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내수 진작’ 외치며 ‘소비 과시’는 때려잡는 이유
1100조 재정적자 감수하며 내수 부양을 제1 과제로 내세워
‘청년 실업난’ 속 상대적 박탈감 우려해 ‘돈 자랑 SNS’ 퇴출
출처 : 시사저널 2025. 03. 23. 모종혁 중국 통신원
3월11일 중국의 최대 정치 이벤트인 양회가 폐막했다. 여기서 올해 중국 경제사회 목표를 담은 정부업무보고가 통과됐는데, 올해 경제성장률은 작년과 같은 5.0% 안팎으로 설정했다. 주목됐던 재정적자율 목표는 국내총생산(GDP)의 4%로 했다. 지난해의 3%보다 1% 높은 수치로, 역대 최고 수준이다. 즉, 중국 당국이 5조6600억 위안(약 1135조원)의 재정적자를 감수하면서 경제 회복에 나서겠다는 의지를 밝힌 것이다.
10대 중점과제의 첫째도 '내수 확대'였다. 작년엔 '새로운 질적 생산력의 발전'이었다. 이튿날 중국 행정부인 국무원은 회의를 열어 올해 업무진행방안을 통과시켰다. 하지만 이때까지 시장의 반응은 미지근했다. 중국은 2023년에도 양회에서 내수를 확대하겠다고 공언했지만, 구체적인 실행은 미흡했다. 그로 인해 제로 코로나 정책을 종식하고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에 나선 중국에 기대를 걸었던 적지 않은 국가가 실망했다. 이번에도 마찬가지였다. 양회 기간 초기에 급등했던 중국과 홍콩 증시가 폐막 이후 약세로 돌아섰다.
中 당국의 내수 부양책 기대감에 증시 급상승
그런데 3월14일 시장에 소문이 떠돌았다. 중국 당국이 곧 소비 진작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발표할 것이라는 내용이었다. 이에 중국과 홍콩 증시가 즉각 반응했다. 상하이종합지수는 1.81% 오른 3419로 장을 마감했다. 이로써 지난해 12월30일(3407) 이후 처음으로 3400선을 넘어섰다. 홍콩 항셍지수는 2.12% 상승한 2만3959를 기록했다. 소문은 사실이었다. 3월16일 중국공산당과 국무원은 '소비 진흥 특별행동방안'(이하 방안)을 발표했다. 중국에서 당정이 공동으로 정책을 발표한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
'방안'은 도시와 농촌 주민의 소득 증대를 위한 대책으로, 최저임금을 인상하고 건설 프로젝트를 통해 고용을 확대해 임금소득을 높이겠다고 밝혔다. 주식시장을 활성하기 위해 상업보험, 사회보장, 연금펀드 등 연기금 자금을 시장에 투입하고, 개인투자자를 위한 채권 상품을 다양화해 자산소득 폭도 넓히도록 했다. 소비 환경 개선을 위해선 연차 유급휴가 등 휴식 및 휴일을 확실히 보장토록 했다. 지난해부터 시행 중인, 낡은 소비재를 새것으로 교체하는 데 지원하는 이구환신(以舊換新) 정책의 지원 강도도 높이도록 했다.
시장의 반응은 호의적이었다. 3월17~18일 상하이지수는 강보합세를 유지했다. 항셍지수는 3월18일 2.33% 오른 2만4710으로 장을 마감했다. 특히 장 중엔 52주 최고치인 2만4745까지 찍었다. 홍콩 금융시장은 외국인이 중국에 직간접으로 투자하기 위한 공식 통로다. 그렇기에 중국 경제에 대한 향후 예측이 가장 먼저 반영된다. 중국에 대한 관세전쟁을 예고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취임을 앞두고, 1월13일 항셍지수는 1만8874까지 떨어졌다. 하지만 두 달이 지나 30.9%나 상승했다.
외국인 투자자가 향후 중국 경제를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있다는 의미다. 이런 현실은 2023년 말부터 한국 언론과 전문가들이 얘기한 '망하고 있는 중국'과는 상반된다. 중국의 한 단면만 보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그 대표 분야가 부동산과 소비, 청년 실업률이다. 2020년부터 중국 당국이 부동산 대출을 대대적으로 규제하면서 부동산 시장은 크게 위축됐다. 그로 인해 당시 중국 부동산 개발업체 중 자산 규모 1위였던 헝다가 디폴트(채무 불이행)에 빠졌다.
그 후 여러 부동산 개발업체가 실적 악화로 디폴트를 선언했고, 2023년에는 최대 부동산 개발업체인 비구이위안까지 위기에 빠졌다. 중국 부동산 개발 투자액은 2022년 -10%, 2023년 -9.6%, 2024년 -10.6%로 계속 떨어졌다. 신축 주택 평균가격은 2022년 -28.3%, 2023년 -6.0%, 2024년 -17.6%로 더 큰 폭으로 하락했다. 1990년대 말부터 중국은 한국 못지않은 부동산 불패의 나라였다. 부동산 투기로 인해 베이징, 상하이, 선전 등 1선 도시의 집값은 서울보다 높았다. 대출을 끼고 주택을 사서 빈집이 1억 채까지 양산됐다.
그러나 지금 중국에선 부동산 거품이 꺼지고 있다. 부동산 거품이 꺼지면, 상류층의 투자소득은 줄어들지만, 서민과 청년층의 거주 여건은 개선된다. 실제 2022년 이래 중국에서 주택 임대료도 정체되거나 하락해 서민과 청년층의 주거 안정성은 높아졌다. 당국이 소비 진흥을 부르짖을 만큼 최근 수년 동안 중국 내수는 가라앉았다. 2024년 중국 소매판매액은 전년 대비 3.5% 증가하는 데 그쳐, 경제성장률(5%)에 못 미쳤다. 소비자물가지수는 0.2% 늘어나는 데 그쳤다.
16~24세 청년 실업률 16%…전체 실업률의 3배
물가 정체에도 소비가 진작되지 못한 이유는 1인당 GDP가 이전처럼 드라마틱하게 늘지 않았기 때문이다. 중국 1인당 GDP는 2005년 1753달러에서 2010년 4550달러로 2.6배 늘어났고, 2015년에는 8016달러로 다시 2배 가까이 증가했다. 2019년에는 1만276달러로 1만 고지에 올라섰지만, 2021년부터 2023년까지 1만2000달러대에 머물렀다. 게다가 코로나19 사태로 당국의 폭압적인 정책을 경험한 중국인들은 소비를 망설였다. 2024년 1만3444달러로 상승했지만, 이는 당국이 새 산정 방식을 적용한 영향이 크다.
