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기업 퇴출에 볕드는 K태양광… 배터리도 반사이익 기대
한화솔루션·OCI 등 현지 생산 가능
中, 고관세에 우회수출도 원천차단
출처 : 국민일보 2025. 04. 06. 임송수 / 백재연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촉발한 관세 전쟁이 일부 국내 산업계에는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미국 현지 생산이 가능한 국내 태양광·배터리 업체들이 중국을 대신해 미국 시장 내 입지를 넓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면서다.
6일 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주 전방위적인 상호관세를 부과하면서 미국 시장에 선제적으로 진출했던 한화솔루션, OCI홀딩스 등 태양광 업체들은 관세 부과 영향과 그에 따른 전략 점검에 나서고 있다.
이들 기업은 현지 생산이 가능해 관세 영향이 비교적 적다는 점에서 중국 기업에 비교 우위를 점할 수 있다는 기대를 하고 있다. 한화솔루션 큐셀부문(한화큐셀)은 태양광 모듈 매출의 70~80%가 미국에서 발생한다.
현지 공장 증설도 이뤄지고 있다. 한화큐셀은 3조2000억원을 투자해 미국에 태양광 생산 시설인 ‘솔라허브’를 구축하는 중이다. 상업 가동을 시작하면 태양광 모듈 생산 능력은 8.4기가와트(GW)로 늘어난다. OCI홀딩스도 2026년까지 미국에 2GW 규모의 태양광 셀 공장을 증설한다는 계획을 내놨다. 미국 내 태양광 셀 생산 능력이 연간 수요 대비 90% 부족한 상황에서 대중국 관세 강화 가능성이 커지자 선제 대응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상대적으로 중국의 영향력은 약화할 수밖에 없다. 미국 태양광 시장에서 70% 수준의 점유율을 차지하는 중국은 태양광 패널을 말레이시아, 베트남, 캄보디아, 태국 등에서 생산하고 있다. 미국이 이를 겨냥해 관세율을 높이자 중국은 인도네시아, 라오스 등으로 생산기지를 다변화하는 데 나섰다. 하지만 미국이 인도네시아 수입품에 32%, 라오스에 48%의 상호관세를 설정하면서 이마저도 여의치 않은 상황이 됐다.
중국발 태양광 모듈 물량이 줄면 공급이 부족해져 판가 상승도 기대할 수 있다. 위정원 대신증권 연구원은 “관세 장벽에 따른 북미 지역 내 태양광 모듈 수급 개선은 판가 인상 요소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에너지저장장치(ESS)도 중장기적으로 국내 기업의 반사이익이 예상되는 분야다. 트럼프 행정부가 배터리 부품 전반에 25%의 관세를 부과한 가운데 중국산 배터리에는 이보다 높은 34%의 관세를 책정하면서다. 이에 더해 미 하원은 지난달 국토안보부(DHS)의 예산이 투입되는 사업에서 CATL, 비야디(BYD) 등 중국 배터리 기업 6곳의 제품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해외 적대국 배터리 의존도 감소법’을 통과시켰다. 법안에 중국 기업 명단이 직접 명시돼 있어 우회 수출도 원천 차단된다.
배터리 업계 관계자는 “단기적으로 국내 기업도 관세 인상의 영향을 받지만, 중국 경쟁사들에 비해 낮은 관세율을 적용받고 있다”며 “현지 생산 확대 전략을 통해 비교적 유리한 고지를 선점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ESS 기술 '충전' 들어간 K-배터리…시장 공략 박차
출처 : 머니투데이 2025. 04. 08. 김도균 기자
배터리 업계가 ESS(에너지저장장치) 맞춤형 기술 확보에 공들이고 있다. 캐즘(Chasm·일시적 수요 둔화) 국면에 새 먹거리로 떠오른 ESS 분야에서 에너지 효율을 높이며 설치비용도 절감해 주도권을 쥐기 위해서다.
8일 각사 사업보고서 등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는 ESS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삼성SDI는 데이터센터 서버 비상전력용으로 쓰일 ESS를 개발중이다. 정전 발생시 5분 안에 에너지를 방출하는 전력원을 만든다는 목표다. LG에너지솔루션은 ESS에 '셀 투 팩'(Cell to pack·CTP) 기술을 접목시키는 방법을 연구중이다. 배터리 셀을 모듈화하지 않고 바로 팩으로 만드는 기술이다. 모듈 케이스가 차지하는 공간까지 셀로 채워놓을 수 있어 에너지 밀도와 용량이 커진다는 장점이 있다.
