하고, 변한 지역의 12개 국가들 “역시” 모두 다 왕(王)을 가지고 있다고 말한다. 한데 어찌된 셈인지, 동이전은 진한과 변한 사람들은 모두 말을 타는데, 마한 사람들만은 말을 탈줄 모르기 때문에, 말을 오로지 제사 때 제물로만 사용한다고 기록하고 있다.

앞서 동이전은 부여 사람들이 매일 술을 마시고, 노래하며 춤을 추는데, 모두들 길거리에서 노래를 불러대기 때문에 하루 종일 노래 소리를 들을 수 있다고 말했고, 또 고구려 사람들도 매일 밤에 노래와 춤을 즐긴다고 말했는데, 이제 삼한 사람들 역시 밤낮으로 술과 노래와 춤을 즐긴다고 기록을 하고 있는 것이다.

낙랑과 대방군에 주둔하고 있던 변경 지역 한족 관리들은 한반도의 수많은 성읍 국가 부족장들에게 개별적으로 관직과 관인(官印), 예복과 중국에서 생산되는 값진 물건, 등을 선물로 줬다. 한족 조정은, 이 같은 군사적인 전초기지를 통해, 독립심이 강한 수많은 “야만인” 부족장들에게, 명목상으로라도 개별적으로 신속(臣屬)을 하면 귀중한 재물과 함께 (상징적) 권위를 얻을 수 있다는 사실을 주지시키려고 노력했다. 이것은 소위 “야만인” 소(小)부족장들이 정치적으로 연합하여, (과거에 묵돌 흉노가 한 것처럼) 통일 국가를 이룩한 다음 한족에게 피해를 줄 가능성을 제거하기 위한 목적에서, 한족 조정이 흉노, 선비 등 모든 “야만족”들을 상대로 수백 년간 행해 온 전통적인 정책이었다.

동이전은, 2세기 후반(146-89)에 (예 혹은 예맥의) 한(韓)이 너무 강성하여 낙랑군이 효과적으로 통제를 하지 못했고, 상당히 많은 사람들이 한국(韓國)으로 도망을 갔다고 말한다. 이 시기는 백제 초고왕(肖古王, 166-214)의 재위기간과 중복된다

진한의 사로(신라)는 경주 지역에서 6개 부족의 연합체로 시작됐다. 가야(가락) 연맹은 변한의 12개 성읍 국가를 구성원으로 해서 출발했으나, 신라나 백제처럼 영토를 확장하고 중앙집권화 되지는 못하였다. 삼국유사에 의하면, 가야연맹이 출현하기 이전의 변한 부족장들의 명칭은 칸(干)이었던 것 같다. 신라 조정 또한 각간(角干)이라는 몽골식 명칭을 사용하였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김유신은 대각간이었다.

만주원류고 첫머리의 유지(諭旨)에서 청의 건륭제는 한족(漢族)들이 편찬한 역사책들의 기록이 삼한의 명칭에 대해 모두 혼동을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족 역사가들은 한(韓)이 지도자를 의미하는 「칸」을 지칭하고 있음을 몰랐다. 그들은 늘 그러 듯, 아무렇게나 추측을 하여, 「한」이 부족-종족을 의미한다는 “일고의 가치도 없는” 결론을 지었다. 이렇게 조잡한 서술도, 일단 정사의 형태로 뿌리를 내리게 되면 바로잡기가 매우 힘들게 된다.

