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특수’ K-전력인프라 수주잔고 30조
작년 29조3916억, 전년비 43.5%↑
“시장 호황 2030년까지 이어질 것”
전력인프라 기업, 증설로 수요 대응
출처 : 헤럴드경제 2025. 03. 26. 한영대 기자
국내 주요 전력 인프라 기업 5개사들이 지난해 30조원에 육박하는 수주잔고를 달성했다. 인공지능(AI) 산업 성장으로 전력기기, 전선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뛰어난 기술력을 앞세워 수주에 성공한 것이다. 전력 시장 호황이 최소 2030년까지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는 만큼 기업들은 증설을 통해 늘어나는 고객 주문에 대응한다는 전략이다.
26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제출된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전력기기 3사(HD현대일렉트릭, 효성중공업, LS일렉트릭)와 전선 투톱인 LS전선, 대한전선의 총 수주잔고는 지난해 12월 말 기준 29조3916억원을 기록했다. 전년(20조4826억원) 동기 대비 43.5% 증가했다.
가장 많은 수주잔고를 기록한 회사는 효성중공업(9조2000억원, 중공업 부문 기준)으로 전년 대비 58.6% 늘었다. HD현대일렉트릭, LS전선은 각각 42.2%, 19.7% 증가한 7조6466억원, 6조2741억원을 기록했다. LS일렉트릭(3조4477억원), 대한전선(2조8232억원) 수주잔고는 같은 기간 48.2%, 62.6% 증가했다.
역대급 수주잔고 달성 배경에는 전력 수요 폭증이 자리잡고 있다. AI 산업 성장으로 원활한 전력 공급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지만 정작 수요를 뒷받침할 만한 전력 인프라는 부족하다. 설상가상으로 전 세계 데이터센터의 80% 이상이 설치된 북미의 전력 인프라 대부분이 1970년대에 조성돼 전력기기 등의 교체가 시급히 이뤄져야 한다. 새 전력 인프라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면서 전력기기, 전선 발주는 자연스레 늘어났다.
차별화한 기술력도 상승세 원인 중 하나이다. 전력기기 3사와 LS전선, 대한전선은 글로벌 기업들과 어깨를 나란히 할 정도로 우수한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납기 준수 능력도 뛰어나 신뢰도도 높다.
전력기기 3사들의 제품 포트폴리오 중 가장 많은 인기를 받고 있는 제품은 단연 변압기이다. 변압기는 발전소에서 만들어 낸 전기를 가정, 공장에 송전하기 이전에 전압을 높이거나 낮추는 역할을 한다. 다른 전력기기 제품과 비교했을 때 가격이 비싸 전력기기 업체들의 수주잔고 증가에 크게 이바지하고 있다.
LS전선은 해저케이블 분야에서 강점을 보이고 있다. 장거리 송전용 해저케이블 생산능력을 갖춘 전 세계 6개 기업 중 1곳이 바로 LS전선이다. LS전선은 대만 1차 해상풍력단지 건설 사업에 필요한 해저케이블 계약을 모두 따내면서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대한전선은 글로벌 초고압 케이블 시장에서 입지를 구축하고 있다.
전력 인프라 기업들의 상승세는 계속될 전망이다. 빅테크 기업들은 물론 미국이 대규모 AI 투자를 발표하면서 전력 인프라 수요는 계속 커지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월 오픈AI와 오라클, 소프트뱅크가 참가하는 5000억달러(734조원) 규모의 AI 인프라 조성 프로젝트 ‘스타게이트’를 발표했다. 업계 관계자는 “호재가 계속 나오고 있는 만큼 글로벌 전력 시장 호황은 적어도 2030년까지 이어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전력 인프라 기업들은 공격적인 증설을 통해 수요에 대응한다는 전략이다. 이미 최대 5년치 일감을 확보한 상황 속에서 기존 생산시설로는 늘어나는 주문에 대응할 수 없다고 판단한 것이다.
LS전선은 다음 달 미국 동부 버지니아주에 현지 최대 규모의 해저케이블 공장 착공식을 진행할 예정이다. LS전선이 공장 건설에 투자하는 자금만 1조원이다. LS전선은 유럽 공장 구축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한전선은 해저케이블 생산 역량을 키우기 위해 9900억원 규모의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HD현대일렉트릭은 약 4000억원을 투자해 울산 사업장, 미국 앨라배마 공장 증설을 진행할 계획이다. 2017년 HD현대일렉트릭이 HD현대중공업에서 분사한 이래 최대 규모 투자다. LS일렉트릭은 부산 사업장 증설을 위해 1000여억원을 투자했다. 효성중공업도 1000억원을 투자해 경남 창원 초고압 변압기 공장과 미국 멤피스 공장 증설을 진행하고 있다.
"슈퍼 사이클 왔다"… 전력망 수요 날개 단 'K-전력기기'
주요 업체 작년 실적 호조… 전망도 밝아
지속 증가 수요 대응 생산능력 확대 박차
출처 : 머니S 2025. 02. 18. 이한듬 기자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구축과 노후 전력시설 교체 등으로 HD현대일렉트릭, LS일렉트릭, 효성중공업 등 국내 주요 전력기기의 실적이 급증하고 있다. '슈퍼 사이클'(초호황기)이 지속될 것이란 전망도 나오면서 관련 기업들은 수요 대응을 위한 생산능력 확대에 힘을 쏟는다.
