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역사 침탈(侵奪)

BC 28세기 요하문명의 濊貊族이 남하 하여 夏, 商, 周를 건국하면서 황하문명을 일구었으며, 鮮卑族이 秦, 漢, 隨, 唐을 건국했습니다. - 기본주제 참조

홍익인간·인류공영/고리,조선,한국

세계 최초의 함포 전투, 진포 대첩

자연정화 2018. 6. 8. 16:43

세계 최초의 함포 전투, 진포 대첩

 

자료출처 : 군산향토문화백과

 

[진포대첩의 정치적 배경]

왜구는 13세기 초부터 우리나라에 침입하여 약탈 행위를 자행하였는데, 14세기에 들어와 이들의 침입은 더욱 빈번해지고, 그 규모도 점차 커졌다. 1323년(충숙왕 10) 6월 왜구는 군산도에 침입하여 개경으로 가는 조운선을 습격하여 조세미를 약탈해가는 만행을 저질렀다. 왜구의 침입은 1350년대에 들어와 본격화되었다.

 

『고려사(高麗史)』의 기록에 1350년(충정왕 2) 2월에는 ‘왜구가 고성·죽말·거제에 침입하니 합포천호(合浦千戸) 최선(崔禅)과 도령(都領) 양관(梁琯) 등이 이를 격파하고 300여 명의 적을 죽였다. 왜구가 우리나라에 침입한 것이 이때로부터 시작되었다’라는 기사가 보인다.

 

이것이 바로 유명한 1350년(충정왕 2) 경인년 왜구로서, 『고려사』를 비롯하여 『고려사 절요(高麗史節要)』, 『조선 왕조 실록(朝鮮王朝実録)』 등 여러 사서에서는 이때부터 왜구의 침입이 시작된 것으로 기록하고 있다. 이것은 그 이전에도 왜구의 침입이 있었으나, 이때부터 본격적인 왜구의 침략이 진행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왜구의 침입은 135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진행되었으나, 고려는 내우외환(内憂外患)으로 인하여 이에 대해 제대로 대처할 수 없었다. 충정왕(忠定王)[1337~1352] 때 권문세가(権門勢家)와 외척의 전횡으로 국정이 문란해지자, 원나라는 1351년(충정왕 3) 충정왕을 폐위시키고 그 뒤를 공민왕(恭愍王)[1330~1374]으로 하여금 잇게 하였다. 공민왕은 즉위하자마자 중흥정치를 표방하고 반원정책과 왕권 강화와 관련된 여러 가지 개혁을 추진하였으나, 끊임없는 내란과 외침을 겪으면서 개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우선 1352년(공민왕 원년) 조일신(趙日新)의 난이 일어났고, 1354년(공민왕 3)에는 원의 군사 파견 요청에 응하여야 하였으며, 1356년(공민왕 5)에는 제주에서 반란이 일어나고, 1359년(공민왕 8)에는 홍건적이 4만의 병력으로 침입하였으며, 1361(공민왕 10)에는 홍건적(紅巾賊)이 무려 10여 만에 달하는 대병력으로 재침하였다. 이때 개경은 34일 만에 함락되고 공민왕은 복주[경상북도 안동]까지 피난가야 했다.

 

한편 1362년(공민왕 11)에는 홍건적을 물리치는데 큰 공을 세운 3원수가 살해되는 사건이 발발하였고, 1363년(공민왕 12)에는 공민왕을 시해하려 한 흥왕사(興王寺)의 난이 일어났으며, 또 그 해에 원을 후원으로 하는 덕흥군(徳興君)의 침입이 있었다. 한편 공민왕 14년부터 20년까지 신돈이 집권하여 그동안 수많은 왜구를 물리친 최영이 실각하기도 하였다. 이같이 계속되는 내우외환 속에서 고려는 왜구의 침입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1371년(공민왕 20) 최영이 다시 정계에 복귀하고, 1372년(공민왕 22) 10월에는 6도 도순찰사로, 1373년(공민왕 23)에는 6도 도통사로 된 후 수군 강화 정책이 본격적으로 추진되었다. 왜구의 침입을 막는 데는 수군이 가장 효과적이라는 것을 그동안 왜구와의 전투 속에서 절실히 느끼고 있던 최영은 수군 강화 정책을 추진하였고, 이에 고려 정부는 군호(軍戸)를 등록하고, 전함을 건조하였으며, 왜구를 제대로 막지 못한 지휘관은 강력히 처벌하였다.