올해 1월 중국 16~24세 청년의 실업률은 16.1%로, 전체 실업률인 5.2%의 3배에 달한다. 이는 갓 사회에 나온 청년이 원하는 일자리와 현실의 직장이 일치하지 않는 미스매치 탓이다. 지난해부터 빅테크는 대규모 채용에 나섰지만, 그 대상은 이공계로 한정됐다. 이런 사정은 한국도 마찬가지다. 2월 15~29세 실업률은 7%에 불과했지만, 통계 밖 '그냥 쉬었다'는 청년이 2003년 통계 집계 이래 처음으로 50만 명을 넘어섰다.
그렇다고 중국의 장래가 마냥 밝은 것은 아니다. 가장 심각한 문제는 저출산·고령화다. 2023년 합계출산율은 1.0명으로 떨어졌다. 2024년 혼인신고 건수는 610만 건으로, 전년보다 20% 감소했다. 통계 집계 이래 최저치였다. 2023년 65세 이상 고령 인구 비중은 15.4%에 달했다. 지금 추세라면 중국은 2030년에 초고령사회에 진입한다. 즉, 아시아에서 최초로 부자가 되기 전에 '늙는 나라'가 될 가능성이 높다. 극심한 빈부 격차와 지역 격차도 해소되지 않고 있다. 인구 2185만 명의 베이징은 2024년에 1인당 GDP가 3만1679달러였다.
인구 2487만 명의 상하이도 3만441달러로, 3만 고지에 올라섰다. 하지만 인구 3409만 명의 충칭은 1만3308달러에 불과하다. 세 도시는 중국의 4대 직할시지만, 각각 연해와 내륙 지방에 위치해 있다. 내륙에서 경제력이 가장 강한 충칭조차 연해 대도시에는 한참 뒤처진다. 그렇기에 중국 당국은 양회 직후 SNS에 사치를 과시하는 영상을 올리는 인플루언서들의 계정 다수를 영구 정지시켰다. 이는 당국이 내놓은 소비 진흥책으로 인해 연해 지방 상류층이 과시성 소비를 일으켜 상대적 박탈감을 조장할까봐 염려했기 때문이다.
2년반째 이어진 위안화 약세…트럼프‧중국 가격 공세 ‘수출 이중고’
출처 : 중앙일보 2025. 03. 27. 정진호 기자
달러당 위안화 환율이 7위안을 넘는 ‘포치(破七)’가 장기화하고 있다. 위안화 약세가 오랫동안 이어지면서 안 그래도 싼 중국 상품의 수출 가격이 더 내려갔다. 트럼프 신정부의 관세 정책 불확실성까지 연일 고조되면서 국내 수출기업은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이중고에 시달리고 있다.
‘1달러=7위안대’ 고정
27일 미국 달러당 위안화는 7.26위안에 거래됐다. 이달 초 열린 중국 양회 이후 경제가 회복할 수 있다는 기대가 커지면서 환율이 소폭 하락(위안화 가격 상승)했다고는 하지만, 주요국 통화와 비교해 여전히 위안화 가치는 낮은 수준이다. 2022년 초와 비교하면 14% 넘게 하락했다. 2022년 5월 달러당 7위안을 넘어선 이후 위안화 약세는 이어지고 있다.
통상 달러당 7위안이 넘으면 위안화 가치가 통상적인 수준보다 더 낮은 것으로 여겨진다. 7이 깨진다는 뜻의 포치(破七)라는 용어가 금융시장에서 쓰이는 것도 달러당 7위안의 상징성이 그만큼 크기 때문이다. 위안화 약세가 장기화한 데는 강달러 영향도 있지만, 이를 고려해도 위안화 하락 폭은 유독 심하다. 유로 등 6개 주요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보여주는 달러인덱스는 2022년 1월 초 96.54에서 지난 26일 104.67로 8.4% 상승하는 데 그쳐 같은 기간 달러당 위안화 하락 폭(14.2%)에 못 미친다.
중국 경기침체에 트럼프 리스크 겹쳐
2022년 중국 부동산 경기 침체가 본격화한 이후 위안화 가격은 내리막을 걸었다. 내수를 비롯해 중국 경제가 위축될 것이라는 우려 때문이다. 민경원 우리은행 선임연구원은 “중국 내 부동산 경기가 안 좋았던 부분이 위안화 가격 하락의 가장 큰 요인”이라며 “최근엔 미국의 관세 부과를 앞두고 위안화를 절하할 수 있다는 리스크까지 반영되고 있다”고 말했다.
위안화 가치가 하락할 경우 미국 등 다른 나라로 수출하는 중국 제품의 가격 경쟁력이 높아진다. 관세로 인한 가격 상승 효과를 상쇄할 수 있다는 의미다. 글로벌 투자은행인 JP모건은 중국이 미국발 관세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달러 대비 위안화를 5~10% 평가 절하하는 외환정책으로 맞설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을 내놓기도 했다.
한국 수출에 악재…가격 경쟁력 떨어져
위안화 약세 장기화는 국내 수출기업에 악조건으로 작용한다. IBK기업은행 경제연구소가 최근 내놓은 ‘기업 규모별 수출과 환율‧금리 간 관계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위안화 환율은 기업 규모와 관계없이 국내 기업 수출과 유의미한 음의 관계가 나타났다. 달러 대비 위안화 환율이 상승(위안화 가격 하락)하면 중국 제품의 수출 가격이 하락하고, 대기업과 중소기업 모두 수출이 줄어든다는 의미다.
위안화 변화가 한국 수출이 미치는 영향은 달러보다 크게 나타난다. 기업은행 경제연구소가 달러 가치 상승에 따른 수출 금액 변화를 추적한 결과 원화 대비 달러 가치가 오를 때 종사자 수 250명 미만의 소기업 수출은 증가했지만, 대기업 등은 환율 변동에 따른 수출 차이가 뚜렷하지 않았다. 달러 강세와 위안화 약세가 이어지는 상황이 국내 수출기업에 주로 불리한 방향으로 작용한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연구소는 “중국과 경쟁 관계에 놓인 수출품이 많아졌기 때문”이라며 “향후 트럼프 정부의 고율 관세에 대응해 중국이 위안화 약세를 용인할 가능성이 커 한국 수출의 하방 위험이 확대됐다”고 밝혔다.
트럼프로 인해 커지는 무역 불확실성도 국내 수출 경기를 제약하는 요인이다. 한국도 관세 사정권에서 안전하지 않은 만큼 수출에 차질이 있을 수 있다. 백관열 LS증권 연구원은 “관세 불확실성이 이어지는 한 위안화 약세는 계속될 것”이라며 “중국과 경쟁하는 한국 수출기업 입장에선 부정적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자오자오 차이나]
115달러→1.5달러…미국 나스닥 흐리는 중국 동전주 제동
美 증시서 반복되는 중국 기업의 폭락
출처 : 머니투데이 2025. 03. 20. 박수현 기자
[편집자주] 중국은 가깝고도 먼 나라입니다. 서로를 의식하며 경쟁하고 때로는 의존하는 관계가 수십세기 이어져 왔지만, 한국 투자자들에게 아직도 중국 시장은 멀게만 느껴집니다. G2 국가로 성장한 기회의 땅. 중국에서 챙겨봐야 할 기업과 이슈를 머니투데이가 찾아드립니다.