1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국내 전력기기 기업들은 지난해 역대급 실적을 거뒀다. HD현대일렉트릭의 지난해 매출은 전년대비 22.9% 증가한 3조3223억원이다. 전력기기와 배전기기 부문 매출이 전년보다 각각 34.5%, 34.8% 증가해 전체 매출을 끌어올렸다.
이 기간 영업이익은 112.2% 급증한 6690억원을 기록했다. 전력기기 시장 호황으로 상승한 제품가격이 매출에 본격적으로 반영된 가운데 선별 수주를 통한 수익 개선 효과가 더해지며 수익이 크게 늘었다는 게 회사의 설명이다.
수주 성과도 좋았다. 연간 수주액은 38억1600만 달러로 목표 37억4300만 달러를 초과 달성했다. 수주잔고도 전년대비 28.8% 증가한 55억4100만달러를 기록했다.
LS일렉트릭도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 4조5518억원, 영업이익 3897억원을 기록했다. 1년 전보다 매출은 7.6%, 영업이익은 20.0% 늘어난 사상 최대 실적에 해당한다.
LS일렉트릭 관계자는 "북미 중심으로 배전사업과 초고압 사업 성장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역대 최대 실적을 거뒀다"고 설명했다.
효성중공업은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 4조8950억원, 영업이익 3625억원을 거뒀다. 효성중공업의 실적 역시 2023년보다 매출은 13.8%, 영업이익은 40.6% 늘어난 사상 최고 기록이다.
실적 전망도 밝다. AI 데이터세너 신축에 따라 여기에 필수적인 전력기기 수요가 함께 늘어나고 있어서다. 전력기기는 AI 데이터센터 투자비의 8% 수준을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내 노후 전력장비 교체 수요 역시 전선업계 호재다. 업계는 노후 전력 인프라 교체와 AI 및 데이터센터 수요 급증에 따라 미국 내에서만 전력 수요가 2024년 8TWh에서 2030년 652TWh로 80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국내 전력업계는 수요 증가에 대응해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HD현대일렉트릭은 2026년까지 울산 공장과 미국 앨라배마 제2공장 증설에 3968억원을 투자한다. 투자 효과가 본격화하는 2028년부터는 최대 연간 매출액이 3000억 원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LS일렉트릭은 지난해 초고압 변압기 생산시설 증설에 1600억원을 투입해 부산사업장 내 공장을 신축하고 KOC전기를 인수했다. 미국 텍사스주 배스트럽에 마련한 첫 거점에 배전 시스템 생산라인도 구축했다. 현재 2000억원 수준인 생산능력은 올해 말 이후 8000억원까지 확대될 전망이다.
효성중공업 역시 1000억원을 투자해 테네시주 멤피스 초고압 변압기 공장에 시험 라인을 추가하고 생산 설비를 증설하고 있다. 창원 공장은 상반기 안에 증설 작업을 마친 뒤 하반기 상업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다. 멤피스 공장의 신규 설비는 내년 중 가동될 예정이다. 여기에 더해 멤피스 공장 추가 증설을 계획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상현 BNK투자증권 연구원은 "관세 대응 차원도 있겠지만 현지 추가 증설을 고려할만큼 공급자 우위 시장 구조가 굳건히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도 해석된다"며 "증설이 완료되는 시점에 맞추어 수주도 늘려나갈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 확대는 변수로 꼽힌다. 트럼프 대통령은 1기 행정부에서도 한국산 변압기, 특히 초고압 변압기에 최대 60.8%의 관세를 부과한 바 있다. 다만 현지 초고압 변압기 공급부족 현상을 고려하면 과도한 관세는 없을 것이란 관측도 있다.
투자업계 관계자는 "향후 관세 부담이 늘더라도 판매단가를 통해 구매자에게 전가하기 수월하다는 판단"이라며 "과도한 관세 부과는 미국 유틸리티기업들의 비용 증가로 이어질 수 있어 미국에도 부담될 것"이라고 했다.
삼성물산, 에스토니아 SMR 사업 파트너로 참여
페르미 에네르기아社와 업무협약 체결
개념·기본설계 단계까지 초기단계 참여 추진
출처 : 아시아경제 2025. 04. 02. 한진주 기자
삼성물산이 에스토니아 소형모듈원전(SMR) 프로젝트 사업 핵심 파트너로 참여한다.
삼성물산 건설부문은 전날 서울 중구 서울스퀘어 에스토니아 비즈니스 허브에서 열린 '에너지 미션 컨퍼런스'에서 에스토니아 민영 원전기업인 페르미 에네르기아(Fermi Energia)와 현지 SMR 개발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Teaming Agreement)을 체결했다고 2일 밝혔다.
페르미 에네르기아는 에스토니아 SMR 건설을 위해 2019년 설립된 기업으로 현지 에너지·원전 전문가들로 구성돼있다. 지난해 2월에는 에스토니아 수도인 탈린(Tallinn) 동쪽으로 약 100㎞ 떨어져 있는 지역 두곳을 사업 예정지로 공개하고, 이 곳에 비등형 경수로(BWR)를 개량한 300㎿ 규모의 SMR 기술 'BWRX-300'을 도입한다고 발표했다.
'BWRX-300'은 미국 제너럴일렉트릭(GE)과 일본 히타치의 합작사인 GE히타치에서 개발한 SMR이다. 2023년 1월 캐나다 온타리오 전력청과 달링턴 지역의 신규 원자력 프로젝트 계약을 체결했고 올해 첫 호기 착공을 앞두고 있다.