건륭제는 이 같이 치졸한 서술의 사례를 또 하나 제시했다. 3 후한서는, 진한 사람들이 갓난 아기의 두개골을 판판하게 만들려고 유아의 머리를 돌로 눌러놓는 특이한 관습이 있다고 말한다. [동이전 역시 진한 사람들이 갓난 아기들의 두개골을 편편하게 만들기 위해 돌을 사용하기 때문에 진한 사람들의 머리가 모두 납작하다고 말한다.] 건륭제는 이 같은 서술이 아주 몰상식하게 웃기는 말들이라고 생각했다. 만주 땅에는 태어난 지 며칠 안된 아기를 나무로 만든 요람에 넣어두는 오랜 관습이 있는데, 자연이 시간이 지나면서 요람 속 유아의 머리 뒷부분이 편편하게 되는 것이며, 진한 사람들도 분명히 똑같은 관습을 가졌을 것이라고 건륭제는 말한다. 유감스럽게도 그들은 자신들의 관습에 대해 기록을 남겨놓지 않았기 때문에 후손들이 자신의 전통을 잘 이해하지 못하게 됐고, 이 사품에 한족 역사가들이 근거 없는 추측을 남발 해, 몰상식한 이야기들을 지어낸 것이라고 말한다.

동북방의 만주족과 그 선조들 모두가, 항상 한족들이 편찬한 중국 역사책 속에서 이렇듯 부당한 대접을 받아왔다는 사실을 건륭제는 강조했다. 특히 명나라 때에는 선동-날조의 수준이 추문에 가까워서, 한족 역사가들이 기록하는 글자 하나, 문장 하나, 모조리 [한족들이 소위 “야만인”이라고 불러대는 이민족들을] 모욕하기 위한 것이었고, 당시의 사학자들이란 주인을 위해 짖어대는 개들에 불과했다는 것이다. 4 지금도 그 유지를 읽어보면 건륭제의 격앙된 감정을 느낄 수 있다

청나라의 지배자들은, 청나라 애신각라(愛新覺羅) 황족이 바로 여진족 금(金)나라 황실의 직계 후손이라고 믿었을 뿐만 아니라, 금나라 시조 자신이 본래 신라에서 왔으며, 신라 왕실의 성씨인 금(金)이 왕조의 이름이 됐다고 믿었다

경주 지역에서는, AD 100년경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는 철제 방패, 무기와 농기구, 전한 시대의 거울, 옻칠한 칼집, 청동 제품 등 유물이 발굴됐다. 5 하지만 초기의 백제와 신라는, 지배 계급의 문화를 좀 더 인상적으로 보여주는 고고학적 유물(예컨대, 대형 고분과 강력한 권위의 상징인 부장품)도 없고, 또한 중국 사서에 이들에 대한 체계적인 서술도 없기 때문에, 많은 사학자들이 3세기를, 백제와 신라가 성읍 국가의 성격을 완전히 탈피한 진정한 의미의 (예컨대 고구려와 같은) 국가 형태를 아직 형성을 하지 못하고, 완전한 국가 형태를 향해 나가고 있었던 전환기라고 생각한다. 6  역사가들은 흔히 한반도의 AD 300년 이전을 원삼국(原三國) 시대로 간주하고 있다.

한반도의 동남부는 비옥한 토지와 함께 철광의 매장이 풍부하며, 벼농사를 짓기에 충분한 강수량을 갖고 있다. 변한 사람들은 2천 년 가까이 벼를 재배하면서 무문토기(후에는 陶質토기)에 밥을 지어먹고, 급기야 기원전 300년경에는 바다를 건너가 일본 열도에 야요이 시대를 열었다. 동이전에 의하면, 변한 사람들은 왜인(倭人, 변한인의 야요이 친족)들에게 철을 공급해 주었다. 일본 열도에 야요이 시대(300 BC-300 AD)가 전개 되면서, 낙동강 유역의 변한 사람들과 큐슈 북부평야에서 논농사를 짓게 된 그들의 친족들 사이에는 빈번한 왕래가 있었을 것이다.