두 회사는 지난해에도 ESS 배터리 영역에서 한단계 진보된 기술을 내놓았다. 삼성SDI는 공간 이용률 최적화 기술을 개발해 지난해 출시한 SBB(Samsung Battery Box) 1.5에 적용했다. 에너지 밀도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다. LG에너지솔루션의 경우 ESS 설치 비용을 줄이는 기술에 방점을 찍고 LFP(리튬인산철) 기반 ESS용 배터리를 선보였다.
국내 배터리셀 제조사가 ESS 사업 확대 기조를 밝힌 데 이어 관련 기술 확보를 위해 경쟁하는 양상이다.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는 전기차 캐즘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연구개발 비용을 각각 4.9%, 14.2% 증액했다. 업계 관계자는 "두 회사 모두 ESS를 겨냥한 개발 조직을 따로 두고 있는 만큼 ESS 연구개발에 투입된 비용도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앞서 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해 비전 공유회를 통해 ESS 사업 확대 계획을 밝혔으며 기존 전기차 배터리 생산라인을 ESS용으로 전환하고 있다. 삼성SDI는 미국 최대 전력기업인 넥스트에라에너지에 4000억 원 규모의 ESS용 배터리를 납품하기로 하는 등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후발주자인 SK온은 북미를 중심으로 ESS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배터리 업계의 ESS 비중은 당분간 늘어날 것으로 보여 배터리 업계의 기술 경쟁은 더욱 격화할 전망이다. 한국무역통계진흥원 수출입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ESS용 리튬이온배터리 수출 금액은 29억6697만 달러로 같은 기간 전기차용 배터리 수출액 11억6974만 달러를 앞질렀다. 연간 기준 ESS용 배터리 수출액이 전기차용 배터리보다 많았던 것은 처음 있는 일이다. 업계에서는 AI(인공지능) 산업 성장에 따라 전력 수요가 늘고 있는 만큼 올해에도 이같은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본다.
AI용 데이터센터 설치가 늘고 있는 미국이 격전지로 꼽힌다.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 태양광 설치량은 총 50GW(기가와트)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한 데 이어 올해 설치량은 49GW로 예상된다. 배터리 업계 관계자는 "앞으로도 꾸준한 투자를 통한 기술 혁신을 비롯해 원가경쟁력을 확보하는 기업이 살아남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美관세 피하자" 유럽 공략하는 K배터리
배터리3사, 시장 다변화 총력 / 유럽 공장 증설로 위기 타개
LFP 배터리 양산, 中과 승부 / ESS 전환…수요감소에 대응
출처 : 매일경제 2025. 04. 04. 추동훈 기자
미국발 상호관세 폭탄이 떨어진 국내 배터리 업계가 적극적인 시설투자 확대와 현지 고객사 확보를 통해 유럽 시장 공략으로 시선을 돌리고 있다. 유럽 시장 내 경쟁력 확보로 북미 시장 불확실성을 타개하겠다는 계산이다.
4일 배터리 업계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등 국내 배터리 3사는 미국발 관세 부담이 사업에 미칠 영향을 분석하면서 유럽 시장 영향력 확대 전략을 모색하고 있다. '트럼프 관세' 여파로 외국에서 미국으로 넘어가는 배터리 소재 가격 인상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악영향을 최소화할 방안을 마련함과 동시에 위험 회피를 위한 시장 다변화를 꾀하는 양상이다.
최근 2조원 규모 유상증자를 단행한 삼성SDI는 이 중 3분의 1 규모인 6413억원을 유럽 헝가리 괴드공장에 투자한다. 기존 괴드 1·2공장의 유휴 용지를 활용해 전기차용 각형·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양산할 수 있는 생산설비를 건설하는 것이 핵심이다. 구체적으로 삼성SDI는 헝가리 공장에서 각형 배터리 생산능력을 확대하기 위해 총 4955억원을 투자할 예정이다. 에너지 밀도가 높고 안전성 측면에서 장점이 있는 각형 배터리는 삼성SDI의 대표적인 제품 형태다.
또한 삼성SDI는 LFP 배터리 양산 체제를 갖춰가며 유럽 시장에서 중국 배터리사와 진검승부를 예고하고 있다. 삼성SDI는 올해 150억원, 내년 1308억원을 투자해 괴드 공장 내 LFP 전용 배터리 생산설비를 구축할 방침이다. 에너지 밀도는 낮지만 가격 경쟁력이 있는 LFP 배터리는 그간 중국 배터리사의 전유물로 여겨졌다. 하지만 배터리 시장 경쟁 심화와 미국 전기차시장의 위축 우려가 커지고 있는 만큼 삼성SDI는 LFP 배터리 경쟁력을 높여 유럽 시장 점유율을 늘려나가겠다는 방침이다.