삼성물산은 이번 협약을 통해 페르미 에네르기아가 추진하는 SMR 건설 사업 구조 수립·비용 산정, 부지 평가 등을 수행하는 개념설계서부터 기본설계(FEED)단계까지 사업 초기단계부터 참여를 추진할 계획이다.
삼성물산은 선제적으로 프로젝트 핵심 파트너로 사업에 참여할 수 있는 입지를 확보함과 동시에 향후 이어질 EPC(설계·조달·시공) 최종 계약에서도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게 됐다. 양사는 이르면 올해 하반기 본격적인 사업절차에 착수할 예정이다. 프로젝트는 2035년 상업 운영을 목표로 하고 있다.
김정은 삼성물산 원전영업팀장(상무)은 "에스토니아 최초 SMR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사업 추진과 함께 글로벌 SMR 플레이어로서의 입지를 강화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삼성물산은 현재 루마니아 SMR 사업 기본설계(FEED)를 수행중이며, 지난해 12월 스웨덴 SMR 개발회사 칸풀 넥스트와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에스토니아 SMR사업 협력까지 더해 유럽 내 원전 사업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국내 사상 첫 SMR 들어선다…"한국형 SMR 수출에도 호재"
유럽과 잇단 MOU 체결로
i-SMR 유럽 시장 진출 모색
출처 : 한국경제 2025. 03. 11. 김리안/김대훈 기자
한국수력원자력이 소형모듈원전(SMR) 1기와 대형 원전 2기 등 신규 원전의 부지 선정 절차에 착수했다. 혁신형 소형모듈원전(i-SMR)의 유럽 시장 진출을 위한 발판이 마련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한수원은 최근 확정된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 확정에 따라 신규 원전 부지 선정 절차를 11일 공고했다. 이번 부지 선정은 지방자치단체들의 자율유치 공모 방식으로 추진된다. 부지 선정에 필요한 사전 준비업무 이후 하반기에 유치공모를 진행할 계획이다.
SMR의 경우 사상 처음으로 국내 건설이 이뤄지게 된다. 국내 첫 SMR 실증 및 상용로다. 정부 관계자는 "미국 테라파워가 지난해 6월 이미 착공하는 등 전 세계적으로 SMR 개발 경쟁이 치열하다"며 "한국도 향후 i-SMR의 원활한 수출을 위해서는 국내에 SMR을 1기라도 세워서 운영해보는 게 시급하다”고 말했다.
관련 업계에 따르면 한수원은 최근 헝가리전력공사와 i-SMR 관련 협업을 진행하기로 했다. 정보 공유, 인적 교류 등을 통해 향후 i-SMR의 유럽 진출의 발판을 마련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한수원은 앞서 노르웨이와 스웨덴의 민간 SMR 개발사들과도 협력 체계를 마련했다. 올해 1월 노르웨이 민영 SMR 사업 개발사인 노르스크 슈례녜크레프트(NK)와 스웨덴 쉔풀 넥스트(KNXT) 등과 각각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i-SMR은 기존 대형 원전 대비 발전 용량을 170㎿로 줄이고, 모듈화 제작 기법을 적용한 한국형 SMR이다. 4개 모듈을 조합해 약 700㎿ 전력생산이 가능하다. 규모를 소형화한 만큼 대형 원전에 비해 건설 기간이 짧다. 비상시 자동 냉각 설비가 가동되는 등 안전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한수원은 2021년 혁신형 SMR 설계 개발에 착수한 뒤 2023년부터 국가연구개발사업으로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같은해 기본설계를 완료했으며, 늦어도 올해 안에 표준설계를 완료하고, 2028년까지 표준설계 인가를 취득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30년대 초반 건설허가 획득을 전제로, 늦어도 2036년엔 700㎿짜리 SMR 1기를 보급하겠다는 계획이다.
글로벌 SMR 시장은 2030년께가 되면 본격적 '표준 전쟁'으로 접어들 전망이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80여종의 SMR이 개발되고 있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2050년 전 세계 SMR 발전용량은 최대 200GW까지 늘어날 것으로 분석된다. 이는 SMR 280여기가 새로 생길 것이란 의미다. IEA는 2050년이면 글로벌 SMR 투자액이 6700억달러(약 977조원)에 이를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SMR로 미래 선점 나선 HD현대, 해양 원전 시대 연다
출처 : 뉴시스 2025. 03. 14. 류인선 기자
[서울=뉴시스] 류인선 기자 = HD현대의 차세대 먹거리인 소형모듈원전(SMR) 사업이 구체화하고 있다. 선박에 SMR을 장착하는 것을 시작으로, 해상 발전과 원자로 제조업까지 영역을 확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HD현대중공업은 해양에너지사업본부를 중심으로 SMR 사업을 본격화하고 있다.
SMR은 300메가와트(㎿e·전력 단위) 이하의 에너지를 생산하는 작은 원자로로, 크게 6가지 종류로 나뉜다.
이 중 HD현대는 미국 테라파워와 함께 소듐(나트륨)을 냉각재로 활용하는 고속로를 개발 중이다.
특히 SMR 추진 선박 시장이 새 먹거리다. HD현대는 최근 1만5000TEU(1TEU는 20피트 컨테이너 1개)급 SMR 추진 컨테이너선 모델을 최초 공개했다. 기술력 확보가 한 단계 진행됐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원자력 추진선은 기존 선박과 달리 엔진의 배기기관이나 연료탱크 등의 기자재가 필요하지 않다. 기술력만 확보하면 큰 부피를 차지하던 기존 기자재 공간에 컨테이너를 추가 적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선박에서 한 단계 사업을 확장해 2030년 해상 원자력 사업 모델을 개발한다는 목표도 세웠다.
