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대 재배면적 벼 10품종 주요특성 및 적응지역
동진1호, 추청, 남평, 주남, 일미, 일품, 오대, 신동진, 운광, 새추청
○ 농촌진흥청 작물과학원에서는 금년도 영농철이 다가옴에 따라 농업인들이 해당지역에 가장 알맞은 품종선택을 할 수 있도록 2007년에 전국적으로 재배면적이 가장 많았던 벼 10품종에 대해서 주요특성 및 적응지역 등을 각 품종별로 자세히 소개하였다.
○ 2007년도에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었던 벼 품종은 ‘동진1호’로 19만 147ha 정도 재배되었고, 그 다음으로 많이 재배된 품종이 ‘추청’ 벼로 12만6천628ha이고, ‘남평’ 벼는 11만6천18ha로 3위, ‘주남’ 벼는 9만1천163ha로 4위, ‘일미’ 벼는 7만1천575ha로 5위를 차지했고 그 뒤로는 ‘일품’, ‘오대’, ‘신동진’, ‘운광’, ‘새추청’ 등으로 나타났다.
○ ‘동진1호’는 2001년에 개발된 품종으로 쌀이 맑고 밥맛이 좋은 중만생종이며, 우리나라 충청도 이남지역 평야지에 알맞고, 기계이앙 및 담수직파 재배지역에 적응성이 높으며, 흰잎마름병(K1-3)에 특히 강하다.
○ ‘추청’벼는 중만생종으로 중부평야지 및 남부중산간지에 적응성이 높은 품종으로, 쌀 외관이 매우 맑고 깨끗하며 밥맛이 우수하다. 그러나 도열병과 흰잎마름병 및 바이러스병 등 병해와 멸구류 등의 해충에 모두 약하며, 줄기가 가늘어 도복에 약한 편이다.
○ ‘남평’벼는 1997년에 개발된 중만생 품종으로 쌀알이 둥글고 맑으며 쌀알 속에 흰티(심복백)가 없고 밥맛이 좋은 고품질 품종이다. 이모작 및 만식적응성이 높고 줄무늬잎마름병에 강하며 도복에 강하다. 우리나라 대전 이남 평야지 및 이모작재배가 가능한 광지역성 품종이다.
○ ‘주남’벼는 2000년에 육성한 중만생종 품종으로, 쌀알 속에 심복백이 약간 있으나 밥맛이 매우 좋고, 잎도열병에는 이병될 우려가 있으나 흰잎마름병, 줄무늬잎마름병 및 도복에는 강하며 대전이남의 평야지 1모작지에 가장 적합하다.
○ 이밖에 ‘일미’, ‘일품’, ‘오대’, ‘신동진’, ‘운광’, ‘새추청’ 등 나머지 고품질 벼 품종들의 주요특성 및 적응지역을 일목요연하게 볼 수 있도록 표로 정리하여 아래와 같이 나타내었다.
<재배면적 국내10위 고품질 벼 품종의 특성 및 적응지역>
품종명 |
육성 년도 |
수량성 (kg/10a) |
벼키 (cm) |
이삭수 |
내만식성 |
내냉성 |
내도 복성 |
수발아 |
도열병 |
흰잎 마름병 |
줄무늬잎마름병 |
벼멸구 | |
적파 |
만파 | ||||||||||||
동진1호 |
‘01 |
567 |
82 |
중 |
중 |
중 |
중강 |
강 |
적음 |
중 |
강 |
약 |
약 |
추 청 |
‘70 |
453 |
100 |
많음 |
중강 |
약 |
중 |
약 |
적음 |
약 |
약 |
약 |
약 |
남 평 |
‘97 |
528 |
80 |
중 |
강 |
중 |
중 |
강 |
적음 |
중 |
약 |
강 |
약 |
주 남 |
‘00 |
576 |
73 |
중 |
중약 |
약 |
중강 |
강 |
적음 |
중 |
강 |
강 |
약 |
일 미 |
‘95 |
520 |
79 |
중 |
중 |
중 |
중강 |
강 |
적음 |
약 |
중 |
강 |
약 |
일 품 |
‘90 |
534 |
79 |
중 |
강 |
중 |
강 |
강 |
적음 |
약 |
약 |
약 |
약 |
오 대 |
‘82 |
481 |
77 |
중 |
약 |
중강 |
강 |
강 |
중 |
중 |
약 |
약 |
약 |
신동진 |
‘99 |
596 |
80 |
적음 |
중 |
중강 |
중강 |
중 |
중약 |
약 |
강 |