삼성SDI 관계자는 "LFP 배터리 수주 프로젝트를 적극 추진한 덕에 수주 확정 단계에 있는 계약도 있다"고 밝혔다. 현재 삼성SDI는 헝가리 괴드 공장에서 연산 약 40기가와트시(GWh) 규모의 배터리 생산 능력을 갖추고 있다. 추가 투자를 통해 이 역시 크게 향상될 전망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해 유럽 시장에서 따낸 배터리 수주 물량을 준비하며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꾀하고 있다. 지난해 르노와 39GWh 규모의 LFP 배터리 공급 계약을 체결한 데 이어 이어 포드와도 109GWh 규모의 상용차용 전기차 배터리 계약을 맺었다. 연산 90GWh 규모 생산능력을 갖춘 폴란드 브로츠와프 공장은 최근 유휴 생산설비를 에너지저장장치(ESS)용으로 전환하며 전기차 수요 감소에도 유연하게 대응하고 있다. 최근에는 폴란드 국영전력공사(PGE)의 대규모 ESS 프로젝트에 사업 파트너로 선정되며 유럽 ESS시장 공략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SK온도 헝가리에 있는 코마롬 1·2공장과 이반차 공장을 통해 유럽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반차 공장은 최신 자동화 설비를 기반으로 지난해 2분기 상업 생산을 개시했다. 초기 5GWh였던 생산능력을 연말까지 10GWh로 확대했다. 특히 가동 3개월 만에 수율 90%를 달성하며 빠른 안정화에 성공했다. SK온은 현대차그룹, 메르세데스벤츠, 폭스바겐, 포드 등 유럽 내 주요 완성차 업체들과 협력하고 있다. 추후 이반차 공장의 생산능력을 순차적으로 확대해 고객 수요에 적극 대응할 방침이다.
특히 국내 배터리업계는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로 인해 북미사업이 단기적인 악영향에 직면하는 만큼 관세 부담을 피하기 위해 유럽 내 생산 경쟁력을 강화하고 판매망을 확보하는 방향으로 선회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유럽시장 점유율을 높여가는 중국과의 경쟁도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
중국 LFP 배터리를 잡아라…'제3의길' 찾는 K배터리
출처 : 한국경제 2025. 03. 17. 성상훈 기자
국내 배터리 업계가 어려움을 겪고 있는건 캐즘(대중화전 일시적 시장침체) 때문만은 아니다. 시장 전체가 침체되는 와중 중국산 LFP(리튬인산철)은 시간이 갈수록 K배터리의 점유율을 빼앗아 갔다. 국내 LFP 배터리의 부재가 뼈아팠다는 의미다.
17일 SNE리서치에 따르면 중국 기업이 장악하고 있는 글로벌 LFP 시장은 전기차 적재량 기준 지난해 전년대비 53% 성장했다. 삼원계 양극재 적재량은 12% 늘어나는데 그쳤다. 전세계적으로 전기차 가격을 따지는 소비자가 많아지는데다 LFP의 성능도 빠르게 올라왔기 때문이다.
'절치부심'에 나선 국내 배터리 업계는 제3의 길을 찾고 있다. 동일한 LFP를 생산해 중국과 정면대결하기보다는 소재, 생산방식, 배터리 형태 등의 차별화를 통해 점유율을 뺏어오겠다는 전략이다. 망간을 활용한 LMR(리튬망간리치), LFP의 소재·형태를 달리한 LFP+, T2X LFP 등이다.
가장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건 배터리 소재업체다. 배터리업계에 따르면 포스코퓨처엠은 전기차용 LMR 배터리 양극재 개발을 마치고 배터리사들과 납품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계약만 체결되면 즉각 양산 체제에 돌입할 준비를 마쳤다.
포스코퓨처엠은 중국의 저렴한 인건비, 전기료와 보조금까지 고려하면 동일한 LFP 양극재를 만들어서는 수익을 내기 어렵다고 판단했다. LMR은 LFP와 생산방식은 유사하지만 망간을 첨가한 배터리 양극재다. 희귀금속 중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망간 비중을 65%까지 높여, 에너지 밀도를 LFP 양극재 대비 30% 높일 수 있다. 망간 등을 재활용하는 리싸이클링 체제까지 갖춘다면 평균 생산비도 LFP 수준으로 맞출 수 있다고 보고 있다. LFP는 재활용이 불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한 전략이다.