바다 위에 원전을 지으면 가격은 저렴하고, 시공 기간은 단축된다. 해수면 아래 설치해 사고 발생시 바닷물이 냉각재 역할을 하는 장점도 있다.
HD현대는 이를 위해 지난해 3월 해상 원자력 분야 첫 국제 민간기구 '해상 원자력 에너지 협의 기구' 설립을 주도했다. 글로벌 기업과 국제 기구로 협력하는 한편, 테라파워에 SMR 연구개발팀을 파견해 기술 협력도 강화하고 있다.
내부적으론 지난해 5월 조선에너지사업부에서 해양에너지사업본부를 독립시켰다. 새 본부장으론 해양 플랜트 전문가인 원광식 부사장을 본부장으로 낙점한 바 있다.
정기선 HD현대 수석부회장도 신사업에 힘을 싣고 있다. 최근 미국에서 빌게이츠 테라파워 창업자와 만나 전략적 협약을 체결하는 등 공을 들이고 있다.
사업이 본궤도에 오르면 SMR 주기기 제조 사업 진출도 기대된다. 지난해 12월 테라파워와 첫 소듐 원자로에 탑재되는 원통형 원자로 용기에 대한 공급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조선업계 한 관계자는 "HD현대가 해상 발전을 넘어 SMR 사업 자체에 진출하려고 하는 의지가 엿보인다"고 말했다.
원전 수출, 베트남 등 신흥시장 공략...체코원전 계약은 4월로
출처 : 헤럴드경제 2025. 03. 26. 배문숙 기자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정부가 체코에 이어 베트남 등 신흥시장에 원자력 발전을 수출하기 위해 공을 들이고 있다.
26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안세진 원전국장을 비롯한 한전 원전수출본부 관계자들이 이번주 베트남 하노이를 방문해 원전수출 관련 논의를 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지난달 원자력 발전 도입을 결정한 베트남과 원전산업 대화체를 2017년 이후 8년만에 재개키로 했다. 앞서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지난달 25일 오전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응우옌 홍 디엔 베트남 산업무역부 장관과 양자회담을 열고 양국간 원전협력을 논의한 바 있다.
베트남 최고 의사 결정기관인 공산당 정치국은 지난해 11월 전력난 해결을 위해 원전 개발을 재개하기로 했다.
발전량 대부분을 수력·화력 발전에 의존하는 베트남은 수년간 전력난을 겪어왔다. 베트남은 2009년 원전 2기 개발 계획을 승인하고 2030년까지 원전 총 14기를 건설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당시 베트남은 러시아와 일본을 원전 건설 협력국으로 정했지만,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안전성 논란과 막대한 건설비 문제 등으로 2016년 개발이 중단됐다.
그러나 전력 부족으로 베트남 정부가 다시 원전 개발에 속도를 내는 가운데 우리나라를 비롯한 여러 국가와 원전도입을 위한 협상에 나서고 있다.
우리 측은 국내 원전의 우수성을 소개하고 2017년부터 중단된 양국 국장급 원전산업 대화체 재개를 통해 구체적인 협력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유럽 시장을 포기하고 베트남 등 신흥시장을 공략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한국수력원자력은 최근 네덜란드 원전 수출 수주전 참여를 포기했다. 지난해 말 스웨덴, 지난달 슬로베니아에 이어 이번까지 유럽 국가 원전 수출만 세 번째로 포기하는 것이다.
한수원이 지난해 말부터 줄줄이 유럽 수주전을 포기한 것에 대해 일각에서는 올 1월 마무리된 미국 웨스팅하우스 간 지식재산권 분쟁의 여파라는 분석이 나온다. 원전 업계에서는 한수원이 합의 과정에서 유럽 수주전은 웨스팅하우스에 넘겨주기로 한 것 아니냐는 관측도 있다.
이에 한수원 측은 “체코 신규 원전 건설과 소형모듈원자로(SMR) 개발에 집중하기 위해 네덜란드 수출에는 참여하지 않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체코 신규 원전 건설에 대한 본계약이 마무리되면 한수원이 체코 정부가 향후 발주할 가능성이 높은 신규 ‘테멜린 2기’ 원전 건설의 우선협상대상자가 된다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한수원의 체코 신규 원전 수주 협상이 막바지 단계에 접어들었다. 다만 최종 수주 체결은 다음달로 미뤄지는 분위기다.
한수원은 “현재 협상을 마무리할 계획으로 이후 내부 절차 및 정부 보고 등 여러 가지 요소에 따라 구체적인 계약 체결 일정이 결정될 것”이라며 “다만 최종 계약발표는 다음달로 미뤄질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현재 산업부 장관과 한수원 사장 등 관련 부처, 기관 고위 관계자들이 이달말까지 체코 출장 일정이 없는 상태로 이달 체결식은 힘들다는 것이 내부 분위기다.
한수원이 최종적으로 체코 원전 건설 계약을 따내면 2009년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 원전 이후 16년 만에 역대 두 번째 원전 수출 수주가 이뤄지게 된다.
원전 업계에서는 선진 시장인 유럽에 첫 교두보를 확보한다는 점에서 향후 주요 전략 지역에 한국 원전 수출을 확대하는 중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1.2조 규모 루마니아 원전설비 발주계획 공개…중소기업 판로 연다
출처 : 머니투데이 2025. 03. 26. 세종=김사무엘 기자
1조2000억원 규모의 루마니아 원전설비 발주 계획이 공개됐다. 원전 관련 중소기업의 수출이 본격화할 전망이다.