중국 기업이 미국 증시에 상장한 뒤 주가가 폭락하는 사례가 반복된다. 매직엠파이어글로벌(NAS:MEGL)이 대표 사례다. 이 기업 주가는 2022년 8월 상장 직후 공모가의 60배까지 올랐다가, 일주일 만에 최고가 대비 95% 폭락했다. 현 주가도 상장 당일 종가와 비교해 98%대 하락한 수준이다.
이 같은 사례가 반복되자 중국 정부가 자국 기업의 미국 증시 상장에 제동을 걸었다. 중국 기업이 미국에 상장한 뒤 시세조종과 투기에 악용되는 사례를 막기 위해 승인 심사를 통제한다는 설명이다. 이를 두고 트럼프 행정부 2기가 시작되며 불붙은 미중 갈등의 영향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미국에선 중국 기업의 주가가 계속 떨어지고 있다는 경고의 목소리가 나온다. 미국 의회 산하의 미중경제안보심의위원회가 발간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월8일 기준 미국 증시에 상장된 중국 기업은 265곳, 시가총액 합계는 8480억달러(약 1232조7376억원)로 집계됐다. 전년과 비교해 상장 기업은 13곳 늘었지만 시가총액은 17.66% 줄었다.
올해 들어서는 알리바바, 텐센트, 샤오미 등 중국 기업의 AI 랠리가 시작되며 홍콩과 미국에 중복 상장된 중국 테크기업의 주가가 올랐지만 대형주가 아닌 소형주의 주가는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특히 2022년 이후 상장한 중국 기업 상당수가 상장일 대비 부진한 주가 수준을 나타낸다. 동전주(주가가 1달러 미만인 주식)로 전락한 종목도 다수다.
미국에 2023년 상장한 중국 기업인 유파워(NAS:UCAR), 골든헤븐그룹 홀딩스(NAS: GDHG)는 상장일 종가 대비 주가가 99%대 내렸다. DDC 엔터프라이즈(NAS:DDC)는 96%대, 채채그룹(NAS:CCG)는 95%대, 글로벌 모파이 AI(NAS:GMM)는 94%대, 탑 킹윈(NAS:WAI), 시아오아이(NAS:AIXI)는 93%대 하락했다.
이에 중국 정부는 자국 기업의 미국 입성을 까다롭게 심사하기 시작했다. 미국 증시에 이름을 올린 중국 기업 상당수가 자본금이 적은 데다 기업의 기초체력(펀더멘털)이 약해 투기 세력의 먹잇감이 되기 쉬운 곳이라서다. 무분별한 상장을 막는 동시에 자국 기업이 악용되는 것을 막겠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와 같은 변화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시작됐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지난달 증권감독관리위원회(CSRC) 등 관계자의 입을 빌려 중국이 자국 기업의 역외상장을 단속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중국이 승인한 미국 기업공개(IPO) 신청 건수는 지난해 상반기 22건에서 하반기 11건으로 반토막 났다.
홍콩과 상하이, 선전 증시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목적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FT의 분석에 따르면 중국에서는 정부가 최근 수년간 국내 IPO 통제를 강화하며 미국 증시로 눈을 돌리는 사례가 늘었다. 미국 증시에 상장한 중국 기업은 2023년 37개에서 지난해 61개로 증가한 반면, 같은 기간 중국 내 상장 건수는 3분의 2 이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중 갈등도 영향을 미쳤다는 평이다. 박승찬 용인대 중국학과 교수는 "이전부터 중국에서 성장한 기술 기업이 미국에 상장해 '미국 사람 돈 벌게 해준다'는 인식이 있었다"라며 "최근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 경제를 흔들려는 상황 속에서 중국의 입장에서는 갈등을 미리 대비하고 미국과의 금융 디커플링(탈동조화)을 심화시키려는 의도가 있을 것"이라고 했다.
10년 만에 이재용과 만난 시진핑...
글로벌 CEO들에게 "중국은 안전한 투자처, 개방 확대"
중국발전포럼 연계 '국제공상계 대표 회견' 개최
대내외 불확실성 속 외국 기업에 우호 메시지
출처 : 한국일보 2025. 03. 28. 이윤주 기자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글로벌 기업 최고경영자(CEO)들과 함께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만났다. 이 회장과 시 주석의 만남은 2015년 3월 중국 보아오포럼에서 진행된 시 주석과 기업인 간 간담회 이후 10년 만이다.
28일 재계에 따르면 이 회장은 이날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시 주석과 글로벌 CEO 면담 '국제공상계 대표 회견'에 참석했다. 회견에는 이 회장을 비롯해 23∼24일 중국발전포럼(CDF)에 참석했던 팀 쿡 애플 CEO, 크리스티아누 아몬 퀄컴 CEO, 올리버 집세 BMW 회장, 올라 칼레니우스 메르세데스-벤츠 회장, 알버트 불라 화이자 CEO 등 40여 명이 함께했다. 한국 경영자 중엔 이 회장과 곽노정 SK하이닉스 사장이 참석했다.
이날 행사는 부동산 위기와 내수 침체 상황에서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폭탄'에 직면한 중국 정부가 외국 기업과의 관계를 강화하기 위해 마련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상무부에 따르면, 지난해 외국인의 중국 직접투자액(FDI)은 전년 대비 27.1% 감소하며 중국 경제에 부담이 커졌다. 이날 간담회에서 시 주석은 경영자들을 만나 "중국은 이전에도 그렇고 지금과 앞으로도 외국 기업인에게 이상적이고 안전·유망한 투자처"라며 "개방의 문은 더 넓게 열릴 것"이라고 강조했다고 외신들이 보도했다. 시 주석은 미국의 관세 조치 등에 대해 "다른 사람의 길을 막는 것은 결국 자신의 길만 막을 뿐"이라면서 "다른 사람의 빛을 꺼트린다고 자신의 빛이 밝아지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콕 짚어 한국 메모리 제조사 수장 만난 시진핑
시 주석이 이 행사에 우리 기업인 중 이재용 회장 등 반도체 제조사 경영자를 초청한 건, 한국에 대한 중국의 메시지를 상징적으로 드러낸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중국이 '세계의 공장'으로 제조업 패권을 쥐고, 인공지능(AI) 등 첨단 전략산업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원활한 반도체 수급이 필수적이라 메모리 반도체 제조 분야에서 절대 우위를 지닌 한국과의 협력이 절실하다는 것이다. 삼성전자는 중국 시안에서 낸드플래시를, SK하이닉스는 우시와 다롄에서 각각 D램과 낸드플래시를 생산하고 있다. 미국은 조 바이든 정부 시절부터 대(對)중국 반도체 장비 수출을 규제했지만, 중국 내 우리 기업들은 현재 '검증된 최종 사용자(VEU)'로 지정돼 제한된 범위에서 장비 도입이 가능하다. 다만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반도체 장비 수출 통제를 강화할 경우 중국에 사업장을 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영향을 받을 수 있고, 중국 첨단 산업도 타격이 불가피하다.