배터리 셀 업체들 역시 오랜 고민끝에 길을 찾고 있다. 셀업체 들은 내년부터 전기차용 LFP 배터리를 양산할 계획이지만 큰 수익을 내지는 못할 것으로 보고있다. 수주 실적도 아직까지는 기대 이하다. 이대로면 미국외 국가에선 중저가 시장을 완전히 빼앗길 것으로 보고 LFP 응용버전을 자체 개발하고 있다.
삼성SDI가 연구개발중인건 LFP+다. 기존 LFP에 망간을 소량 첨가하는 방식이다. LMR과 유사하지만 망간 비중이 낮아 LFP에 좀 더 가깝다. 망간 이외의 신규 소재도 첨가할 예정이다. 삼성SDI는 여러 소재를 가지고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기존 LFP 배터리의 셀의 두께를 2배로 늘린 T2X LFP를 개발중이다. 셀을 2배로 늘리면 에너지 밀도가 2배로 늘어나지만 생산 비용은 2배미만이 된다. 에너지밀도당 비용을 낮출 수 있다는 의미다.
양사 모두 중장기적으로는 건식공정을 중국보다 먼저 상용화해 LFP 생산비용을 낮추고자 하고 있다. 기존 습식공정은 배터리 양극 활물질을 액체로 만든 뒤 건조시키는 과정이 필수다. 건식공정은 고체 파우더를 이용해 이 과정을 생략한다. 전체 배터리 제조원가를 15~20% 가량 줄일 수 있다.
"中에 중저가 시장 뺏겨"…아픈 상처, '소금'으로 치료한다는 K-배터리
출처 : 머니투데이 2025. 03. 10. 최경민 기자
K-배터리가 차세대 기술 확보전에 적극 나서고 있다. 리튬 대신 소금의 주성분인 '나트륨'을 원료로 만드는 배터리 역시 그 대상이다. 국내 배터리 3사는 물론 소재사들까지도 관련 사업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K-배터리 3사는 모두 SIB(나트륨이온배터리)에 대한 사업 검토 및 R&D(연구개발)를 추진하고 있다. SIB는 리튬 보다 확보가 용이한 나트륨을 이차전지 제작에 활용하는 차세대 배터리다. 성능은 리튬이온배터리 대비 떨어지지만 △보다 저렴한 가격에 지속 가능한 배터리 생산이 가능해지고 △전기화학적 안정성이 높으면서 △저온에서의 성능 저하가 심하지 않다는 장점이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 5~7일 진행된 '인터배터리 2025'를 통해 소듐(나트륨) 배터리를 최초로 전시했다. 김동명 LG에너지솔루션 대표는 전시회에 참석해 46시리즈, LFP(리튬·인산·철) CTP(셀투팩) 등 회사의 주력 기술과 함께 '소듐 배터리'를 언급하면서 "중국 기업과의 경쟁 우위를 만들 것"이라고 밝혔다. 삼성SDI의 경우 현재 연구소에서 나트륨 배터리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SK온 관계자 역시 최근 기자와 만나 "미래 머티리얼 측면에서 나트륨 배터리를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배터리 소재사들도 나트륨 기술 확보에 팔을 걷었다. '인터배터리 2025'에서 나트륨 배터리용 양극재를 개발해온 에코프로비엠의 최문호 대표는 "기술단에서는 완성이 됐고, 고객과 협의 중"이라며 "중국과의 경쟁에서도 이길 수 있다"고 말했다. 에코프로비엠은 오창 사업장에 국내 최대 규모의 나트륨 배터리 양극재 전용 파일럿 생산 라인을 구축한 상태다. 애경케미칼은 나트륨 배터리 음극재용 고성능 하드카본 시장을 공략한다는 전략을 갖고 있다.
지금까지 나트륨 배터리 개발을 주도해온 것은 중국 기업들이었다. CATL, BYD 등은 2021년 무렵부터 나트륨 배터리를 개발하고 상용화 시도에 나섰다. CATL은 200Wh/㎏급의 나트륨 배터리 제작을 목표로 하고 있는데, 이는 LFP(230~240Wh/㎏)과 유사한 수준이다. 전기차에 본격 탑재하기에는 아직 기술적 완성도가 떨어진다는 지적이 있지만, 소형 이륜차를 비롯해 ESS(에너지저장장치) 등을 중심으로 조만간 시장이 형성될 수 있다는 분석이 힘을 얻고 있다.