한국수력원자력과 한국원자력산업협회는 26일 서울 코엑스에서 '루마니아 체르나보다 1호기 원전설비 수출일감 설명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설명회에는 한수원에 등록된 유자격 업체와 원산협회 회원사를 비롯해 사업 참여에 관심 있는 업체 등 70개 업체, 150여명이 참가했다.
루마니아 체르나보다 1호기는 캔두(CANDU)형 중수로로 1996년 상업운전을 시작했다. 2027년 운영허가 기간이 만료될 예정인데 루마니아 원자력공사는 2030년 계속운전을 목표로 노후 기기 교체 등을 추진 중이다.
한수원은 캐나다 캔두 에너지, 이탈리아 안살도 뉴클리어 등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지난해 12월 체르나보다 1호기 설비개선사업을 수주했다. 한수원이 해외 원전의 설비개선사업을 수주한 것은 처음이다.
총사업비는 2조8000억원이며 이 중 한수원 몫은 1조2000억원이다. 한수원은 시공 역무를, 캔두와 안살도는 설계·구매를 담당한다. 한수원의 협력업체로 한전KPS, 두산에너빌리티, 현대건설, 삼성물산 등이 시공·건설에 참여한다. 사업기간은 올해 2월부터 2030년6월까지 65개월이다.
한수원은 구매 역무가 없지만 국내업체들의 해외 판로를 열어주기 위해 캔두·안살도에 국내 기자재 공급망의 역량과 신뢰성을 홍보해 왔다. 두 기업은 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한국 기업들의 참여가 필요하다는 데에 공감했다.
설명회에서 한수원, 캔두, 안살도는 원자로 및 터빈계통 기자재 등 총 34개 품목의 발주계획을 발표했다. 국내업체들이 사전에 참여를 준비할 수 있도록 공급사 등록요건 등 입찰절차도 설명했다.
원전 중소·중견기업에 대한 정부의 해외진출 지원사업과 루마니아 원전시장 진출 성공사례도 설명회에서 소개됐다.
박인식 한수원 수출사업본부장은 "한수원은 국내 및 해외 원전건설 사업을 통해 국내 기자재 공급업체들을 지속적으로 지원해 왔다"며 "상대적으로 덜 알려진 운영·정비 분야의 해외 수출을 통한 일감 창출 지원 노력이 이번 기회를 통해 많이 알려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W디펜스] "세계최대급 수송 작전" 美 '이란 공격' 빌드업
출처 : MTN 머니투데이방송 2025. 04. 09.
https://www.youtube.com/watch?v=EABF5LTXg4c
[W디펜스] "한 지역만 5번 때렸다" 美 '후티 섬멸' 연일 폭격
출처 : MTN 머니투데이방송 2025. 04. 09.
https://www.youtube.com/watch?v=TrYlYYvF8qM
미국, 중국에 104%관세 선언직후 전세계 ‘중국선박 계약취소’ 일파만파..긴급하게 한국
조선에 일 몰리며 세계 1위 '대반전' 美 초대형 제안 “알고보니 한국이 ‘갑’" 태세전환
출처 : 쓸모왕 2025. 04. 09.
https://www.youtube.com/watch?v=MoT8Ynl6o4I
콧대높은 명문대생들이 서둘러 한국에 날아온 이유
출처 : 디씨멘터리 2025. 04. 09.
https://www.youtube.com/watch?v=gxJzjad8IlI
중국반응│이 어려운 장면을 관세로 해낸 트럼프│미국 트럼프 관세전쟁에 맞서
한국-중국-일본 도원결의│트럼프 때문에 아이폰 300만원 예상? 미국도 흔들려 트럼프 관세
출처 : 중국어로 [路] 2025. 04. 09.
https://www.youtube.com/watch?v=Mw8Lp07EMS8
아무도 못 친다는 198cm 사이영급 투수 이정후 초속 8.6m 미친 질주에
글러브 내 던지고 경기 포기
출처 : why?와이튜브 2025. 04. 09.
https://www.youtube.com/watch?v=9Kd-3_zDlwY
"이제 미국 통조림은 입에도 못대겠어요" 한국 와서 식비만 수백 쓰고 간 외국인들이
샌프란시스코 한복판에 한국 시장 옮겨놓은 이유
출처 : why?와이튜브 2025. 04. 09.
https://www.youtube.com/watch?v=maCemROVnkI
급 사재기 시작된 미국인들 관세 전쟁 불똥 튀자 벌어진 일/ 한국은 이러지 않는다는데...
중국도 사재기 난리
출처 : Sion TV 2025. 04. 09.
https://www.youtube.com/watch?v=s7t_v-EEy7k
"한국 드라마가 또 사람 힘들게 한다"면서도, "이걸 끝까지 안볼 수 없다"는
또 하나의 미친 K드라마 등장?