한반도 남부 연안지대에서 지배 귀족과 하층 서민이 구분되는 사회 계층의 분화는 산등성이에 위치한 대형 무덤의 축조, (사람과 말의) 순장, 수혈식 석곽 고분에서 출토되는 금동관, 환두대도(環頭大刀), 귀걸이, 또 부속 석실에서 출토되는 철 갑옷, 등등 권위의 상징물 형태로 나타난다. 고령의 가야 고분은 지름이 32미터나 된다. 비록 가야 연맹 전체가 6세기 중엽까지 모두 신라에게 차례로 정복을 당했지만, 가야의 지배층 무덤에서 출토되는 (등자와 재갈, 못을 박아 철 조각을 연결한 철모와 갑옷, 말 갑옷, 철 덩어리와 철제 농기구, 도기질 토기, 칼과 화살촉, 귀고리 등) 다양한 유물로 보아, 가야 성읍 국가들이 강력한 군사력과 풍부한 자원을 가지고 있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최근의 고고학적인 발굴, 특히 동아시아 최초의 철 갑옷의 발견은, 역사가들로 하여금 가야 제국을 새롭게 재조명하는 계기를 마련해줬다

일본 사학자들은 대부분, 1세기 중엽에 가야연맹체가 시작된다는 가락국기의 기록을 믿지 않으려 한다. 흔히 “여기가 바로 가야 땅”이라고 분명하게 밝히는, 그 시기에 세워진 비문 같은 것이 아 직 발견되지 않았다는 이유를 내세운다. 아울러, 왕으로 간주될 만한 지배층의 존재를 증명하는 고고학적 유물이 가야 지역에서 출토는 되었지만, 일본 학자들은 이 유물들을 모두 3세기 말 이후의 것이라고 자의적으로 판정한다. 7 하지만 일단 자신들의 일본 열도로 눈을 돌리면, 가야의 존재를 증명하기 위해 필요하다며 그들이 내세우는 그 까다로운 요구 조건들을 모두 접어두고, 뚜렷한 물적 증거도 없이, 일본 열도에는 AD 400년, 심지어는 300년 이전에도, 강력한 야마토 왕국이 존재했다고 주장을 한다.

일본 열도의 고분 시대 초기(300-375 AD) 유적에서 가죽 끈으로 철편들을 수직으로 연결한 투구와 갑옷이 몇 개 발견됐다고 하며, 그 이후에 수평으로 철편들을 꿰맨 갑옷(판금 갑옷)이 출현하기 시작한다고 말한다. 하지만 철편에 못을 박아 갑옷이나 철모를 만들기 시작한 것은 425년경 이후이며, 그로부터 새로운 형태의 챙이 달린 철모(面甲)가 유행하기 시작한다. 

Farris(1998: 75-6)는 비늘 모양의 갑옷, 챙이 달린 철모, 철편에 못을 박는 제작 기법 등이 모두 한반도로부터 전해졌다고 말한다. Barnes(2001: 142)는, 부산 복천동 46호 고분에서 출토된, 못을 박아 수직으로 철편을 연결한 갑옷은 4세기 제품으로 추정되며, 만일 이것이 정확하다면, 한반도와 일본 열도를 통틀어 가장 오래된 철제 갑주 라고 말한다. 9하지만, 일본 사학자들은, 일본 열도의 5세기 고분에서 발굴되는 철 갑옷과 철모 등을 근거로, 3세기 동이전 기록에 나오는 여왕 비미호의 귀신이 신공황후라는 이름으로, 맨머리, 맨몸의 섬나라 전사들을 지휘해 당시 철제 투구와 갑옷으로 무장한 4세기 한반도의 전사들을 정복하고, 한반도 남부를 수백 년간 식민지로 경영하게 됐다고 주장한다. 10

동아시아 역사 강의: 1-14 (2005. 3. 26.)
정리: 강현사 박사
ⓒ 2005 by Wontack Hong

BIBLIOGRAPHY



[각주]
1. Lee and deBary (1997: 29) 참조.