실제 지난해 SNE리서치는 나트륨 배터리의 시장 규모가 2035년 19조원대에 달할 것이라 내다봤다. 중국의 전기 오토바이 기업인 야디(Yadi)와 전기차 기업인 장화이자동차(JAC)는 이미 나트륨 배터리를 장착한 모델을 선보였다. 이외에도 영국·스웨덴·프랑스·미국에서 나트륨 배터리 개발 계획을 밝히고 있다. SNE리서치 관계자는 "나트륨 배터리는 향후 LFP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중저가 시장에 침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국내 배터리 업계는 미래 시장 대응력을 키우기 위해 포트폴리오 다양화가 필수적이라고 본다. 이같은 측면에서 나트륨 배터리와 같은 미래 기술 확보에 기업들이 적극 나서야 한다는 것이다. 배터리 업계 관계자는 "K-배터리의 경우 삼원계(NCM·NCA)에만 집중하다가 중저가 LFP 시장 지배력을 중국 측에 넘겨주며 전기차 캐즘(Chasm, 일시적 수요 둔화) 상황에 타격을 받은 경험이 있다"며 "전기차 배터리 가격을 낮출 수 있는 차세대 기술력을 적극적으로 확보해야 중국과의 배터리 경쟁에서 승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biz-플러스]
'美 ESS 붐' 노리는 K배터리···SK도 대규모 단지 구축 가속
SK그룹, 텍사스 2차 단지 올 착공 / 2029년까지 900㎿ 규모로 확대
삼성물산도 LS일렉과 설립 추진 / 삼성SDI 등도 추가 수주 청신호
출처 : 서울경제 2025. 03. 17. 심기문 기자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둔화)’에 위기를 맞은 SK·LG·삼성 등 주요 배터리 업체들이 고속 성장하는 미국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 공략을 가속화하며 실적 개선에 열을 올리고 있다. SK그룹은 미국 내 대규모 ESS 단지를 잇따라 구축해 배터리 사업 역량을 강화하고 있으며 삼성 역시 LS와 손잡고 ESS 프로젝트를 확대하는 모습이다. 앞서 LG에너지솔루션(373220)은 수요가 둔화하는 전기차 배터리 대신 ESS용 배터리 공장 증설에 나선 바 있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SK가스(018670)와 SK이터닉스(475150)는 미국 텍사스 남부에 100㎿급 2차 ESS 프로젝트를 연내 착공해 내년 중 상업 가동에 돌입하기로 했다. 앞서 양사는 2023년 12월 북미 ESS 시장 진출을 위해 871억 원을 투자해 미국 현지 법인인 그리드플렉스를 설립했다. 지분율은 SK가스 80%, SK이터닉스 20%다. 그리드플렉스는 미국 재생에너지 기업인 에이펙스클린에너지와 합작사인 ‘SA 그리드솔루션즈’를 출범시켰다.
SK와 미측 합작사는 지난해 3월부터 올 1월까지 텍사스 남부에 100㎿급 1차 ESS 프로젝트 단지를 건설해 지난달부터 상업 가동에 들어간 바 있다. 1차 ESS 프로젝트에는 34대의 인버터와 340대의 배터리가 설치됐는데 2차 ESS 단지도 인근 지역에 비슷한 규모로 건설돼 운영된다.
SK는 텍사스 이외 지역에도 진출해 2029년까지 미국 ESS 사업 규모를 900㎿까지 확대할 예정인데 이는 SK온의 ESS용 배터리 사업 강화와도 맞닿아 있다. SK온은 지난해 말 조직 개편을 통해 최고경영자(CEO) 직속으로 ESS 사업을 독립 편제해 사업 추진력을 강화했다.
삼성물산(028260) 상사 부문도 지난달 LS일렉트릭과 손잡고 미국에서 ESS 단지를 건설하고 운영할 합작법인을 설립했다. 양사는 합작법인을 통해 삼성물산 상사 부문의 신재생에너지 사업 미국법인이 개발 중인 500㎿ 규모의 ESS 프로젝트를 함께 추진하기로 했다.
미국 ESS 시장은 매년 평균 두 자릿수로 성장하는 블루오션이다. 시장조사 기관인 글로벌마켓인사이츠에 따르면 미국 ESS 시장 규모는 지난해 1067억 달러(약 155조 원)에서 2032년 2635억 달러(약 383조 원)로 두 배 넘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가 빠르게 늘고 있는데다 글로벌 기업들이 미국 현지에 공장을 대거 건설하면서 전력 수요가 급격히 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국내 기업들이 ESS 단지를 건설하는 미국 텍사스와 캘리포니아는 태양광과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이 높아 ESS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는 날씨에 따라 발전량이 들쭉날쭉해 전기를 대규모로 저장할 수 있는 ESS가 필수다. 미국은 자연재해에 따른 정전 빈도마저 높아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ESS가 특히 주목받고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텍사스와 캘리포니아는 전력 가격이 쌀 때 ESS에 저장했다가 높아지면 파는 거래가 활성화돼 사업자의 역량에 따라 고수익을 얻을 수 있다”고 말했다.