출처 : 바이스톰 코리아 2025. 04. 09.
https://www.youtube.com/watch?v=bot7NYx1pV8
“비교요? 차원이 달라요” K2·K9·FA50 2년간 실전 반전에 폴란드 노조위원장마저
‘두손두발’ 韓만 외친 폴란드 현지전문가 팩트폭행에 방송 급 중단된 충격상황
출처 : 리얼리즘 2025. 04. 09.
https://www.youtube.com/watch?v=nso9vC67Rdg
"한국으로 당장 떠나고 싶다" 한국이 돕자 대박난회사TOP5 망해나가기 직전 한국간회사들
출처 : 트래블튜브 2025. 04. 09.
https://www.youtube.com/watch?v=3iBqC4NRqq8
라인 기습강탈 시도한 일본, 예상치 못한 한국의 대비책에 또다시 물거품
출처 : 잡식왕 2025. 04. 09.
https://www.youtube.com/watch?v=NhJGKNXGK6g
미친 전력화 속도에 남중국해 발칵 | 5개월 앞당긴 한국군 비밀 기술 공개
출처 : 꺼리튜브 2025. 04. 09.
https://www.youtube.com/watch?v=_zV9cmshn2w
K-9 독점에 독일 반발 “70%넘은 무기, 유럽 못들어온다”
출처 : 꺼리디펜스 2025. 04. 09.
https://www.youtube.com/watch?v=jrFcJ4Lzafo
[Why Times 정세분석 3266] 우크라는 러 본토 추가 점령,
유가 급락에 러 경제는 패닉...스텝 제대로 꼬인 푸틴
출처 : Why Times 2025. 04. 09.
https://www.youtube.com/watch?v=K7Eq0HisT6Q
[Why Times 정세분석 3267] 美싱크탱크 “트럼프 관세 엄청난 오류” 지적,
다시 계산하면 한국 25%→10%
출처 : Why Times 2025. 04. 09.
https://www.youtube.com/watch?v=FLKOANDnmlQ
세계 조선업 100년의 흥망성쇠… 패권은 어떻게 이동했나 | 김정호 교수
출처 : 김정호의 경제TV 2025. 04. 09.
https://www.youtube.com/watch?v=vGtvI2EIa3g
미국을 덮친 인플레이션 공포, 트럼프 관세의 진짜 속셈 (오건영 단장 2부)
출처 : 머니인사이드 2025. 04. 09.
https://www.youtube.com/watch?v=c3XDtpf6tO8
트럼프가 관세폭탄을 던진 진짜 이유, 미국 곧 상상못할 일 벌어진다.|김재천 교수 1부
출처 : 달란트투자 2025. 04. 09.
https://www.youtube.com/watch?v=fpWnz8qdS2Y
미국에 까불다 코피터진 중국. 곧 대륙이 산산조각 난다|조한범 박사 4부
출처 : 달란트투자 2025. 04. 09.
https://www.youtube.com/watch?v=mKYa1zYJpyw
"미국 최강 폭격기 중동으로" 이란, 미국 두려워 후티 버렸다.
트럼프가 후티 때리는 진짜 이유 (박현도 교수 / 풀버전)
출처 : 웅달 책방 2025. 04. 09.
https://www.youtube.com/watch?v=0Sb1-3LvYv4
"제발 한국처럼 해라" K2 보고 뒤집어진 미국인들, 러우전쟁 후 한국 무기만 찾는다
(김민석 특파원 / 4부)
출처 : 웅달 책방 2025. 04. 09.
https://www.youtube.com/watch?v=u-uw5SU2YI4
"결국 트럼프가 노린 것은 '이것'" 트럼프 계획에 모두가 속았다.
관세보다 더 끔찍한 게 온다 (이영훈 이사 / 1부)
출처 : 웅달 책방 2025. 04. 09.
https://www.youtube.com/watch?v=kpg1XoA4T4Y
"전투기 기준을 한국이 바꿨다" KF-21 양산 발표 이후 미국만 따르던 나라들이
고개를 돌렸다 (안승범 편집장 / 풀버전 1부)
출처 : 웅달 책방 2025. 04. 09.
https://www.youtube.com/watch?v=6Mc0xQSKMKg
[W디펜스] "관세 공격은 남의 얘기" 인도·노르웨이 '주문 쇄도'
출처 : MTN 머니투데이방송 2025. 04. 08.
https://www.youtube.com/watch?v=M6FnHDeAwY4
[W디펜스] "90일내 이란정권 교체" '패트리어트 이동' 시사
출처 : MTN 머니투데이방송 2025. 04. 08.
https://www.youtube.com/watch?v=-22Ka5Iu-wM
토트넘 승리 후 대반전 사실에 발칵 “손흥민이 나가자 바로 팀이 개판됐다”
토트넘 경기 중 벌어진 사건의 전말
출처 : 풀앤푸시(Pull&Push) 2025. 04. 08.
https://www.youtube.com/watch?v=9WCushRVGOs
또 8조원.. 밑빠진 독에 돈 붓기 일본 반도체 최악의 상황 직면 한국 잡으려다 결국 ...
출처 : 잡식왕 2025. 04. 08.
https://www.youtube.com/watch?v=pWfuW_zlBCs
속보! 베트남, 한국에 관세폭탄 발표 트럼프 극대노, 주제파악 못한 베트남
버르장머리 고치겠다 초강경 발언 / 美 주가폭락, 한국관세 재검토 시작
출처 : 잡식왕 2025. 04. 08.
https://www.youtube.com/watch?v=kHV4g-lONC8
“트럼프 탄핵하자” 한국 부러워 폭탄선언에 크게 당황하는 이유
미 경제 아마겟돈 사재기 난리
출처 : 트래블튜브 2025. 04. 08.
https://www.youtube.com/watch?v=CNKzmwwUTxw
"이 타구의 확률은 2할이었습니다;;" 8경기 연속 안타 아웃 직전 손목 꺾은 이정후
MLB 최고 천재 투수 완봉 빼앗기고 '망연자실’
출처 : why?와이튜브 2025. 04. 08.
https://www.youtube.com/watch?v=7vCEXKlaPnY
중국서 바나나 맞은 6천만 구독자 흑인 유튜버 제발 한국 보내달라 빌고 있는 이유
“이딴 꼴 보자고 돈 받고 중국 간 거야?”
