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리음식물처리장, 부실행정에 ‘혈세낭비’
대구시 680억 들여 2013년 완공, 5년째 처리율 60%대 ‘반쪽 운영’
시설보강·의무운전만 2년 소요···2020년 이후에나 정상가동 가능
자료출처 : 경북일보 2017. 11. 08. 박무환 기자
완공 이후 5년째 비정상적인 가동을 하고 있는 ‘상리동음식물처리장’ 전경. 윤관식기자
680억 원을 들인 ‘상리음식물처리장’(대구시 서구 가루뱅이로 10길 31)이 공사 완공 이후 지금까지 5년째 비정상적인 가동을 하고 있다. 정상 가동까지는 첩첩산중이다.
대구시는 지난 2009년 11월 ‘음식물 쓰레기의 3분의 1을 처리한다’는 목표로 ‘상리음식물처리장’ 건립에 착수했다. 총 사업비 686억 원(국비 205억 원, 지방비 481억 원)을 투입해 1일 300t 규모로 대우건설이 시공을 맡았다.
이 공사는 시작 4년만인 2013년 6월에 완공됐다.
그러나 완공 후에도 상리음식물처리장은 정상가동하지 못했다. 음식물 처리량이 하루 목표 양인 300t의 60%에 불과한 180t만 처리했다. 뿐만 아니라 음식물을 가져오면 파쇄해 선별하는 전처리시설 용량도 부족했다. 이러다 보니 찌꺼기가 과다 발생했다. 게다가 악취 방지 시설도 모자라 악취가 진동하는 등 총체적 부실 덩어리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이러한 비정상적인 가동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대구시는 상리음식물처리장에 대해 지난해 한국환경공단에 기술진단을 의뢰했다. 그 결과 처리장 전체 공정에서 시설개선 및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대구시는 시공사인 대우 측에 올해 연말까지 지적된 부분에 대해 시설 개선 공사를 다시 하도록 요구했다. 시운전 4개월을 거쳐 의무운전(정상 가동 전 )에 2년이 걸리는 것을 감안 하면 최종 정상 가동 여부는 2020년 2월쯤에 판가름 날 전망이다.
대구시 의회 경제환경위원회 장상수 의원은 8일 대구시 녹색환경국에 대한 행정 사무감사에서 아직도 정상가동되고 있지 못한 상리음식물류 폐기물처리시설의 개선공사 추진상황과 향후 대책 등을 따졌다.
이에 대해 신경섭 녹색환경국장은 “시설 보강 공사를 2년 동안 한 후, 한국 환경공단에 다시 기술 진단을 의뢰해 최종적으로 적합 판정이 나오면 시공사로부터 음식물 처리장을 인수할 것이며 부적합 판정이 나오면 손해비용 부담금을 받은 후 대구환경공단에서 운영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답변했다.
<지자체 혈세낭비>
689억 들인 음식물쓰레기처리장…처리는 65%만
설계용량 1일 288t인데 시공감독 부실로 186t만 처리
바이오 가스 생산량도 들쑥날쑥…설비 고장에 가스 질 불량
자료출처 : 연합뉴스 2016. 10. 02. 이재혁 기자
(대구=연합뉴스) 이재혁 기자 = 대구 서구 상리동 '음식물류폐기물 공공처리시설장'이 가동을 시작한 것은 2013년 7월. 런던협약에 따라 2012년부터 음식물폐기물 해상 투기를 금지해 옛 위생처리장 터 2만㎡에 689억원을 들여 지었다.
국내 최초로 지하 1∼3층에 파쇄, 탈수, 소화, 퇴비화 등 음식물쓰레기 처리에 필요한 시설을 했다.
특히 처리 과정에서 나오는 바이오 가스를 신재생에너지로 활용하는 발전 설비를 갖췄다.
대구시는 이곳에서 매일 음식물쓰레기 300t가량을 처리할 것이라고 했다.