우리 기업 입장에서도 중국은 놓칠 수 없는 시장이다. 지난해 삼성전자의 중국 매출은 64조9,000억 원으로 전체 매출(209조 원)의 31%를 차지했다. 국내(20조3,000억 원)는 물론 미주(61조4,000억 원), 유럽(29조1,000억 원)을 뛰어넘은 최대 시장이다. SK하이닉스 역시 전체 매출(2024년 기준 66조2,000억 원)의 약 4분의 1이 중국에서 나온다.
다만 미국과 중국, 두 강대국 사이에서 균형을 잡아야 하는 우리 기업 입장에서 이 같은 중국의 공개 행사가 적지 않은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재계 관계자는 "중국 발전포럼, 중국공상계 대표 회견이 정의선 현대차 회장의 대규모 미국 투자 발표 시기와 맞물리면서 초청 기업들이 경영진의 중국 출장 일정 공개에 극도로 신경 쓴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중국발전포럼 참석 등 일주일간의 중국 출장을 마치고 이날 서울 강서구 서울김포비즈니스항공센터로 귀국한 이재용 회장은 출장 성과를 묻는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지 않고 현장을 떠났다.
중국판 ‘리먼 사태’ 없도록 …4대 국유은행 공적자금 100조원 투입
초장기 특별국채 발행해 / 중국 4대은행 자본확충
금리 인하 여력 등 확보
출처 : 경향신문 2025. 03. 31. 베이징 | 박은하 특파원
중국 정부가 4대 국유은행에 100조원 넘는 공적자금을 투입해 자본확충에 나선다. 수년째 이어지는 부동산 시장 침체가 금융위기로 이어지는 것을 막고, 금리 인하 등 향후 부양 여력을 확보하려는 조치다.
31일 중국중앙TV(CCTV) 등에 따르면 중국 4대 국유은행인 중국은행, 교통은행, 우정저축은행, 건설은행은 전날 증권거래소에 총 5200억위안(약 105조4000억원)을 증자한다는 계획안을 제출했다. 은행별로 보면 중국은행이 1650억위안, 건설은행이 1050억위안, 교통은행이 1200억위안, 우정저축은행이 1300억위원을 각각 증자한다.
중국 정부가 발행한 초장기 특별국채를 통해 자금 대부분을 조달한다. 리창 국무원 총리는 지난 5일 전국인민대표대회 업무보고에서 은행 부문에 공적 자금을 투입하기 위해 5000억위안어치의 특별국채를 발행한다고 밝혔다. 중국 재정부 외 주된 투자자는 국유 통신사와 선박회사 등이다.
중국이 금융권에 이 정도 대규모 공적자금을 투입한 것은 아시아 외환위기가 발생한 1998년 2700억위안을 지원한 이후 처음이다.
대형 국유은행 공적자금 투입은 중국 경제 신뢰 회복을 위한 조치다. 당국이 부동산 구조조정을 계속해 나가면서 위기의 불이 금융 시스템으로 옮겨붙지 않도록 방화벽을 설치했다고 볼 수 있다.
최근 몇 년간 중국에서는 ‘부동산발 금융위기설’이 심심찮게 나오곤 했다. 부동산 경기 침체로 인해 대형 부동산 개발사들의 채무 불이행 위험이 높아지고, 지방채를 포함해 부실 채권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중국 부동산 개발사의 부채는 약 130조위안(약 2경6300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이에 더해 부동산 침체로 인한 대출 수요 급감, 경기 부양을 위한 금리 인하 등으로 은행 이익이 감소했다. 국가금융감독관리총국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중국 시중은행 순이자마진은 1.52%로 통계집계 이후 최저치로 떨어졌다.
향후 미·중 무역전쟁의 여파로 추가 금리 인하가 필요할 때를 염두에 두고 시중은행의 대출 여력을 높이려는 포석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인민은행은 경기를 자극하기 위해 올해 정책금리 등을 ‘적시에 인하한다’는 방침을 제시했다.
파이낸셜타임스에 따르면 S&P Global 분석가들은 “중국 대형 국유은행들은 정책자금 대출을 통해 당국의 사회·경제 정책을 뒷받침한다”며 “(공적자금 투입을 통한 자본확충이) 관세 역풍 속에서 성장을 뒷받침할 자금의 가용성을 높일 것”이라고 평가했다. CCTV는 “장기적으로 고품질 발전을 이어나가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美관세 폭탄' 통했나…中, 철강 생산량 구조조정 착수
中국가개혁위, 감산계획 내놔
시장선 연간 5000만톤 감산 추정
해외 수출 물량의 절반 수준
수출장벽 높아지자 공급과잉 해소
포스코·현대제철 등 철강주 급등
출처 : 한국경제 2025. 03. 07. 하지은 기자
세계 최대 철강 생산국인 중국이 대규모 감산에 나선다. 중국은 그간 부동산 침체와 내수 부진으로 철강 수요가 급감하자 재고 처리를 위해 수출로 눈을 돌렸는데, 해외 시장에 제품을 헐값에 쏟아내다 보니 덤핑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미국을 필두로 중국 철강에 고율 관세를 매기려는 움직임이 확산하자 중국 정부가 덤핑의 원인인 공급 과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특단의 조치를 꺼냈다는 평가가 나온다. 중국산 저가 철강재 유입으로 수익성이 악화한 한국 철강업계에 숨통이 트일 것으로 전망된다.
7일 외신 등에 따르면 중국 경제정책을 총괄하는 국가발전개혁위원회(NDRC)는 지난 5일 열린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철강 생산량을 감축해 산업 구조조정을 촉진하겠다”고 밝혔다. 로이터통신은 “NDRC가 대규모 감산 계획을 내놓은 건 이번이 처음”이라며 “글로벌 무역에서 마찰을 일으키는 과잉생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차원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중국 정부가 구체적인 감축량을 발표하지는 않았지만 시장은 연간 5000만t을 줄일 것으로 본다. 작년 한국 생산량(6350만t)의 80%에 가까운 수치다. 중국의 연간 생산량(10억510만t)과 비교하면 급진적인 감축은 아니지만 연간 수출량(1억1106만t)의 절반에 달해 파급 효과가 작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은 2021년 부동산 기업 헝다의 유동성 위기에서 촉발된 부동산 경기 침체와 내수 부진의 영향으로 철강 수요가 급감하고 있다. 중국 관세청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의 철강 순수출(1억390만t)은 2015년(9962만t) 이후 9년 만에 사상 최대를 기록했는데, 이는 수출량이 전년보다 22.7% 증가한 데 반해 수입량은 10.9% 감소한 결과다. 내수 시장에서 제품이 팔리지 않으니 수입은 줄이고 수출을 늘리는 경향이 강해진 것이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수출 장벽까지 높아졌다. 미국 등 주요 국가가 자국 철강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중국산 저가 철강에 고율 관세를 속속 부과하기 시작했다. 미국은 오는 12일부터 모든 수입 철강 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할 방침이다. 사실상 글로벌 철강 생산량의 55%를 차지하는 중국을 겨냥한 조치다. 유럽연합(EU)도 중국산 철강 제품 3종에 대한 덤핑 조사를 벌이고 있고, 베트남은 중국산 열연 제품에 19.38~27.83%의 반덤핑 관세를 매겼다.