출처 : why?와이튜브 2025. 04. 08.
https://www.youtube.com/watch?v=G5aItOUQoXE
“독일무기 취소 후;; 韓무기 또 구매” 노르웨이 4성장군 ‘한마디’
유럽발칵 K9 ‘지옥 설숲’ 단독돌파 이럴수가;
출처 : 리얼리즘 2025. 04. 08.
https://www.youtube.com/watch?v=cBPoJqfBaIw
KF-21 현무 미사일까지 장착하자 난리 난 중국 | 사거리 1,000km로
베이징 직격 작전까지 가능해져
출처 : 꺼리튜브 2025. 04. 08.
https://www.youtube.com/watch?v=5KtZxwSmKrM
지상군 최강된 폴란드 | 美·英·프 모두 버리고 독자행보
출처 : 꺼리튜브 2025. 04. 08.
https://www.youtube.com/watch?v=sNu6CDj1m6s
[Why Times 정세분석 3264] 최대 위기 맞은 애플 아이폰
출처 : Why Times 2025. 04. 08.
https://www.youtube.com/watch?v=iHt5XIuAGBI
[Why Times 정세분석 3265] 美 관세 전쟁에 국민 결집 나선 中,
“최악 위기에 빠진 시진핑”
출처 : Why Times 2025. 04. 08.
https://www.youtube.com/watch?v=nFg4-CGgkn0
단군 이래 최대 규모 수주, 사우디가 K-잠수함에 반한 이유 (김민석 특파원 / 풀버전)
출처 : 신사임당 2025. 04. 08.
https://www.youtube.com/watch?v=n0QMC4DCoFU
삼성전자가 TSMC의 마지막 희망인 이유|이철 박사 3부
출처 : 달란트투자 2025. 04. 08.
https://www.youtube.com/watch?v=ALZSPOsuCHU
미국에서 관세보다 더 끔찍한 게 온다. 전세계가 곧 아수라장 된다|김정호 교수 1부
출처 : 달란트투자 2025. 04. 08.
https://www.youtube.com/watch?v=Te-zVkmURes
조선 노비가 중국, 일본의 노예와 급이 달랐던 진짜 이유|홍대선 작가 3부
출처 : 달란트투자 2025. 04. 08.
https://www.youtube.com/watch?v=5lPq-gtXpn4
"돈은 우리가 100% 낼게" 중동이 미국, 중국 제쳐두고 한국만 급하게 찾는 이유
(박현도 교수 / 4부)
출처 : 웅달 책방 2025. 04. 08.
https://www.youtube.com/watch?v=e7-LeDZt8hw
"사상 초유의 사태가 벌어졌다" 미군이 평가한 한국군 전력, 한국 군대 정말 큰일났다
(전인범 장군 / 1부)
출처 : 웅달 책방 2025. 04. 08.
https://www.youtube.com/watch?v=dUSRviMnkSo
"지금까지 속았던거죠" 탈북녀가 한국 길거리에서 '이것' 보고 충격받은 이유
(김가영 / 풀버전)
출처 : 웅달 책방 2025. 04. 08.
https://www.youtube.com/watch?v=vCvmDjwrMdE
"젤렌스키 말이 계속 바뀐다" 언론은 쉬쉬하고 있어요. 러우전쟁의 충격적인 비밀
(조한범, 조의준, 류한수 / 러우전쟁 특집)
출처 : 웅달 책방 2025. 04. 08.
https://www.youtube.com/watch?v=DeIJA4mIB0w
"한국만 예외였고, 다 막혔다" 세계가 놀란 한국인 미스터리,
우리가 선진국이 된 진짜 이유 (박정호 교수 / 풀버전)
출처 : 웅달 책방 2025. 04. 08.
https://www.youtube.com/watch?v=wsMm34RlJDg
[W디펜스] "가득 찬 러탱크 무덤" 드론이 때린 '1만대'
출처 : MTN 머니투데이방송 2025. 04. 07.
https://www.youtube.com/watch?v=XcQeKpUF7Vc
[W디펜스] "후티의 결정적 실수" 美 드론폭탄 수십명 ‘증발’
출처 : MTN 머니투데이방송 2025. 04. 07.
https://www.youtube.com/watch?v=6O2FcUkupaM
대만반응│"한국인들이 들으면 난리나겠는데?" 카메라 앞 혐한 발언하는 그들│
MC의 노력에도 수습불가.. 결국 공개된 영상│K팝에 밀려? 문화예산 깎자는 대만국회의원
출처 : 중국어로 [路] 2025. 04. 07.
https://www.youtube.com/watch?v=xmcBTqKY4Ro
"韓 방산 둑 터졌다...각오하라" 미국 X돼보라고 개발한 신형 천무 공개되자마자
호구계약 일방적 철회
출처 : why?와이튜브 2025. 04. 07.
https://www.youtube.com/watch?v=1Eu7ZwS1u7E
“MLB 50년 있으면서 이런 건 또 처음 봅니다” 현지 해설도 경악한 이정후 MLB 1위
멜빈 감독도 극찬한 한 장면에 미국 초토화
출처 : why?와이튜브 2025. 04. 07.