 

이에 따라 1373년(공민왕 23)에는 전함 314척, 사졸 2만 5600명의 병력으로 당시 중앙 정부의 명령을 제대로 따르지 않는 제주도의 목호(牧胡)를 토벌할 정도로 수군의 군사력이 강화되었다. 또 1377년(우왕 3) 3월에는 각도에서 2,800명의 승도들을 동원하고, 100명의 선장(船匠)을 뽑아 전선을 대대적으로 건조하도록 하였으며, 4월에는 판군기감사 이광보(李光甫)를 용진[강화도]에 보내어 전함 건조 사업을 지휘·감독하도록 하였다. 1380년(우왕 6)에 최영은 해도 도통사(海道都統使)를 겸임하면서 왜구들의 대비에 만전을 기하였다. 이와 같은 고려 국가의 노력에 의해 수군의 재건이 이루어지면서 진포대첩(鎮浦大捷)이 가능하였던 것이다.

 

[진포대첩 승리의 첫 번째 원인]

진포 대첩 승리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우선 꼽을 수 있는 것은 이 당시 만들어진 전함의 구조이다. 원래 고려는 뛰어난 조선술을 가지고 있었다. 『고려사』「김방경 전」에 고려가 원나라와 함께 일본을 정벌하고자 군선을 만들 때, 만일 중국식으로 만들면 공비도 더 들고 기일도 더 소요되므로, 전라도에서 공법이 간편한 고려식으로 서둘러 조선을 했다는 데에 여실히 나타나 있듯이 고려는 중국과는 다른 뛰어난 조선법(造船法)을 가지고 있었다.

 

또 그렇게 만든 고려의 배들은 일본에 원정하여 태풍을 만났을 때 중국의 대소 선박이 많이 깨졌는데도 고려의 선박들은 온전하다고 할 만큼 매우 튼튼한 성능을 지니고 있었다. 고려의 선박이 이처럼 견고하였던 것은 먼 바다 항해에 적합하게끔 앞뒤의 갑판은 높고 중앙부는 낮은 곡선형으로 만들고 얇은 판자나 나무 토막이 아니라 통나무와 큰 재목, 두꺼운 판자로 만들었으며, 살틀 구조[곧은 막대들을 삼각형 그물 모양으로 짠 골조]를 안받침 하여 전후좌우에서 오는 충격을 잘 견디어낼 수 있게 만들었기 때문이다.

 

 

고려 조선술의 또 다른 한 예를 보여주는 것이 군산도에서 만든 송방(松舫)이다. 1123년(인종 원년) 고려에 온 송나라 사신 서긍(徐兢)[?~?]이 쓴 『선화 봉사 고려 도경(宣和奉使高麗図経)』에는 군산도에서 만든 송방이라는 배에 대하여 “송방은 군산도에서 만든 배인데, 배의 머리와 꼬리가 모두 곧고, 중간에 방을 5칸 만들고 위에 띠로 덮었는데, 전후 2개의 작은 방에는 편안한 걸상을 두고 발을 드리웠으며, 중간의 넓은 방은 2칸으로서 비단으로 만든 방석과 침구가 있는 등 극히 화려하였다.”라고 쓰고 있다. 이와 같이 고려는 견고할 뿐만 아니라 화려한 배도 만드는 등 뛰어난 조선술을 자랑하고 있었다.

 

고려의 배는 견고할 뿐만 아니라 크기도 장대하였다. 1019년(현종 10) 여진 해적에 사로잡혔다가 고려 수군에 의해 구출·송환된 일본 여인 내장석녀(内蔵石女) 등이 고려 군선의 전투 상황을 진술한 『소우기(小右記)』에는 “[고려의 배는] 선체가 높고 크며 무기와 장비를 많이 갖추고 있어 적측의 배를 엎어버린다. … 고려의 배에 오르니 그 안은 넓고 컸으며 … 다락집은 좌우로 각각 넷을 세웠다. … 달아매지 않는 노가 한편에 7~8개가 있고 배의 앞면에는 쇠로 뿔을 만들어 적의 배를 들이받아 격파하게끔 되어 있었다.”라고 되어있다.