2. 三國志 卷三十 魏書 三十 烏丸鮮卑東夷傳 第三十 韓傳 韓在帶方之南 有三種 一曰馬韓 二曰辰韓 三曰弁韓 辰韓者 古之辰國也

馬韓在西…伯濟國…桓靈之末(146-89)韓濊彊盛 郡縣不能制 民多流入韓國 建安中 公孫康 分屯有縣以南荒地爲帶方郡…景初中(237-9)明帝…越海定二郡 諸韓國臣智加賜邑君印綬…自服印綬衣幘

千有餘人…不知乘牛馬 牛馬盡於送死…常以五月下種訖 祭鬼神 羣聚歌舞 飮酒晝夜 無休 其舞 數十人俱起相隨 踏地低昂 手足 相應…十月農功畢 亦復如之 信鬼神 國邑立一人主祭天神 名之天君

辰韓傳 … 其言語不與馬韓同…始有六國…

弁辰傳 … 狗邪國… 斯盧國 … 土地肥美 宜種五穀及稻 曉蠶桑 … 乘駕牛馬 … 俗喜飮酒歌舞 有瑟 … 便步戰 兵仗與馬韓同 …與辰韓雜居 亦有城郭 衣服居處與辰韓同 言語法俗相似… 十二國亦有王

3. 欽定 滿洲源流考 卷首諭旨 後漢書三韓傳謂辰韓人兒生欲令頭匾押之以石夫兒初墮地豈堪以石押頭奇說甚悖於理 國朝舊俗兒生數日置臥具令兒仰寢其中久而腦骨自平頭形似匾斯乃習以自然無足爲異辰韓或亦類 …曲爲之解甚矣其妄也若夫三韓 命名第列辰韓馬韓弁韓而不詳其意義 當時三國必有三汗各統其一 史家不知汗爲君長之稱 遂以音詞誤譯 而庸鄙者甚至訛韓爲族姓…有三韓 訂謬之作惜未令 人盡讀之而共喩耳若
卷七 部族 完顔 五代 金史世紀 金之先出靺鞨氏古肅愼地也…金之始祖 初從高麗來 按通考及大金國志云 本自新羅來姓完顔氏 新羅王金姓 相傳數十世則金之自新羅來 無疑建國之名…史家附會之詞未足憑耳 居完顔部
三國志 魏書卷三十 烏丸鮮卑東夷傳 弁辰傳 兒生便以石壓其頭 欲其褊. 今辰韓人皆褊頭

Crossley(1997: 20)는, 매달아 쓰는 구부러진 형태의 만주족 요람은 유아의 머리 뒷부분을 종종 편편하게 만드는데, 마치 머리가 편편하다는 것이 만주족의 유전적 특징인 것처럼 생각하게 됐다고 말한다.

4. Crossley(1999: 301-2) 참조. Crossley(1997: 124)는 건륭제의 유지를 비교적 충실하게 번역을 했는데, 어찌된 셈인지 건륭제가 분명히 진한(辰韓)을 지칭한 사실을 숨기고, 마치 건륭제가 숙신(肅愼)이라고 말을 한 것처럼 (분명히 의도적으로) 오역을 했다. 그녀는, 고대 진한 사람들의 두개골이 편편한 것은 그들이, 만주 사람들을 비롯한 동일계통의 문화적 친족들의 전통을 따라, 모두 비슷한 형태의 요람을 사용했기 때문이라고 말했어야만 했다.
 
5. Barnes(2001: 86)

6. 여기서 영어로 Nation State라는 표현은 민족 국가를 의미하기 보다는, 성읍(城邑) 국가에 대칭적인 영토적 의미의 중앙집권화된 국가를 뜻한다.

7. Barnes(2002: 186) 참조.

8. 500년경부터는 전체를 가죽 조각으로 이어 만든 가벼운 갑옷이 모든 형태의 철제 투구와 갑옷을 대체하기 시작한다

9. 부산의 복천동(福泉洞)과 김해의 양동리(良洞里) 유적지에서 4세기 것으로 추정되는 (사람과 말의) 철제 갑옷과 철모가 출토됐으며, 김해의 칠산동(七山洞), 합천의 옥전(玉田), 함안의 도항리(道項里) 등에서도 350-450년경으로 추정되는 철제 갑주들이 출토되었다 NRICP(2001) 참조.

10. Barnes(2001: 134-44, 196)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