북미 ESS 시장이 고속 성장하면서 전기차 배터리 수요 정체에 신음하던 기업들도 미국 ESS용 배터리 공급에 신바람을 내고 있다. 미국 전력사업자들은 그간 가격이 저렴한 중국산 배터리를 이용해왔는데 미국이 내년부터 중국산 ESS 배터리 수입 관세를 상향하기로 했고 트럼프 정부는 중국산을 시장에서 퇴출시키려는 의지가 강하기 때문이다.
삼성SDI(006400)는 14일 북미 최대 전력 업체인 넥스트라에너지에 4374억 원 규모의 ESS 배터리 공급계약을 맺었다고 밝히면서 추가 배터리 수주 가능성도 시사했다. 삼성SDI의 ESS용 배터리는 안전·공조 장치를 통합한 완제품으로 전력망에 연결만 하면 곧장 ESS로 사용이 가능해 인기가 높다. LG에너지솔루션도 전기차 배터리를 생산하는 미국 미시간주 홀랜드 공장에서 ESS용 LFP(리튬·인산·철) 배터리를 하반기부터 양산해 북미 ESS 시장에 대한 대응력을 높일 계획이다.
미국發 관세폭탄…K배터리, 미국 현지화 `가속페달`
출처 : 디지털타임스 2025. 04. 02. 박하나 기자
미국이 외국산 자동차와 부품에 25% 고율 관세를 전격 부과하면서 국내 배터리 3사는 본격적인 '현지화'에 돌입했다. 미국 현지 생산을 유일한 생존 전략으로 삼고 생산라인 전환과 투자 속도를 끌어 올리고 있다.
2일 배터리 업계에 따르면 미국이 자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자동차와 부품에 대해 부과하는 25% 품목관세를 피하기 위해 비상체제에 돌입했다. 미국은 현지시간으로 2일 오후 4시 상호관세를 발표하며, 예고했던 자동차 관세는 미국 동부시간 기준 3일 0시 1분부터 부과한다.
LG에너지솔루션과 SK온, 삼성SDI는 품목관세와 상호관세라는 압박이 현실화되자 미국 내 현지 생산 확대를 생존 전략의 핵심 축으로 삼고 있다. 미국의 관세를 피할 방법이 현지 생산과 조립 밖에 없는 만큼 미국 현지 생산 비중 확대가 유일한 대응책이라는 것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미국 내 급증하는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공장의 신증설보다는 기존 공장의 효율적 전환에 집중하는 '리밸런싱' 전략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미국 지역의 인프라 투자비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만큼 투자비 절감 차원에서 경제적이고 효율적이라는 판단이다.
최근 GM과의 세 번째 합작공장인 얼티엄셀즈 3기를 단독공장으로 인수한 것이 대표적인 추진 사례다. 이번 인수로 50GWh 규모의 생산능력을 자체 확보하게 됐다. 업계에서는 3공장을 인수한 후 고객사의 유력후보로 지난해 공급 계약을 체결한 토요타를 꼽고 있다.
ESS 사업 부문도 당초 애리조나에 신설하기로 했던 ESS(에너지저장장치)전용 공장 대신, 미시간 단독공장의 기존 설비를 활용해 ESS 라인을 구축했다. 리밸런싱으로 미국 현지 생산을 2026년에서 2025년으로 1년 앞당긴 것이다.
결과적으로 LG에너지솔루션은 미시간공장과 애리조나공장에 이어 이번 인수까지 3개의 단독 공장을 보유하게 됐다. 여기에 얼티엄셀즈 1공장과 2공장이 가동 중인데다 스텔란티스, 혼다, 현대차와의 합작공장(셀 기준)이 올해 가동을 모두 앞두고 있어 미국 시장 공략이 속도전 단계에 접어들고 있다.
SK온도 미국에서 생산라인을 고객사 맞춤형으로 전환하는 데 속도를 내고 있다. SK온은 미국 조지아주에 2개의 단독공장을 각각 9.8GWh, 11.7GWh 규모로 가동 중인데 일부 라인을 현대차그룹 전용으로 전환해 고객사 대응을 위한 맞춤형 생산에 착수했다.