한국도 가세했다. 중국산 후판에 기업별로 27.91~38.02%를 부과하는 안을 추진 중이고, 현대제철이 제기한 중국산 열연강판 덤핑 조사도 착수했다. 정부 관계자는 “올 들어 급증하는 무역구제에 중국에서도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중국의 철강 감산이 현실화하면 한국 철강사의 수익성도 개선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 같은 기대에 국내 철강주는 7일 일제히 강세를 보였다. 포스코스틸리온이 17.46% 올랐고 현대제철(8.7%), 포스코홀딩스(7.28%)를 비롯해 한국철강, 고려제강, 대한제강도 3% 안팎 상승했다.
‘철강생산 2위’ 인도도 수입 철강에 12% 관세 부과 검토
상무부 “200일 동안 관세 부과 권고”
출처 : 헤럴드경제 2025. 03. 19. 정목희 기자
[헤럴드경제=정목희 기자] 미국이 수입 철강과 알루미늄에 25%의 관세를 일괄 부과하기로 하자 세계 2위 철강 생산국인 인도도 관세 도입을 검토하고 나섰다.
19일(현지시간) 이코노믹타임스 등에 따르면 전날 인도 상무부는 200일 동안 철강 관세를 12% 부과할 것을 무역부에 권고했다.
상무부는 이번 조치는 “국내 산업에 영구적인 피해를 주거나 입힐 위험이 있는 수입이 증가할 때 적용된다”며 “임시 긴급 조치가 지연되면 복구하기 어려운 피해가 초래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번 조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수입 철강과 알루미늄에 25%의 관세를 일괄 부과하기로 함에 따라 자국 철강 산업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철강 산업은 인도의 중요 산업 중 하나로 꼽힌다. 인도를 전 세계 주요 생산 기지로 만들겠다는 나렌드라 모디 총리의 ‘메이크 인 인디아’ 정책으로 철강 수요가 급증하자 2017년 인도 정부는 철강 순수출국으로 전환하겠다며 2030년까지 철강 생산량을 3억t으로 확대한다는 내용의 ‘국가 철강 정책’을 세웠다.
이 덕분에 현재 인도의 철강 생산량은 연 1억8000만t에 달하며 중국에 이어 세계 2위 철강 생산국으로 올라섰다.
하지만 워낙에 철강 수요가 많다 보니 수입 역시 늘어나는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미국이 철강 제품 관세율을 25%로 일괄 인상하자 판로를 찾지 못 한 외국산 철강 제품이 대거 유입될 것으로 우려한다.
특히 중국산 저가 철강 제품에 대한 우려가 크다. 인도 정부에 따르면 2024년 1월부터 7월까지 중국산 완제품 철강 수입량은 160만t으로 전년 동기 대비 80% 증가했다.
인도 무역부는 상무부의 의견을 받아 청문회를 거쳐 결정할 계획이다.
[여의도튜브] "중국기업 사색된 이유" 泰여론 '다른 곳도 조사'
출처 : MTN 머니투데이방송 2025. 04. 02.
https://www.youtube.com/watch?v=ZNn6LwTFdw0
[W디펜스] "후티 진지 싹 다 부쉈다" 美-이스라엘 '합동공습'
출처 : MTN 머니투데이방송 2025. 04. 02.
https://www.youtube.com/watch?v=RECgyty1oG4
중국반응│중국도 리액션? 넷플릭스 폭싹속았수다│양관식 오애순 때문에
14억 대륙인민들 한달간 눈물│그들이 폭싹 속았수다 눈물바다에 빠진 이유
출처 : 중국어로 [路] 2025. 04. 02.
https://www.youtube.com/watch?v=tnuHO1R2m6U
인니 “한국, 그건 KF21이 아닌데??”韓 KF21 이전 안한다..'최후통첩'
한국의 기가막힌 묘수에 인니국기 떼고 달릴 3개국 ‘파격제안’
출처 : 쓸모왕 2025. 04. 02.
https://www.youtube.com/watch?v=tZVtdETTS_E
한국에 '미뤄둔 숙제'하겠다던 美, 韓 뜻밖의 발표에 한국 돕겠다는 트럼프
/ "이제 주둔비 내던지 가던지 해" "확장억제는 됐고, 북한도 알아서 할게"
출처 : Sion TV 2025. 04. 02.
https://www.youtube.com/watch?v=Fr_u-iYhBfE
"한국에선 무조건 이렇게 먹어야해?" 3경기 연속 장타쇼 이정후 고깃집에서
MLB 선수들과 이상한 차림으로 발견
출처 : why?와이튜브 2025. 04. 02.
https://www.youtube.com/watch?v=vshP_qHyDks
“지금 전세계는 ‘관식’ 신드롬 중” ‘폭싹’ 신드롬 때문에 현재 전세계 시청자들 사이
에서 벌어지고 있는 특이한 현상들, “한국드라마가 전세계인들의 행동을 바꿨어요”
출처 : 쓸모왕 2025. 04. 02.
https://www.youtube.com/watch?v=kuht8NjkDEI
최근 인터뷰에서 빌 게이츠가 공개한 현재 인공지능과 로봇 상황
l 인간은 일을 하기 위해 태어난 것이 아닙니다 l 곧 모든 노동에서 자유로워질 것
출처 : Peachy 피치 2025. 04. 02.
https://www.youtube.com/watch?v=ddiPQwB5k90
미국, 캐나다에 관세 부메랑 제대로맞아 트럼프 정부 한국이 해줄것 폭탄선언
싸늘한 반응 단칼에 “불가능” 발칵
출처 : 트래블튜브 2025. 04. 02.
https://www.youtube.com/watch?v=NJY3K650NE4
'폭싹 속았수다'는 "그 어떤 K드라마보다 더 위대하다"는 이유와
이제 심리학자들까지 이 작품을 분석하고 있는 놀라운 이유
출처 : 바이스톰 코리아 2025. 04. 02.
https://www.youtube.com/watch?v=VPPWc1FrjS4
태국 호텔건물 사이를 날아다니는 한국인 포착 / 중국이 짓다가 무너진 빌딩
태국 감사원건물 이었다
출처 : 잡식왕 2025. 04. 02.