강 |
약 |
운 광 |
‘04 |
586 |
60 |
중 |
- |
강 |
강 |
강 |
중 |
강 |
강 |
약 |
약 |
새추청 |
‘99 |
558 |
95 |
많음 |
중 |
강 |
약 |
중 |
적음 |
중 |
약 |
약 |
약 |
<재배면적 국내10위 고품질 벼 품종의 적응지역>
품 종 명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동진1 호 |
|
|
○▲★ |
○▲★ |
○▲★ |
○▲★ |
○▲★ |
○▲★ |
추 청 |
○ |
|
○ |
○ |
○ |
|
○ |
|
남 평 |
|
|
|
○▲★ |
○▲★ |
○▲★ |
○▲★ |
○▲★ |
주 남 |
|
|
|
○ |
○ |
○ |
○ |
○ |
일 미 |
|
|
|
○▲□ |
○▲□ |
○▲□ |
○▲□ |
○▲□ |
일 품 |
○▲ |
○▲ |
○▲ |
○▲ |
|
|
○▲□ |
|
오 대 |
○▲□ |
○▲□ |
○▲□ |
○▲□ |
○▲□ |
○▲□ |
○▲□ |
|
신 동 진 |
|
|
|
○ |
○ |
○ |
○ |
○ |
운 광 |
|
○ |
○ |
○ |
○ |
○ |
○ |
○ |
새 추 청 |
○ |
|
○ |
○ |
|
|
○ |
|
※ ○ 지역적응성, □ 건답직파용, ▲ 무논직파용, ★ 담수표면산파용
문의 : 농촌진흥청 작물과학원 유전육종과 최용환 (031-290-6654)
<참고자료>
♦ 2007년도 국내 재배면적 10위 이내 벼 품종 주요특성 ♦
(1) 동진1호 (190,147ha)
□ 교배조합 및 개발년도 : 화영벼/HR12800-AC21, 2001년
□ 주요특성
○ 생육 및 미질특성 : 중만생, 쌀이 맑고 밥맛이 좋음
품 종 명 |
출수기 (월.일) |
내도복성 (키, cm) |
현 미 천립중 (g) |
심/복백 (0~9) |
밥 맛 (-3~+3) |
수 량 성 (kg/10a) |
동진 1호 |
8.12 |
중강(82) |
22.7 |
0/1 |
0.43 |
567 |
동 진 벼 |
8.17 |
중(89) |
24.9 |
0/1 |
0.39 |
520 |
○ 재배 안전성 : 담수직파재배적응성이 높고, 흰잎마름병(K1-3)은 강함
□ 적응지역 : 충청이남 평야지 보통기 기계이앙 및 담수직파 재배지역
□ 재배상의 유의점
○ 질소비료 과다 및 2모작 재배시 등숙불균일에 따른 미질저하가 우려됨
○ 바이러스병 및 병해충에 약하므로 조기이앙을 지양하고 적기방제를 요함
○ 저온발아성이 낮으므로 건답직파는 피하고 담수직파는 적기에 파종하여야 함
(2) 추청벼 (126,628ha)
□ 교배조합 및 개발년도 : 반다이니시끼//와까바/김마제, 1970년
□ 주요특성
○ 생육 및 미질특성 : 중만생종, 쌀 외관이 매우 맑고 깨끗하며 밥맛이 우수함
품 종 명 출수기 (월.일) 내도복성 (키, cm) 현 미 천립중 (g) 심/복백 (0~9) 밥 맛 (-3~+3) 수 량 성 (kg/10a) 추 청 벼 8.19 약(84) 19.9 0/0 0.02 453 화 성 벼 8.10 중(82) 22.4 0/1 0.24 485
○ 재배 안전성 : 도열병, 흰잎마름병 및 바이러스병 등 병해와 멸구류 등의
해충에 모두 약하며, 간이 가늘어 도복에 약함
□ 적응지역 : 중부평야지 및 남부중산간지
□ 재배상의 유의점
○ 병해충에 대한 저항성이 없으므로 발병 상습지에서의 재배를 지양하고
사전예방 및 방제를 철저히 하여야 함
○ 특히 해안지방에서는 흰잎마름병과 줄무늬잎마름병에 주의하여야 함
○ 질소과용시 도복 및 미질저하의 우려가 있으므로 적정 균형 시비에 힘써야 함
(3) 남평벼 (116,018ha)
□ 교배조합 및 개발년도 : 이리390호/밀양95호, 1997년
□ 주요특성
○ 생육 및 미질특성 : 중만생, 쌀은 둥글고 맑으며 심복백이 없고 밥맛이 좋음