SK온의 4개 합작공장 역시 고객사인 완성차업체 전략과 연동되는 유연한 공급 기지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켄터키와 테네시에 건설 중인 포드와의 블루오벌SK 1~3 합작공장(총 127GWh)과 현대차와의 조지아 합작공장(35GWh)은 각각 올해와 내년부터 가동 목표여서 정책 리스크를 빠르게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다.
삼성SDI는 스텔란티스와 함께 인디애나주 코코모 첫 번째 합작공장을 지난해 12월부터 가동 중이다. 스텔란티스의 미국 내 조립 비율은 60%를 넘는 만큼 이 공장은 관세 리스크를 일부 상쇄할 수 있는 생산기지로 작용할 전망이다.
합작공장의 경우 삼성SDI는 스텔란티스와의 코코모 두 번째 합작공장과 GM과의 뉴칼라일공장을 각각 2027년 가동을 목표로 추진 중이다. 단기적으로는 관세 리스크에 노출돼 있지만 2027년부터는 상황이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
여기에 최주선 삼성SDI 대표는 '인터배터리 2025'에서 미국 공장 설립에 대해 "보수적으로 보고 있지만 중장기적으로는 반드시 성장해야 하기 때문에 내부적으로 치열하게 논의 중"이라고 밝힌 바 있다. 삼성SDI는 관세 영향에 따라 단독 생산기지 확보에 대한 전략적 검토를 다시 진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 배터리업계 관계자는 "미국의 강력한 보호무역 기조가 이어지면서 완성차 고객사들의 현지화 요구도 빨라질 것"이라며 "미국 생산 비중 확대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됐기 때문에 투자 확보와 공장 가동 시점, 생산 유연성이 성패를 가를 관건"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관세정책, K배터리에 유리···美서 차세대 배터리 생산 가능"
■SNE리서치 '차세대 배터리 콘퍼런스'
"美 관세로 중국산 배터리 63.7% 상승"
K배터리, 현지 생산 시 가격 경쟁력 확보
전고체 배터리 등 차세대 배터리 개발 박차
LG엔솔, 5년 내 상용화···AAM·선박 등 공급
출처 : 서울경제 2025. 04. 10. 노해철 기자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 정책과 미중 무역 갈등이 한국 배터리 업체에게 기회로 작용할 것이란 관측이 나왔다. 미국 현지에서 생산된 한국 업체의 제품이 125% 관세율을 적용받는 중국산 제품을 대체할 것이란 분석이다. LG에너지솔루션(373220) 등 국내 업체들은 미국 공장을 활용한 차세대 배터리 생산 가능성을 열어두고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오익환 SNE리서치 부사장은 10일 서울 서초구 엘타워에서 열린 ‘제8회 차세대 배터리 콘퍼런스’에서 “중국산 배터리셀 고율 관세로 전기차·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에서 중국산을 대체하려는 수요가 급증할 것”이라며 “2025~2026년 북미 생산과 소재 내재화가 성공의 분수령”이라고 밝혔다.
비야디(BYD)와 CATL 등 중국 배터리 업체들은 저렴한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앞세워 시장 점유율을 빠르게 끌어올리고 있다. 중국을 제외한 북미 등 전 세계 시장에서 중국 업체의 시장 점유율은 2019년 2.2%에서 지난해 41.1%로 늘었다. 올 들어 2월까지는 46.5%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그러나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미중 무역 갈등이 본격화되면서 점유율 확대에 제약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고율 관세를 적용 받으면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고 고객 수요도 줄어들 것이란 분석이다.
SNE리서치 분석에 따르면 미국 행정부가 2026년부터 중국산 ESS 배터리에 82.4% 관세를 부과하면 해당 배터리의 가격은 ㎾h당 149달러로 지난해(㎾h당 91달러)보다 63.7% 치솟는다. 반면 미국에서 생산한 배터리는 ㎾h당 118달러로 31달러 저렴하다. 현지 생산으로 관세를 피할 수 있는 데다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상 첨단제조세액공제(AMPC) 혜택도 받기 때문이다.
오 부사장은 “미국에서 조기에 ESS용 LFP 라인을 구축해야 한다”며 “파우치보다 각형을 선호하는 고객 수요를 반영해 각형 라인을 마련하고 수요 감소를 방지하기 위해 ㎾h당 100달러 수준의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내 업체들은 미국 생산거점을 기반으로 발 빠르게 대응하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미국에서 총 7개 배터리 공장을 운영 또는 건설 중이고 삼성SDI(006400)는 미국 스텔란티스와 합작법인인 스타플러스에너지(SPE) 1공장을 지난해 12월 조기 기동했다. SK온은 미국 공장을 6개로 확대한다. 손권남 LG에너지솔루션 부문담당은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들어서면서 저희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전환되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 업체 등 경쟁사에 앞서기 위한 신기술 개발도 병행하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개발 중인 차세대 배터리로 소듐이온 배터리, 바이폴라 배터리, 전고체 배터리를 제시하고 2030년까지 상용화한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기존 리튬이온배터리보다 가격과 성능, 안전성을 개선하고 단순 전기차·ESS를 넘어 미래항공모빌리티(AAM), 로봇, 전기선박 등으로 공급을 늘려 나간다는 구상이다.
