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출처 : 한국일보 2013.01.24. 22:53
음식 쓰레기 처리 민간 업체들 '휘청'
"설비과잉에 줄도산 위기 처리 비용 인상 불가피
서울시 공공 설비 확충보다 민간 설비 활용 우선하고 쓰레기 감축 방안 힘써야"
24일 오후 2시 경기 북서부지역에 위치한 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업체. 음식물쓰레기에서 퇴비와 바이오가스를 만드는 이곳 공장 한 켠에는 음식물쓰레기 폐수(음폐수) 처리기가 돌아가는 소리가 요란하다. 음폐수는 통상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BOD)이 10만~15만ppm 수준인데, 이곳 처리기를 거치면 BOD가 분뇨(3만ppm)보다 낮은 1만ppm 이하로 정화된다. 2년 전 금융기관에서 대출 받은 20억원을 투자해 마련한 첨단 설비를 갖춘 이 시설이 하룻동안 처리할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량은 50톤에 달한다. 하지만 시설 가동률이 60%(일일 30톤) 아래로 떨어진 지는 이미 오래 전이다. 이 업체 관계자는 "지방자치단체로부터 받는 톤당 처리비용 7만5,000원은 폐기물처리 원가는 물론 사용전력 비용에도 못 미치는 액수여서 처리용량을 줄여 근근이 버티고 있다"며 "바다에 마구 버리던 음폐수를 제대로 처리할 수 있는 설비를 갖춰놓았더니 이에 따른 원가 인상분도 반영해 주지 않겠다는 것이 말이 되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서울시의'음식물쓰레기 대란'에 대한 우려의 불씨가 아직 꺼지지 않은 가운데 음폐수 처리에 따른 원가 상승 등으로 민간업체들이 요구하고 있는 처리비용 인상은 현실적으로 불가피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미 운영중인 민간업체들의 시설까지 포함하면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설은 이미 과잉상태여서 공공시설을 추가로 건설하겠다는 서울시의 해법은 적절하지 못하다는 비판도 나온다.
24일 환경부와 음식물처리업계 등에 따르면 전국적으로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는 공공ㆍ민간시설의 규모는 하루 총 1만5,000톤으로, 하룻동안 발생하는 음식물쓰레기 1만3,000톤 보다 훨씬 많다. 그간 음식물쓰레기 1톤당 처리비용이 2010년 환경부에서 제시한 9만7,140원보다 낮은 7만~8만원 수준에서 유지될 수 있었던 것도, 음폐수의 해양투기가 가능했던 것에 더해 설비과잉 상태에서 민간업체들은 제살 깎아먹기 경쟁을 한 때문이다.
민간업체들의 처리비용 현실화 요구는 이미 오래 전부터 있었다. 환경부도 2007년 음폐수 해양처리 비중을 순차적으로 줄여 육상처리로 바꾼다는 계획을 세우면서, 처리비용 현실화 필요성을 밝혔다. 하지만 처리비용 인상을 꺼린 지자체의 반대로 환경부의 해상처리 감축목표 이행이 두 차례나 연기됐고, 비용 현실화도 없던 일이 됐다.
이 과정에서 음폐수 육상처리를 위해 첨단 설비에 신규 투자를 했던 민간업체들은 한계 상황에 몰렸다. 특히 다른 기업들도 해상폐기가 금지돼 약품 처리 비용 등 추가비용이 발생하면서 심각한 자금ㆍ운영난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음식물폐기물자원화협회(음자협)의 한 관계자는 "어떻게든 해보겠다고 첨단 설비에 신규 투자를 했던 10여개 업체 모두가 최근 부도 위기를 맞고 있어 구제책이 시급하다"고 하소연 했다.
전문가들은 음식물쓰레기 감량에 정책의 우선순위를 두고, 장기적으로 신규 설비 건설보다는 기존 민간설비를 활용하는 민ㆍ관 협력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주문한다. 김미화 자원순환사회연대 사무총장은 "처리시설은 현재로도 이미 충분한 만큼 발생량을 줄이는 게 근본적 대책"이라며 "대구시가 지난해 음식물쓰레기를 20% 줄여 처리비용 50억원을 절감한 사례에서 보듯 서울시가 비슷한 양을 줄이면 연간 300억원의 예산을 줄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동현기자
'자연정화 · 자원순환 > 자연정화의 필요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간 450만톤 쓰레기 바다에 투기 ‘부끄러운 한국’ (0) | 2013.07.10 |
---|---|
음식물쓰레기 대란 피했지만 ... 민.관 갈등 "악취"는 여전 (0) | 2013.07.10 |
음식물쓰레기 자원재생률 20%도 못미쳐 (0) | 2013.07.10 |
정부는 축산분뇨 처리 실태를 전면 재조사하고, 제대로 된 대책을 세워라. (0) | 2013.07.03 |
부여버섯영농조합 이야기 (0) | 2013.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