https://www.youtube.com/watch?v=tlItsy4GzQM
프 전투기, 韓 곡예 따라하다 대폭발 “이건 한국 조종사만 가능한거라고”
유럽 전투기사고 재조명된 FA-50
출처 : 잡식왕 2025. 04. 02.
https://www.youtube.com/watch?v=7dvar2KyeWc
러시아인들 생활필수품, 하루도 안빼놓고 먹는 한국식품 반응
“한국에서는 폭망한 줄 알았더니”
출처 : 디씨멘터리 2025. 04. 02.
https://www.youtube.com/watch?v=OjeXW7OLAEY
(속보) 필리핀 대통령 중대발표! “한국 꺼져라! KF-21 안산다”
출처 : 진포터 2025. 04. 02.
https://www.youtube.com/watch?v=hTsDZAEZYiQ
폭싹 속았수다 불법으로 보던 중국인들이 결국 못참고 오열하며
한국 찬양하는 모습에 경악
출처 : 진포터 2025. 04. 02.
https://www.youtube.com/watch?v=5BuW5uEhipA
매출 22조인데 순익은 4조 이상, 독점이 독이 된 유럽 미사일 왕국
출처 : 꺼리튜브 2025. 04. 02.
https://www.youtube.com/watch?v=QiXv8KaHiYk
[Why Times 정세분석 3255] ‘대륙의 불안’이 된 샤오미,
“불난 전기차 문 안 열려 탑승자 전원 사망”
출처 : Why Times 2025. 04. 02.
https://www.youtube.com/watch?v=ZO6Ibmx2_oY
[Why Times 정세분석 3254] 中 뜬금없이 ‘대만포위’ 훈련,
군부분열 관심 돌리고, 美 압박에 반발성 시위하나?
출처 : Why Times 2025. 04. 02.
https://www.youtube.com/watch?v=jyxufD9uaeI
"모두가 속고 있어요" 러우전쟁의 충격적 비밀 젤렌스키가 결국 선 넘었다 (조한범 / 1부)
출처 : 신사임당 2025. 04. 02.
https://www.youtube.com/watch?v=aJ-v6lv5leE
TSMC에 극대노한 트럼프 대만이 맞이할 끔찍한 최후 (조의준 대표 / 3부)
출처 : 신사임당 2025. 04. 02.
https://www.youtube.com/watch?v=QuSrFP_2IUc
한국 세계 최고의 군사기지 된다 주한미군 판도가 뒤집힌다 (최기일 / 풀버전)
출처 : 신사임당 2025. 04. 02.
https://www.youtube.com/watch?v=IKEAe8o0RTg
말려 죽여라! 치밀한 중국의 대만 침공 시나리오 / 주적이 북에서 중국으로..
주한미군, 베이징을 향한 진격 교두보로 바뀌나?ㅣ통일연구원 석좌 조한범 박사
출처 : 815머니톡 2025. 04. 02.
https://www.youtube.com/watch?v=22eBNcnIcTk
"일본 정부도 손놨다" 7월 일본에 대재앙이 닥친다. 일본 열도 절반이 가라앉는다
|호사카유지 교수, 이명찬 박사, 신작가 특집
출처 : 달란트투자 2025. 04. 02.
https://www.youtube.com/watch?v=aZJFHYXSYBI
중국 곳곳에서 터져나온 신호들, 대륙 분위기가 심상치 않다|이철 박사 1부
출처 : 달란트투자 2025. 04. 02.
https://www.youtube.com/watch?v=9Csw0aPYbLY
"한국 우습게보다 난리났다" KF-21 엔진 국산화 소식에
독일, 일본이 급 조용해진 이유 (안승범 편집장 / 요약본)
출처 : 웅달 책방 2025. 04. 02.
https://www.youtube.com/watch?v=u38ZOlXhN-c
"마침내 드러난 푸틴의 속내" 우크라이나 모든 전선 붕괴중,
러시아 군사력 완전히 착각했다 (진재일 교수 / 요약본)
출처 : 웅달 책방 2025. 04. 02.
https://www.youtube.com/watch?v=O3aWIOuORt0
"유럽 무기 도저히 안 된다" 한국없이 못 사는 유럽의 속내,
러시아가 발칵 뒤집혔다 (김대영 평론가 / 풀버전)
출처 : 웅달 책방 2025. 04. 02.
https://www.youtube.com/watch?v=4_ufImr6FKc
"매년 10만명이 흔적없이 사라진다" 최근 일본 전역에서 발생하고 있는
대규모 실종 사태의 충격적인 전말 (김태형 소장 / 풀버전)
출처 : 웅달 책방 2025. 04. 02.
https://www.youtube.com/watch?v=sT3d9N_ZOyA
[여의도튜브] 美 한눈판 사이에 밀고 들어온 中
출처 : MTN 머니투데이방송 2025. 04. 01.
https://www.youtube.com/watch?v=AiFPVchXTiQ
[여의도튜브] 美정보국 푸틴보고서 "트럼프 뜨악!"
출처 : MTN 머니투데이방송 2025. 04. 01.
https://www.youtube.com/watch?v=VyaMjckkYys
中, 미얀마 지진지역에 싼샤댐 건설발표! 미친짓 이라며 전세계 비난폭주
/ 해저자원 탐사하다 잘못건드린 중국, 잠시후 베이징 지진 대참사발생
출처 : 잡식왕 2025. 04. 01.
https://www.youtube.com/watch?v=901gVemYrGw
韓 전투기 비웃던 중국, 결국 대폭발 FA-50 사고싶어도 못산다
인기 KF-21 실전 투입 더욱 빨라졌다
출처 : 잡식왕 2025. 04. 01.
https://www.youtube.com/watch?v=B-lsDpzF_qw
"한국 남편같이 도움 좀 돼봐라" 한국남성 영상에 180도 태도 바뀐 태국 총리
中 33층 빌딩만 대지진에 와르르 무너지자 '돌변'
출처 : why?와이튜브 2025. 04. 01.
https://www.youtube.com/watch?v=alp0A1ZsNSM
“한국 드라마 대박은 중국 덕분” 불법 시청하는 주제에 숟가락 올린 중국
박보검 한마디에 국제망신 대참사
출처 : why?와이튜브 2025. 04. 01.
https://www.youtube.com/watch?v=sjMkTsSHnKs
중국 "주한미군 금지" 거슬린다 그런데 미국 폭탄발표에 놀란이유,
한국은 절대적으로 강력한 보호
출처 : 트래블튜브 2025. 04. 01.
https://www.youtube.com/watch?v=dww_atPe9oY
[W디펜스] "후티 무자비 공습..궤멸" 트럼프 '이제 시작이다'
출처 : MTN 머니투데이방송 2025. 04. 01.
https://www.youtube.com/watch?v=SGy5tmBx9Yw
"마지막 야당도 해산"..이제 남은 건 미친 집값과, 빈민층뿐이라는 홍콩 상황 ㄷㄷ
출처 : 지식세포 2025. 04. 01.