https://www.youtube.com/watch?v=MzbuoC-idUU
“이것이 K9 도입 진짜이유” 영하 40도 첫 실전투입 드러난 대반전,
中 따라하려다가 포병 자진 실토 “꼼짝도 못해요”
출처 : 리얼리즘 2025. 04. 07.
https://www.youtube.com/watch?v=KuyU7J8jCt0
한국인들의 K-민주주의 보고 크게 놀란 '수백만 전세계 시민들' 거리 뛰쳐나오더니
처음보는 행동들..해외에서 크게 놀란 이유, 초대형 ‘한국형 시위’ 광경..역사상 처음
출처 : 쓸모왕 2025. 04. 07.
https://www.youtube.com/watch?v=udCcAWfLGjE
트럼프 관세 유지여부 발표 일론머스크에 대해 충격 발언
골프치고 돌아오며 에어포스원 인터뷰
출처 : 트래블튜브 2025. 04. 07.
https://www.youtube.com/watch?v=-Epd1ywiXm0
"폭삭 속았수다" 중국이 건설한 건물 덮친 지구의 분노, 초고층 건물 와르르
출처 : 디씨멘터리 2025. 04. 07.
https://www.youtube.com/watch?v=87Y7Cg_STHg
미국 역사상 처음 있는 상황, 트럼프 역풍에 "비상사태 발생"
출처 : Sion TV 2025. 04. 07.
https://www.youtube.com/watch?v=VlJuBgZtUDE
韓에 도전장 냈다 실패... 처참한 中 바닷가에서 썩고있는 중국산 전기차
800마력 中슈퍼카 주행도중 대폭발
출처 : 잡식왕 2025. 04. 07.
https://www.youtube.com/watch?v=69U8z8Flexk
중국 아파트 폭발 대참사원인 밝혀지자 언론통제 내려진 상황
출처 : 잡식왕 2025. 04. 07.
https://www.youtube.com/watch?v=UQAULUqnbXc
굉음내며 도착한 한국 자주포 2인자 | 예비전력만 풀어놔도 이미 섬멸
출처 : 꺼리튜브 2025. 04. 07.
https://www.youtube.com/watch?v=TAWAluQsZhw
[Why Times 정세분석 3263] 시진핑 최측근 류허 부총리 아들도 수사 대상,
이젠 권력 핵심부마저 무너진다!
출처 : Why Times 2025. 04. 07.
https://www.youtube.com/watch?v=P6YD47u8sNs
[Why Times 정세분석 3262] 美 ‘무차별 폭격’에 겁 먹은 이란, 결국 후티족 버렸다!
출처 : Why Times 2025. 04. 07.
https://www.youtube.com/watch?v=nbtOq2ctxGI
작심한 젤렌스키의 최후 일격에 피눈물 나기 직전인 러시아 상황
|김대영 군사평론가 풀버전
출처 : 달란트투자 2025. 04. 07.
https://www.youtube.com/watch?v=t_E_F53WRfc
우크라 공격에 코피터진 푸틴, 러시아 곧 갈가리 찢어진다|조한범 박사 3부
출처 : 달란트투자 2025. 04. 07.
https://www.youtube.com/watch?v=KGUimyrsD8E
무너지기 직전 한국 경제. 살 길은 오직 하나뿐이다 (김경록 박사 1부)
출처 : 머니인사이드 2025. 04. 07.
https://www.youtube.com/watch?v=PzpHn_AyJJg
이대로 가면 금융위기 100%다. '이것' 못지키면 한국 경제 다 망합니다 (이현훈 교수 1부)
출처 : 머니인사이드 2025. 04. 07.
https://www.youtube.com/watch?v=otqiQ4y6DmA
"전쟁의 모습이 바뀌고 있어요" 러우전쟁에 숨겨진 비밀 (김민석 특파원 / 4부)
출처 : 신사임당 2025. 04. 07.
https://www.youtube.com/watch?v=uFo9Mjo0fos
북한 극도로 위태롭다, 알아서 무너지는 북한 실제상황 (이민복 단장 / 풀버전2)
출처 : 신사임당 2025. 04. 07.
https://www.youtube.com/watch?v=e2v8LyENPkM
"한 나라 무기 통째로 갈아탔다" K2 전차부터 장보고-III 잠수함까지 한국산으로
싹쓸이됐다 (안승범 편집장 / 3부)
출처 : 웅달 책방 2025. 04. 07.
https://www.youtube.com/watch?v=WN41TcmI2dQ
"KF-21 없으면 필리핀은 못 버틴다" 미국은 이미 전장을 한국 전투기로 채우기 시작했다
(안승범 편집장 / 2부)
출처 : 웅달 책방 2025. 04. 07.
https://www.youtube.com/watch?v=lhLgZ35-Qjs
"최근 푸틴이 발끈한 이유" 결국 젤렌스키가 노린 '이것' 피눈물 나기 직전인 러시아
(조한범 박사 / 풀버전)
출처 : 웅달 책방 2025. 04. 07.
https://www.youtube.com/watch?v=TSEEqNHaiyI
'우리는 지금 > 정치·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기업 퇴출에 볕드는 K태양광… 배터리도 반사이익 기대 (1) | 2025.04.14 |
---|---|
“세계 최초 HBM4” SK하닉, HBM ‘절대 지존’… (1) | 2025.04.07 |
중국이 ‘내수 진작’ 외치며 ‘소비 과시’는 때려잡는 이유 (4) | 2025.04.03 |
판 커진 유럽무기시장… K-방산 영향은 (2) | 2025.03.31 |
기아 EV3, 유럽 판매 급증…"소형 전기차 통했다" (0) | 2025.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