 

여기에서 고려 함선의 앞머리에 있다는 쇠뿔은 거북선의 앞머리에 있던 용머리와 같이 적선을 들이받아 쳐부술 수 있는 장치물이었다. 이처럼 고려는 커다란 전함을 보유하고 있었다. 고려시기 선박의 크기를 짐작할 있는 또 다른 예를 들면, 고려시기 임피 진성창에는 6척의 조운선이 있었는데, 이들은 모두 조세미 1,000석(石)을 적재하도록 규정되었다. 고려시기에 1석은 15말[斗]이므로 1,000석은 15,000말로서 오늘날 3,000가마에 해당한다. 이와 같이 고려시기의 배는 무려 3,000가마를 적재할 수 있을 정도로 엄청난 규모였던 것이다.

 

중세시기 해전에는 대체로 세 가지 전술을 사용하였다. 첫째는 선수(船首)에 뾰족한 충각(衝角)[ram]을 달고 적선의 옆구리를 찔러 침몰시키는 전술이고, 둘째는 적선에 접근하여 기어올라 백병전으로 적선을 송두리째 점령해버리는 전술이며, 셋째는 적선에 접근하되 밀착하지 않고 불화살이나 불 뭉치를 쏘아서 적선을 불태우는 방법이다.

 

당시 왜구들은 주로 두 번째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들은 20~30명이 관선(関船)이라는 쾌속선을 타고 적선에 접근하여 적선에 뛰어들어 백병전을 벌이는 것이 장기였던 것이다. 한편 우리나라는 주로 첫 번째와 세 번째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선수(船首)에 쇠로 만든 뿔을 달은 장대한 전함으로 적선을 들이받아 침몰시키거나, 적선에 불화살이나 불 뭉치를 쏘아 이들을 분멸(焚滅)시켰던 것이다.

 

고려 말 정부에 의해 새로이 건조한 배들은 모두 대형의 전함으로서 진포에서 왜구의 관선을 맞이하여 먼 거리에서는 화포를 쏘아대고, 가까이 접근하여서는 이들을 들이받아 침몰시켰던 것이다. 따라서 진포대첩의 승리의 원인으로 우선 고려 전함의 견고하고 장대한 구조를 들 수 있다.

 

[진포대첩 승리의 두 번째 원인]

진포 대첩 승리의 두 번째 원인은 주지하듯이 화포의 발명과 사용을 들 수 있다. 고려는 앞에서 말한 바와 같이 불화살이나 불 뭉치를 이용하여 적선을 불태우는 전법을 주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바다에는 불을 끄는데 필요한 물이 풍부하고 또 함선 자체가 늘 물속에 있으면서 젖은 부분이 많아 성공하기가 매우 어려웠다. 그것은 오직 강력한 폭발력과 높은 열을 내는 화약을 이용함으로써만 해결될 수 있었다.

 

바다로 들어오는 적은 마땅히 상륙하기 전에 바다 위에서 소멸시켜야 하며, 그러자면 화약무기를 써야한다고 생각한 최무선은 일찍부터 화약 개발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화약은 중국에서는 이미 10세기부터 불꽃놀이 등에 사용되고 있었고, 고려에서도 이것을 수입해 쓰고 있었다. 그러나 중국에서 그 제조 기법은 최고의 기밀로 간주하여 일체 외부로 알려지지 않도록 하였다. 이것을 전쟁 무기로 쓰면 무서운 힘을 발휘하기 때문이다.

 

최무선은 끊임없는 실험과 연구를 거듭한 끝에 마침내 화약 제조의 비법을 알아내게 되었다. 최무선이 화약과 화약무기를 만든 구체적인 연대는 알 수 없으나, 『고려사』「병지」 1356년(공민왕 5) 9월조에 “재상들이 숭문관에 모여 서북면에 보낼 무기를 검열하고 총통 발사 실험을 하였다.”라는 기사로 보아 1356년(공민왕 5) 이전에 이미 화약을 개발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것은 최무선이 만든 시제품의 실험이고, 화약 무기가 실전에 배치되기에는 오랜 시간을 기다려야 했다.

 

최무선이 화약을 발명한 지 17년이 지난 1373년(공민왕 22) 10월 최영이 6도 도순찰사가 된 이후 새로 만든 전함과 함께 화전(火箭)과 화통(火筒)의 시험이 있었다. 이때야 비로소 그 위력을 인정받은 것이다. 고려는 그 후 1377년(우왕 3)에 화통도감(火㷁都監)을 설치하고 최무선이 만든 화포와 화통들을 생산하여 군대에 배치하도록 하고, 1378년(우왕 4) 4월에는 화통방사군(火桶放射軍)을 조직하여 화포 사격 훈련과 화약무기를 설치한 함선들의 해상 전투 훈련을 실시하였다.