품 종 명 |
출수기 (월.일) |
내도복성 (키, cm) |
현 미 천립중 (g) |
심/복백 (0~9) |
밥 맛 (-3~+3) |
수 량 성 (kg/10a) |
남 평 벼 |
8.15 |
강(80) |
21.7 |
0/0 |
양 |
528 |
동 진 벼 |
8.16 |
중(87) |
24.8 |
0/1 |
양 |
526 |
○ 재배 안전성 : 이모작 및 만식적응성, 줄무늬잎마름병에 강하고 도복에 강함
□ 적응지역 : 대전이남 평야지 보통기 및 이모작재배가 가능한 광지역성임
□ 재배상의 유의점
○ 내도복성 품종이나 균형시비로 도복 및 미질저하 방지
○ 줄무늬잎마름병에는 강하나, 흰잎마름병과 오갈병 및 병해충에는 약하므로
적기방제를 요함
○ 동진벼 정도의 탈립이 되므로 우박 등의 피해가 우려되므로 적기수확 필요
(4) 주남벼 (91,163ha)
□ 교배조합 및 개발년도 : 화영벼//상주벼/일품벼, 2000년
□ 주요특성
○ 생육 및 미질특성 : 중만생종, 심복백이 약간 있으나 밥맛이 매우 좋음
품 종 명 |
출수기 (월.일) |
내도복성 (키, cm) |
현 미 천립중 (g) |
심/복백 (0~9) |
밥 맛 (-3~+3) |
수 량 성 (kg/10a) |
주 남 벼 |
8.16 |
강(73) |
23.2 |
0/1 |
0.30 |
576 |
동 진 벼 |
8.18 |
중(94) |
24.0 |
0/1 |
0.20 |
521 |
○ 재배 안전성 : 잎도열병에는 이병될 우려가 있으나, 흰잎마름병, 줄무늬잎마름병
및 도복에는 강함
□ 적응지역 : 대전이남 평야 1모작지
□ 재배상의 유의점
○ 질소질 비료를 과용시 미질 및 등숙의 저하가 우려되므로 표준시비를 하여야 함
○ 벼멸구 등의 해충에 약하므로 적기 기본방제가 필요함
○ 저온발아성 및 출아성이 낮은 편이므로 직파재배는 삼가하여야 함
○ 묘초장이 짧고 초기신장성이 낮기 때문에 중묘나 성묘 이앙 하는 것이 좋음
(5) 일미벼 (71,575ha)
□ 교배조합 및 개발년도 : 밀양95호/섬진벼//밀양96호, 1996년
□ 주요특성
○ 생육 및 미질특성 : 중만생종, 쌀 외관이 매우 맑고 깨끗하며 밥맛이 우수함
품 종 명 |
출수기 (월.일) |
내도복성 (키, cm) |
현 미 천립중 (g) |
심/복백 (0~9) |
수 량 성 (kg/10a) |
일 미 벼 |
8.19 |
강(79) |
19.8 |
0/1 |
520 |
동 진 벼 |
8.19 |
중(88) |
20.9 |
0/1 |
498 |
○ 재배 안전성 : 도열병에는 약하며, 흰잎마름병은 K1균군에만 저항성이고
줄무늬잎마름병에는 강하나 기타 바이러스병과 멸구류 등의
해충에는 약함
□ 적응지역 : 남부평야지 1·2모작지
□ 재배상의 유의점
○ 질소질 비료의 과용은 미질저하, 병해충 발생 및 도복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적정 균형 시비를 해야 함
○ 도열병등 대부분의 병충해에는 약하므로 적기 방제를 실시해야 함
○ 냉수용출답이나 극만식 재배는 피하는 것이 좋음
(6) 일품벼 (45,162ha)
□ 교배조합 및 개발년도 : 수원295-SV3/이나바와세, 1990년
□ 주요특성
○ 생육 및 미질특성 : 중만생종, 쌀알은 추청벼와 비슷하게 약간 작고
둥글며 밥은 차지고 부드러워 맛이 매우 우수함
품 종 명 |
출수기 (월.일) |
내도복성 (키, cm) |
현 미 천립중 (g) |
심/복백 (0~9) |
밥 맛 (-3~+3) |
수 량 성 (kg/10a) |
일 품 벼 |
8.14 |
강(79) |
21.3 |
1/1 |
상 |
534 |
추 청 벼 |
8.18 |
중(90) |
20.4 |
0/1 |
상 |
477 |
○ 재배 안전성 : 잎도열병에는 중약정도의 저항성을 보이며 도복에는 강함.