https://www.youtube.com/watch?v=7CbdnPCiS4M
“XX, 트럼프…” 결국 폭주한 루마니아, 충격발표 "전부 韓무기로"
NATO 사령관 “미국은 한국이란 호랑이를 키운것”
출처 : 리얼리즘 2025. 04. 01.
https://www.youtube.com/watch?v=OrszC_FZlu0
“이게 한국과 중국 드라마의 차이입니다”‘폭삭’종영 직후 역주행 중인 중국전역 눈물
바다..중국정부 “더이상 막는것 불가능” “한국..! 너 대체 뭔데!!” 대륙전체 신드롬
출처 : 쓸모왕 2025. 04. 01.
https://www.youtube.com/watch?v=C8mWclJZKEQ
사막 한복판 한중 전투기 맞대결 펼쳐 12대 끌고 와서 되돌아갈 땐 0대 개망신
출처 : 꺼리튜브 2025. 04. 01.
https://www.youtube.com/watch?v=qjtOz51YQ_U
‘한국이 치킨게임 시작하면 다죽어’ 창고 재고만 140만발, 체급차이도 8배
출처 : 꺼리튜브 2025. 04. 01.
https://www.youtube.com/watch?v=LDfwXHeTgic
[Why Times 정세분석 3252] 푸틴 방탄 리무진 모스크바서 폭발,
젤렌스키 “푸틴 곧 죽을 것” 경고 다음 날 발생
출처 : Why Times 2025. 04. 01.
https://www.youtube.com/watch?v=BmOXvtypgLw
[Why Times 정세분석 3253] 푸틴에 격분한 트럼프 “2차 관세 부과”,
이란 향해서는 “핵협정 안하면 폭격” 위협
출처 : Why Times 2025. 04. 01.
https://www.youtube.com/watch?v=xE8mWfrXeT8
엄청난 러시아 재건, 중국 패싱하고 한국에게? 푸틴이 한국에 손 내민 진짜 이유는?
ㅣ통일연구원 석좌 조한범 박사
출처 : 815머니톡 2025. 04. 01.
https://www.youtube.com/watch?v=RubmFLRkAy0
4년 뒤, 전 세계를 장악할 미국의 비밀병기, F-47 / 中·러가 떨고 있는 6세대 전투기의
충격 실체 / KF-21 스텔스기로 변신하는 날은? | 김민석 특파원
출처 : 815머니톡 2025. 04. 01.
https://www.youtube.com/watch?v=3aM90MkBUH8
관세 때문에 미국 중산층 난리나게 생겼습니다 I 박정호 교수 [글로벌인사이드]
출처 : 머니인사이드 2025. 04. 01.
https://www.youtube.com/watch?v=6pHugfaflmM
필리핀, K-전투기에 꽂혔다. KF-21 수출 가능성 제대로 터진 이유
|김대영 군사평론가 3부
출처 : 달란트투자 2025. 04. 01.
https://www.youtube.com/watch?v=C4zxfdIc29k
트럼프가 한국 붙잡는 이유, 일본, 대만은 필요없습니다 (박형주 기자)
출처 : 김작가 TV 2025. 04. 01.
https://www.youtube.com/watch?v=CViMO_BAFdQ
"일본은 절대 불가능합니다" 한국 저항정신 보고 일본이 발칵 뒤집혔다.
일본이 한국을 죽도록 부러워하는 이유 (김태형 소장 / 풀버전)
출처 : 웅달 책방 2025. 04. 01.
https://www.youtube.com/watch?v=bOudpJZvHZA
"러시아가 크게 오판했다" 우크라이나 반격에 푸틴 미칠지경,
북한 버리고 한국 손잡는다 (조한범 박사 / 3부)
출처 : 웅달 책방 2025. 04. 01.
https://www.youtube.com/watch?v=gJ2J7lSYUOs
"중국 군대가 심상치 않다" TSMC가 맞이할 최악의 상황
(강준영,김민석,임용한 / 대만 침공)
출처 : 웅달 책방 2025. 04. 01.
https://www.youtube.com/watch?v=9aurWe1DStE
"90일 남았다" 적중률 100% 예측, 일본에 끔찍한 도쿄 대지진, 후지산 폭발,
지진 쓰나미 온다. 일본 열도가 발칵 뒤집혔다 (신작가 / 1부)
출처 : 웅달 책방 2025. 04. 01.
https://www.youtube.com/watch?v=Yd7ikGcsguo
"KF-21 필리핀 현지에서 난리났다" 필리핀에서 미국 F-16 아닌
한국의 KF-21만 기다리는 이유 (김대영 평론가 / 4부)
출처 : 웅달 책방 2025. 04. 01.
https://www.youtube.com/watch?v=N1Cwbspje0Q
[여의도튜브] "미션임파서블 연상" 韓 '인공태양' 1.6조 수주
출처 : MTN 머니투데이방송 2025. 03. 31.
https://www.youtube.com/watch?v=oSr4PY_t6Yc
[여의도튜브] "재벌 이권 싹 다 뺏어!" 시진핑, 리카싱에 격분
출처 : MTN 머니투데이방송 2025. 03. 31.
https://www.youtube.com/watch?v=2ndVntytHyk
"중국에 강력 책임 물을것" 극대노 태국 고층건물 붕괴 대참사 中좌절 같은 지반,
다른 운명 한국은 멀쩡
출처 : 잡식왕 2025. 03. 31.
https://www.youtube.com/watch?v=a0muFGaWsrY
(실제상황)‘폭삭 속았수다’ 종영후 단체관람하던 해외 시청자들 전부 ‘울음바다,
기립박수’ 진풍경..역주행 전세계 1위찍고 벌어진 특이한 현상들
“이렇게 많이 울어본건 처음이예요”
출처 : 쓸모왕 2025. 03. 31.
https://www.youtube.com/watch?v=6nAEtjI9C6o
"중국 건물 붕괴 문제가 아니다" 일대일로 라인 부실공사 전멸할 상황
/ BBC, 중국 건물만 붕괴한 진짜 이유 분석보니... 헐
출처 : Sion TV 2025. 03. 31.
https://www.youtube.com/watch?v=Yotnvqlo-nU
U18 한국 축구 세계 1위 혼쭐! 수적 열세에서도 집념의 한 방 대박!
난리난 현장 아르헨티나 망연자실...
