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축분뇨, 처리대상 아니 자원으로 봐야
환경오염원으로 치부되고 있는 가축분뇨를 자원의 개념으로 접근해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찾는데 주력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농업·농촌의 길 2011 조직위원회가 지난 3일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개최한 ‘농업·농촌의 길 2011’ 축산업세션 토론회에서 토론자들은 단순히 골칫거리로 전락한 축산분뇨를 자원으로 인식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정부의 지속적인 지원확대가 필요하다는데 인식을 같이했다.
이환길 논산계룡축협 상임이사는 “가축분뇨는 축산농가의 경쟁력 향상과 경종농가의 잉여자원으로 인식해야 한다”며 “영리추구사업이 아닌 대표적인 환원 사업인 가축분뇨 자원화사업은 지역축협 경영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만큼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상락 건국대 교수는 “가축분뇨의 자원화는 동물이 미처 소화하지 못하고 배설한 영양자원을 적절한 처리과정을 거쳐 식물의 영양자원으로 거듭나게 하는 과정”이라며 “해양투기의 종식이 아니더라도 가축분뇨 자원화는 자연의 순리라는 점을 인식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가축분뇨 자원화에 대한 제도적 보완의 필요성도 제기됐다.
권영웅 농협중앙회 축산지원부장은 “현재 퇴비는 유기농자재로 인정되는데 액비는 인정이 안되는 모순된 제도가 존재한다”면서 “이러한 제도적 보완을 통해 가축분뇨 자원화에 대한 동력을 다지는 한편 가축분뇨 자원화가 자연순환과 축산업을 영위하는데 필수적이라는 생각으로 지자체 등에서 강력한 지원을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진길부 한국양돈기술원 원장은 “돼지에서 가축분뇨처리 문제는 환경문제라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며 특히 토양 내 인 함량을 낮추는 것은 사료내 인분해효소를 활용해 해결할 수 있다”면서 “가축분뇨는 개별농가별 처리를 기본으로 하되 시·군 단위에서 토털지원시스템으로 해결해야 하며, 전처리와 하수종말처리 연계 등을 고려하고 새로운 시도와 연구는 물론 민간을 중심으로 한 공사개념의 종합관리기구를 둘 필요도 있다”고 말했다.
조석진 영남대 교수는 “축산분뇨의 자원화를 통해 땅을 비옥하게 만드는 것이 축산의 기본인데 해양투기는 물을 더럽히고 자원을 버리는 이중적 낭비행위”라며 “농가가 스스로 분뇨를 해결하되 안전한 축산물을 원한다면 오염에 대한 사회적인 비용도 어느 정도 인정해야하는 것이 기본인데 시민사회에서는 요구사항만 늘어놓고 축산농가는 이를 부정하기만 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한편 이날 토론회에서는 가축분뇨처리문제 외에도 FTA 등으로 사면초가에 몰린 축산업이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사료안정기금 마련의 필요성이 집중 거론됐다.
정선현 대한양돈협회 전무는 “FTA시대에 경쟁력의 핵심은 생산성과 가격경쟁력인데 농가의 의지와 무관하게 경쟁력을 떨어뜨리는 게 바로 사료값 인상”이라며 “이에 대한 경쟁력 확보장치로 사료안정기금을 설치해 농가의 안정적인 경영여건을 확보해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농림수산식품부 관계자는 사료안정기금을 위한 예산 확보가 힘들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예산이 확보된다 하더라도 정책 효율성을 따져봐야 한다며 부정적인 의견을 제시했다.
'자연정화 · 자원순환 > 친환경 유기농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ㆍ자원화 / 가축분뇨 해양비출 눈에 띄게 줄어 (0) | 2013.07.03 |
---|---|
가축분뇨 공동자원화 사업 관련기사 (0) | 2013.07.03 |
퇴비·액비·에너지 만들 수 있는 경제성 높은 자원 (0) | 2013.07.03 |
전국 최고 최첨단 친환경 경축순환자원화센터 준공 (0) | 2013.07.03 |
“자연순환농업은 농촌 살릴 성장동력” (0) | 2013.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