또 바이오 가스를 생산해 10%는 보일러·악취제거용 열원으로 자체 활용하고, 나머지는 천연가스차 충전용으로 판매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바이오 가스를 민간사업자가 정제해 에너지 회사에 넘기면 충전소에서 가스차에 판매하는 방식이다. 시는 민간사업자에게 하루 1만9천519㎥(1㎥당 180원)에 팔아 연간 13억원의 수익을 낼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시설을 가동하는 동안
처리용량이 설계용량에 크게 못 미치는 문제가 드러났다.
하루 288t을 처리하도록 설계했음에도 실제 1일 평균 처리량은 2013년 225t, 2014년 229t에 그쳤다.
2015년 3월 김원구 당시 시의원은 "성능보증량 미달에다 폐수처리, 바이오 가스 에너지화 사업 등이 총체적인 문제를 보인다"고 지적했고, 대구시 특별감사에서 건설본부 신뢰성 시험이 부실했음이 밝혀졌다.
시 건설본부는 신뢰성 시험에서 처리용량이 1일 240t으로 나오자 설계용량(288t)이 아닌 265t을 기준으로 80% 수준을 넘었다며 합격 처리한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환경공단이 지난달 말까지 기술 진단한 결과 처리용량은 186t까지 떨어졌다. 설계용량과 차이가 100t이나 됐다. 시는 이곳에서 처리하지 못하는 100여t을 민간업체에 위탁 처리해 600억원이 넘게 투입한 설비가 제 기능을 다 하지 못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계절별로 음식물 쓰레기 종류가 달라 처리용량에 차이가 있다"며 "협잡물(비닐, 뼈 등)이 많아 성능 저하로 처리량이 줄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바이오 가스 판매 계획에도 차질이 생겼다.
현재 하루 바이오 가스 생산량은 1만3천㎥로 당초 예상치 절반 수준이다.
가동 첫해인 2013년 9월부터 12월까지 4개월간 150만1천㎥(2억7천만원)를 판매했으나 2014년에는 한 해 동안 91만8천㎥(1억6천500만원)밖에 팔지 못했다.
음식물 성상과 가스 질이 안정화되지 않아 정제 설비 등이 고장이 났기 때문이라고 시는 설명했다.
2015년에 413만㎥(7억4천300만원)로 개선했으나 올해 다시 설비 고장과 가스 질 문제로 7월까지 판매량이 99만9천㎥(1억8천만원)으로 떨어졌다.
시 관계자는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것이 우선이고 바이오 가스 이용은 부수적인 것"이라며 "음식물 쓰레기 에너지화 사업이 아직 검증이 안 된 상황이라 전국 지자체가 비슷한 경험을 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시는 최근 시공업체인 대우건설에 기술진단 결과를 보내고 개선계획서를 요구했다.
시는 개선계획서를 검토해 시설을 증축하는 데 10개월, 시험가동에 3개월, 시운전에 1년이 걸릴 것으로 내다봤다. 시운전 후에는 다시 기술진단을 하고 가동해야 한다.
시 관계자는 "의무운전협약에 따라 시공업체가 시설 개선 비용과 민간업체 위탁비용을 부담한다"고 밝혔다. '혈세' 689억원을 투입한 시설이 완공한 지 3년이 지나도록 반쪽짜리로 운영되고 3년 후에야 제 기능을 다 할 것으로 보이는 데다 바이오 가스 생산마저 부진해 시가 골머리를 앓고 있다.
'자연정화 · 자원순환 > 자연정화의 필요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익산 음식물쓰레기처리장 구린내 풀풀 (0) | 2018.08.14 |
---|---|
고양 바이오메스사업 제구실 못하고 “하세월~” (0) | 2017.11.30 |
에너지사업 추진실태 엉망…‘공공기관’ 돈 더 받고 ‘혈세’ 낭비·폐기 (0) | 2017.11.30 |
230억 들인 자원화시설 준공 3년 지나도록 '보수 중' (0) | 2017.11.30 |
제 기능 못 하는 경남 양산 '바이오가스시설' (0) | 2017.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