출처 : Sion TV 2025. 03. 31.
https://www.youtube.com/watch?v=qsDLYoYS6DE
"지금 당장 탈출할 준비를 하십시오" 새벽녘 대만 일제히 전면전 시그널
짐싸던 日 수송기 "못타겠소" 현지 반응
출처 : why?와이튜브 2025. 03. 31.
https://www.youtube.com/watch?v=Ywl0Vx5kiMo
(속보) 태국 국방장관 한국에 중대경고! 태국 불체자 풀어주라는 태국, 현재 X된 상황
출처 : 진포터 2025. 03. 31.
https://www.youtube.com/watch?v=0koVGR-s-ko
손흥민 이적 못막겠다며 충격 결정 // “수백억의 수익을 포기할 수밖에 없다”
손흥민 없어도 토트넘 사랑해달라
출처 : 풀앤푸시(Pull&Push) 2025. 03. 31.
https://www.youtube.com/watch?v=VlMQs-oXBS8
“잠깐! 공대지… 궤도가 왜저래?” FA-50 ‘미사일’ 마하·800km
이집트 100대 대형계약, 中 경악
출처 : 리얼리즘 2025. 03. 31.
https://www.youtube.com/watch?v=C7ASuDaxFMo
"브라질 아저씨가 제주 말을 알아요?" 남미 4억 인구가 엉엉 울며 본 한국 드라마
식당 TV에서 나오자 눈도 못떼고 조용해진 상황
출처 : why?와이튜브 2025. 03. 31.
https://www.youtube.com/watch?v=pkn9XQK78rY
[여의도튜브] "왜 中고층건물만 와르르" 태국총리 조사 지시
출처 : MTN 머니투데이방송 2025. 03. 31.
https://www.youtube.com/watch?v=5-6oIr6FUjw
"훠궈먹고 혀가 새카맣게 변해" 중국인도 끔찍해하는 Made in China
“도덕적 마지노선을 넘었다”
출처 : 디씨멘터리 2025. 03. 31.
https://www.youtube.com/watch?v=JjERAKzg-ys
한국이 세계 최대 미디어 행사에서 '역대 최초 국가'로 공식 선언 되자,
예상치 못 한 대반전 반응이 터져 나온 진짜 이유, “놀랍지 않다”
출처 : 바이스톰 코리아 2025. 03. 31.
https://www.youtube.com/watch?v=bNHPJqBOIpA
트럼프정부 "주한미군, 대만전 동원해야"그런데 한국반응에 깜짝 놀라는 이유
대만도 한국 육군 방송내보내다 발칵
출처 : 트래블튜브 2025. 03. 31.
https://www.youtube.com/watch?v=2b33HJ0ML18
중국반응│중국 생방송 인터뷰 방송사고 대참사│중국남자vs한국남자, 중국여성들
충격 고백에 중국 남성들 멘붕│한국남자들에 대한 중국 여자들의 솔직한 반응
출처 : 중국어로 [路] 2025. 03. 31.
https://www.youtube.com/watch?v=6TrLIMvyFrA
5년 치 국방 예산 모조리 한국에게 몰빵, 유럽 무기 안 사고 차라리 EU 나간다
폭탄 선언 | 총병력 4천인데 푸틴조차 못 건드리는 이유
출처 : 꺼리튜브 2025. 03. 31.
https://www.youtube.com/watch?v=--PTz1H-K0Q
[Why Times 정세분석 3250] 우크라 드론 공격에 러 최악 피해,
“크루즈 미사일 무려 96기 파괴당해”
출처 : Why Times 2025. 03. 31.
https://www.youtube.com/watch?v=thtxWq4c0Ws
[Why Times 정세분석 3251] 태국에서 개망신당한 중국,
“방콕 지진에 中시공 33층 건물만 붕괴”
출처 : Why Times 2025. 03. 31.
https://www.youtube.com/watch?v=RKVrnbiAmPY
주한미군 절실히 원하는 트럼프, 주일미군은 줄여도 주한미군은 절대 포기 못한다.
|김대영 군사평론가 2부
출처 : 달란트투자 2025. 03. 31.
https://www.youtube.com/watch?v=ppnxdfEouzU
괴물 미사일 현무 5는 진화 중… 김정은을 떨게 할 ‘현무6’ 의 위력 / 한 지점에
‘현무5’ 4발 명중… 그 결과는 ‘초토화’ ㅣ 에비에이션 위크 김민석 특파원
출처 : 815머니톡 2025. 03. 31.
https://www.youtube.com/watch?v=YJZlkBvKTyc
"미국에 버림받을 수도 있다?"… 지정학적 리스크 속, 한국의 운명
| 약육강식의 세계, 한국의 생존전략(통합본)
출처 : 김정호의 경제TV 2025. 03. 31.
https://www.youtube.com/watch?v=eMRMkSaopJ4
"일본 방송에 백인들만 나오는 이유" 한국인 대부분이 몰라요. 일본이 기를 쓰고 감추는
일본인들의 충격적인 비밀 (김태형 소장 / 풀버전)
출처 : 웅달 책방 2025. 03. 31.
https://www.youtube.com/watch?v=z0LIjpcAgcU
소름끼치는 미국의 속내. 러우전쟁 상상 못할 결과 맞는다. 유럽은 완전히 망했어요
(오태민, 임용한 / 통합본)
출처 : 웅달 책방 2025. 03. 31.
https://www.youtube.com/watch?v=I_p29elgMrE
"뒤로 몰래 유럽을 노리는 푸틴" 러시아 군대가 심상치 않다.
폴란드 침공하면 벌어지는 일 (김대영 평론가 / 3부)
출처 : 웅달 책방 2025. 03. 31.
https://www.youtube.com/watch?v=b1aU2iz_mfA
"한류에 완전히 중독되어 버린 일본" 이제는 한글까지 배우는 일본인들의
충격적인 이유 (김태형, 호사카 유지, 이명찬, 신작가 / 일본 특집)
출처 : 신사임당 2025. 03. 31.
https://www.youtube.com/watch?v=fO9kQugWDoM&t=190s
시진핑 숙청 신호 뜨나 미국에 덤비다 파탄난 중국 실제 상황 (조의준 대표 / 2부)
출처 : 신사임당 2025. 03. 31.
https://www.youtube.com/watch?v=HfG1mJfdhuQ
"한류에 완전히 중독되어 버린 일본" 이제는 한글까지 배우는 일본인들의 충격적인 이유
(김태형, 호사카 유지, 이명찬, 신작가 / 일본 특집)
출처 : 신사임당 2025. 03. 31.
https://www.youtube.com/watch?v=fO9kQugWDoM
트럼프가 푸틴과 손 잡은 진짜 이유. 젤렌스키 다음 차례는 이란입니다
(박현도 교수 / 풀버전)
출처 : 신사임당 2025. 03. 31.
https://www.youtube.com/watch?v=uH2UcWaY9HU
'우리는 지금 > 정치·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특수’ K-전력인프라 수주잔고 30조 (0) | 2025.04.10 |
---|---|
“세계 최초 HBM4” SK하닉, HBM ‘절대 지존’… (1) | 2025.04.07 |
판 커진 유럽무기시장… K-방산 영향은 (2) | 2025.03.31 |
기아 EV3, 유럽 판매 급증…"소형 전기차 통했다" (0) | 2025.03.27 |
동남아서 K-분유 '인기'…수출액 10년간 세 배로 늘어 (2) | 2025.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