 

 

이때 최무선의 지휘 하에 화통도감에서 만든 무기로는 대장군포(大将軍砲), 이장군포(二将軍砲), 삼장군포(三将軍砲), 육화석포(六花石砲), 화포(火砲), 신포(信砲), 화통(火㷁), 화전(火箭), 철령전(鉄翎箭), 피령전(皮翎箭), 질려포(蒺藜砲), 철탄자(鉄弾子), 천산오룡전(穿山五竜箭), 류화(流火), 주화(走火), 촉천화(触天火) 등 여러 가지 대포와 포탄, 불화살이 있었다고 전해지고 있다.

 

최무선이 만든 화포는 견고하고 큰 배 위에서라야 발사가 가능하였다. 포 사격 시 강한 진동에 의해 웬만한 배들은 뒤집히거나 파괴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당시 고려의 배들은 앞에서 본 바와 같이 중국이나 일본 뿐만 아니라 세계 그 어느 나라보다 견고하고 장대한 배를 보유하고 있었다. 이러한 배가 있었기 때문에 최무선의 화포가 사용 가능하였던 것이다. 이와 같이 고려의 조선술과 화약기술이 만남으로써 세계 최초의 포함이 출현할 수 있었다.

 

[진포대첩의 전개]

 

 

고려는 이러한 세계 최초의 포함을 가지고 1380년(우왕 6) 8월 진포에 침입한 왜적을 불살라 없애는 진포 대첩에서 승리를 거두었다. 당시 왜구들은 500척에 이르는 대규모 선단을 거느리고 곡식을 노략질하기 위해 군산 방면으로 침입해 왔는데, 그 군사들은 대체로 10,000명 이상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들은 약탈한 곡식들을 함선에 적재할 때 흔들리지 않도록 큰 밧줄로 배들을 서로 잡아매고, 일부 병력을 남겨둔 채 육지에 올라와 주·군을 돌아다니면서 곡식을 비롯한 재물을 약탈하기 시작하였다.

 

한편 왜구의 대함대가 쳐들어왔다는 급보를 받은 고려 정부는 도원수 심덕부, 상원수 나세, 부원수 최무선의 지휘 하에 화약 무기를 적재한 신형 함선 100척을 출동시켜 왜선들을 소탕하도록 하였다. 고려 함선들은 진포에 이르러 밧줄로 서로 묶여있는 적함을 향해 일제히 포문을 열고 화전과 화포의 집중 사격을 퍼부었다. 이러한 진포 대첩의 상황을 『고려사 절요』 우왕 6년 8월조에는 다음과 같이 전하고 있다.

 

 

왜적의 배 500척이 진포 어귀에 들어와 큰 밧줄로 서로 잡아매고 군사를 나누어 지키게 하고는 언덕에 올라 각 주(州)·군(郡)으로 흩어져 들어가서 마음대로 불사르고 노략질하니, 시체가 산과 들에 덮이고, 곡식을 그 배에 운반하느라 땅에 쏟아진 쌀이 한 자 부피나 되었다. 나세·심덕부·최무선 등이 진포에 이르러, 최무선이 처음으로 만든 화포를 써서 그 배를 불태우니, 연기와 화염이 하늘에 넘쳐 적이 거의 다 타죽었고, 바다에 빠져 죽은 자도 또한 많았다.

 

 

고려 함대는 적선 500척을 모조리 파괴·소각시키고 왜구들에게 붙잡혔던 330명의 고려 백성을 구출하였다. 여기서 간신히 살아남은 왜구들은 옥주[충북 옥천]로 달아나 먼저 상륙한 적들과 합류하였다. 이들은 돌아갈 배를 잃고 퇴로가 끊기자 이산[옥천군 이원면], 영동, 황간, 상주 등지로 도망 다니면서 살상과 노략질을 일삼았다. 그리고 이들은 상주에서 어린 아이의 배를 갈라 점을 친 후 다시 선주[경북 선산], 경산, 함양, 남원 등지로 도망 다녔다.