흰잎마름병, 바이러스병 및 멸구류에는 약함
□ 적응지역 : 중부평야지 및 남부내륙 중간지
□ 재배상의 유의점
○ 질소비료를 과용시 미질과 등숙의 저하가 우려되므로 반드시 적정 균형시비를 할 것
○ 병해충에 강한 편이 아니므로 적기에 방제를 하여야 함
(7) 오대벼 (38,586ha)
□ 교배조합 및 개발년도 : 아끼쓰호/후지269호, 1982년
□ 주요특성
○ 생육 및 미질특성 : 조생종, 쌀알에 심복백이 약간 있으나 밥맛이 좋음
품 종 명 |
출수기 (월.일) |
간 장 (cm) |
현 미 천립중 (g) |
심/복백 (0~9) |
밥 맛 (-3~+3) |
수 량 성 (kg/10a) |
오 대 벼 |
7.29 |
77 |
22 |
1/1 |
상 |
500 |
관 악 벼 |
8. 7 |
77 |
21 |
0/1 |
중 |
489 |
○ 재배 안전성 : 내냉성, 벼키가 작고 도복에 강함
□ 적응지역 : 북부내륙 중간지, 중산간지, 중남부 고랭지 및 동해안 중북부지역
□ 재배상의 유의점
○ 질소비료 과용시 도열병 발생 및 미질저하가 우려되므로 적정 균형시비를 하여야 함
○ 병해충에 약하므로 적기 기본방제가 필요함
(8) 신동진벼 (31,987ha)
□ 교배조합 및 개발년도 : 화영벼/YR13604-ACP34, 1999년
□ 주요특성
○ 생육 및 미질특성 : 중만생, 고품질, 중대립, 소비적응 다수성이며 밥맛이 좋음
품 종 명 |
출수기 (월.일) |
내도복성 (키, cm) |
현 미 천립중 (g) |
심/복백 (0~9) |
밥 맛 (-3~+3) |
수 량 성 (kg/10a) |
신동진벼 |
8.14 |
강(80) |
27.7 |
0/0 |
0.23 |
596 |
동 진 벼 |
8.18 |
중(86) |
24.3 |
0/1 |
0.00 |
528 |
○ 재배 안전성 : 흰잎마름병과 줄무늬잎마름병에 강하고 도복저항성은 보통임
□ 적응지역 : 대전이남 평야 보통기 및 이모작기계 이앙 재배
□ 재배상의 유의점
○ 도복은 중정도이나 반드시 균형시비로 도복 및 미질저하를 방지하여야 함
○ 오갈병 및 기타 병해충에는 약하므로 적기방제를 요함
○ 쌀알이 크므로 파종량은 10% 이상 증량해야하고, 멧트 형성을 위해 14-15일 정도
육묘하는 것이 바람직함
(9) 운광벼 (30,659ha)
□ 교배조합 및 개발년도 : 익산435호/철원54호, 2004년
□ 주요특성
○ 생육 및 미질특성 : 조생, 쌀 외관이 매우 맑고 깨끗하며 밥맛이 매우 좋음
품 종 명 |
출수기 (월.일) |
내도복성 (키, cm) |
현 미 천립중 (g) |
심/복백 (0~9) |
밥 맛 (-3~+3) |
수 량 성 (kg/10a) |
운 광 벼 |
8. 1 |
강(60) |
23.5 |
0/1 |
0.28 |
586 |
오 대 벼 |
7.29 |
중(62) |
24.5 |
1/1 |
0.04 |
541 |
○ 재배 안전성 : 내냉성, 도열병 및 흰잎마름병 저항성, 키가 작고 도복에 강함
□ 적응지역 : 중북부중간지, 남부중간지 및 평야지 조생 재배
□ 재배상의 유의점
○ 적정 균형시비로 도복에 따른 미질저하를 방지하여야 함
○ 흰잎마름병(K1-3)에는 강하나 K3a균계에 약하므로 상습지 재배는 피해야 하고
줄무늬잎마름병 및 병해충에 약하므로 적기방제가 필요함
○ 냉해에는 강한 편이나 심한 냉수 용출답 재배는 피해야 함
(10) 새추청벼 (25,068ha)
□ 교배조합 및 개발년도 : (대성벼/5*추청벼)+(봉광벼/5*추청벼), 1999년
□ 주요특성
○ 생육 및 미질특성
- 서로 다른 도열병균 레이스에 저항성을 가진 3개의 계통이 혼합된 다계품종으로
외형 등 다른 모든 농업적 형질이 ‘추청벼’와 동일함
- 중만생종, 쌀 외관이 매우 맑고 깨끗하며 밥맛이 아주 좋음
품 종 명 출수기 (월.일) 내도복성 (키, cm) 현 미 천립중 (g) 심/복백 (0~9) 밥 맛 (-3~+3) 수 량 성 (kg/10a) 새추청벼 8.19 중(95) 20.5 0/0 상 558 화 성 벼 8. 8 중(87) 21.1 0/1 상 538
○ 재배 안전성 : 도열병 저항성, 흰잎마름병, 바이러스병, 멸구류 및 도복에 약함
벼 키가 다소 커 도복에 약한 편임
□ 적응지역 : 중부평야 추청벼 재배지대
□ 재배상의 유의점
○ 다계품종으로서 재배환경에 따라 균일도가 낮을 수 있으므로 가능한 보급종을
사용하여야 함.