 

1380년(우왕 6) 9월 고려는 이성계를 양광도·전라도·경상도 삼도 도순찰사로 임명하고 이들 왜구 잔당들을 토벌하게 하니 이성계는 남원시 운봉에서 이들을 소탕하였다. 이것이 황산 대첩이다. 황산 대첩에서 왜구는 단지 70여 명만이 살아남아 지리산으로 도망하였으나 이내 토벌되었다. 진포에 침입할 때 왜구의 수가 10,000명이 넘었는데, 진포 대첩과 황산 대첩에 의해 전멸되었던 것이다. 이성계는 황산 대첩으로 인해 국민적 영웅으로 추앙받아 새 왕조를 개창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는데, 황산 대첩은 바로 진포 대첩이 먼저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이다.

 

진포 대첩은 1350년(충정왕 2) 왜구들이 고려에 본격적으로 침입하기 시작한 이래, 30년 만에 고려 수군이 거둔 최초의 승리이며, 또 대 왜구 투쟁에서 고려가 거둔 가장 빛나는 승리이기도 하였다. 이것으로 인해 왜구들이 비록 마지막 발악을 하기는 하지만 그 대세는 꺾이어 왜구들이 점차 사라지기 시작했다. 이에 여말 선초의 대표적 학자인 권근은 ‘하 최원수 파 진포 왜선(賀崔元帥破鎮浦倭船)[진포에서 왜선을 격파한 최무선 원수를 축하하며]’이라는 시에서 ‘넘쳐흐르던 적의 기운은 대포 연기 따라 흩어지고, 세상을 덮을 듯한 공명(功名)은 석양처럼 온 천하에 빛난다.[漫空賊気随煙散 盖世功名如日鋪]’라 하면서 최무선 장군의 공을 기리기도 하였다.

 

[진포대첩의 역사적 의의]

진포 대첩의 역사적 의의를 살펴보면, 우선 첫째로, 진포 대첩은 세계 해전사에 처음으로 화포를 사용한 전투였으며, 화력 기동 전술과 해상 포격전의 시초를 열어 놓은 역사적인 해전이었다. 지금까지 세계 최초로 화포를 사용하여 적선을 격침시킨 해전으로는 1571년 베네치아, 로마, 에스파냐 3국이 오스만 튀르크 제국과 싸워 이긴 레판토 해전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고려의 진포 대첩이 있은 지 191년이 지난 후의 일이다. 즉 고려는 서양보다 191년이나 앞서 포함을 개발하고 실전에서 화포를 사용했던 것이다.

 

둘째, 진포 대첩은 왜구의 침입을 저지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진포 대첩으로 왜구의 기세는 꺾이게 되고, 고려는 진포대첩의 여세를 몰아 1383년(우왕 9) 5월 정지(鄭地)의 남해[관음포] 대첩, 1389년(공양왕 원년) 2월 박위의 대마도 정벌 등 왜구 토벌을 강행하였다. 이로써 임진왜란 전까지 왜구가 다시 우리나라에 대규모로 침입하는 일은 사라지게 되었다.

 

 

셋째, 진포 대첩은 조선 왕조 개창에 일조하였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먼저 진포 대첩이 있었기에 이성계의 황산 대첩이 가능하였다. 이성계는 황산 대첩으로 국민적 영웅으로 부상하였으며, 이러한 정치적 토대를 바탕으로 새 왕조를 개창할 수 있었다. 따라서 진포 대첩은 이성계의 조선 왕조 개창에 일조하였다고 할 수 있다.

 

넷째, 진포 대첩은 임진왜란 당시 조선 수군의 전술의 모델이 되었다. 임진왜란 때 이순신 장군은 진포 대첩과 같은 전술을 사용하여 일본군을 물리쳤다. 당시 일본군의 주력함은 왜구의 배와 동일한 관선이었고, 일본 수군이 가지고 있는 화약무기는 서양 사람들이 개발한 조총이 유일한 것이었다. 그러나 조총은 육지에서는 효과가 있지만 바다에서는 별 도움이 안 되었다. 반면 조선 수군은 일본의 관선보다 월등하게 크고 견고한 함선을 가지고 있었고 또 각종 화포도 보유하고 있었다. 이에 조선 수군은 진포 대첩에서와 같이 함포 사격을 통해 일본 수군을 전멸시켰다. 진포 대첩의 전술은 200여 년 후에 일어난 임진왜란에서도 사용될 정도로 선진적 전술이었고, 또 조선 수군의 전술의 모델이 되었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