○ 적정균형 시비와 주요 병해충 적기 기본방제가 필요함
최고품질 벼 품종과 주요 특성
품종명 |
개발 년도 |
숙기 |
주요특성 |
주요 재배지역 |
삼 광 |
2003 |
중만생 |
- 외관 품질과 밥맛이 매우 우수 - 3대 병해 복합내병성 |
- 경기도 등 중부 |
운 광 |
2004 |
조생 |
- 조생종 중 밥맛이 가장 뛰어남 - 내도복성 및 내병성 |
- 철원 등 중북부 및 남부산간지 |
고 품 |
2004 |
중생 |
- 쌀 외관 품질이 특히 뛰어남 - 밥맛 극히 양호 - 도열병 및 흰잎마름병에 저항성 |
- 경기도 등 중부 |
호 품 |
2006 |
중만생 |
- 외관 품질과 밥맛이 매우 양호 - 내도복 직파 적응성 - 3대 병해 복합내병성 |
- 전남북, 경남 등 남부 |
칠 보 |
2007 |
중만생 |
- 고품위 및 고식미 - 단간, 내도복성, 줄무늬잎마름병 저항성 - 이삭수가 많고 이삭당 벼알수가 적음 |
- 경남북 등 남부 - 여주 등 중부 |
하이아미 |
2008 |
중생 |
- 쌀 외관, 밥 윤기 및 식미양호 - 도열병 및 바이러스병 저항성 - 필수아미노산 강화(8종, 각각 22~49%, 평균 30% 고함유) |
- 경기도 등 중부지역 |
진수미 |
2008 |
중만생 |
- 쌀 외관이 매우 양호, 밥맛이 우수 - 3대 병해 복합내병성 |
- 경남북 등 남부 |
영호진미 |
2009 |
중만생 |
- 쌀 외관이 매우 양호, 밥맛이 우수 - 3대 병해 복합내병성 |
- 남부지역 |
미 품 |
2010 |
중만생 |
- 쌀 외관이 매우 양호, 밥맛이 우수 - 단간, 내도복성, 줄무늬잎마름병 저항성 |
- 충남, 전남북, 경남 보급 중 |
* 3대 병해 : 도열병, 흰잎마름병, 줄무늬잎마름병
□ 최고품질 벼 품종 재배면적
품 종 (육성년도) |
수량성 (kg/10a) |
재배면적(ha) | |||
2007 |
2008 |
2009 |
2010 | ||
삼 광 ('03) |
569 |
14,465(1.5) |
24,085(2.6) |
34,714(3.8) |
39,817(4.5) |
운 광 ('04) |
586 |
30,659(3.3) |
46,170(5.0) |
53,969(5.8) |
56,067(6.3) |
고 품 ('04) |
542 |
5,695(0.6) |
2,322(0.3) |
1,769(0.2) |
1,062(0.1) |
호 품 ('06) |
600 |
54(0.01) |
10,416(1.1) |
82,144(8.9) |
152,314(17.1) |
칠 보 ('07) |
557 |
- |
138(0.01) |
2,440(0.3) |
10,271(1.2) |
하이아미(‘08) |
538 |
- |
- |
1.5(0.0) |
339(0.04) |
진수미(‘08) |
555 |
- |
- |
50(0.01) |
58(0.01) |
영호진미(‘09) |
544 |
- |
- |
- |
- |
계
(비율) |
- |
50,873(5.4) |
83,131(9.0) |
175,088(18.9) |
259,928(29.1) |
'자연정화 · 자원순환 > 친환경 단체급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시 성북구 학교급식 친환경쌀 품평회 (2010. 08. 30) (0) | 2013.10.06 |
---|---|
벼의 진화 - 자연진화 1만년, 인공진화 50년 (0) | 2013.10.06 |
도봉구, 서울시 최초로 친환경 쌀 품평회를 가져 (2011. 02. 10) (0) | 2013.10.06 |
서울시 동대문구 학교급식 품평회 (2013. 10. 01) (0) | 2013.10.06 |
초다수성 벼 품종특성 (2008.3.06) (0) | 2013.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