손 부문담당은 “필요하다면 미국에서도 소듐이온 배터리 등을 양산·매매할 것으로 본다”며 “향후 시장이 커진다면 그에 맞춰서 적절한 시장에서 생산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삼성SDI는 새로 개발한 배터리 열 관리 기술을 선보였다. 배터리 셀 한 곳에서 열 폭주가 발생하더라도 주변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기술이다. 곽현영 삼성SDI 상무는 “이미 기술 개발을 완료했고 완성차 제조사가 원하면 어떤 셀에서도 적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W디펜스] "러 잠수함이 우글우글" 美, 그린란드 간절한 이유
출처 : MTN 머니투데이방송 2025. 04. 13.
https://www.youtube.com/watch?v=LRh4gpT8_9k
[여의도튜브] "韓 3년, 中 6년, 美 7년" 트럼프가 환장한 이유
출처 : MTN 머니투데이방송 2025. 04. 13.
https://www.youtube.com/watch?v=7spCJEzcW7k
“폭싹은 반드시 후대에 물려줘야 합니다” 종영해도 끝나지 않는 ‘폭싹 신드롬’
외신 한국판 에미상 긴급 편성 보도
출처 : why?와이튜브 2025. 04. 13.
https://www.youtube.com/watch?v=ge5g7ZBcZ1Y
"엄마아빠는 이게 무슨 말인지 모를걸" 전세계 청소년 사이에서 암호가 된
한국어사용률 300배 증가 영어보다 강력한 침투력에 '경악’
출처 : why?와이튜브 2025. 04. 13.
https://www.youtube.com/watch?v=mhD272NMriE
이정후 무시하던 美매체들 대반전 "미국 여성들 이정후 보자 깜짝 놀랐다."
이정후 타석 때마다 조회수 폭발
출처 : 풀앤푸시(Pull&Push) 2025. 04. 13.
https://www.youtube.com/watch?v=JMv-F3tcoM0
"폴란드도 했는데 우리가 왜 못해?" 무기주권 한국에 올인하려는 나라,
한국 무기로 완전무장 고민 중인 나라
출처 : 디씨멘터리 2025. 04. 13.
https://www.youtube.com/watch?v=ZH78VCBY-mk
한국잡겠다 호언장담, 결국 수십조 쏟고도 완전 무너진 일본... 발악하다 결국
/ 한국은 웃고있는데, 日 총체적실패
출처 : 잡식왕 2025. 04. 13.
https://www.youtube.com/watch?v=wrF4h18BSKk
트럼프, 일본에만 수조원 특별관세 발표! TSMC 마저 뒤통수 일본공장 장비뺐다
/ 미국, 관세전쟁에서 한국만 특별대우 한국 전문가들 미국입국 요청까지
출처 : 잡식왕 2025. 04. 13.
https://www.youtube.com/watch?v=IXsxPH1Dakw
이정후 돌풍! 현지 해설가들 입에서 '소름 돋는 대담한 예측' 터져나온 진짜 이유,
샌프란시스코 팬들이 이정후 이름 외치는 것에 더해 "OOO까지 하자"는 실제 상황
출처 : 바이스톰 코리아 2025. 04. 13.
https://www.youtube.com/watch?v=aoH0gTjkp0o
(풀버전)최근 중국산 물건 산 해외 구매자들이 눈물 흘리며 크게 후회하는 이유,
그런데 한국제품 도착하자 전세계 ‘환호’하는 상황..
“천재적인 한국인들의 특이한 행동” 중 ‘경악’
출처 : 쓸모왕 2025. 04. 13.
https://www.youtube.com/watch?v=DRL7J2C6dBA
한국 가성비 메뉴가 미국 식당을 점령 미국 식당들이 망해나가는 이유
가격 1/100인데 더맛있어
출처 : 트래블튜브 2025. 04. 13.
https://www.youtube.com/watch?v=QzQnD9TcIJY
반전 비행 선보인 한국 공군 폭주에 전 세계 경악 | 美 원천 기술 뛰어넘은
마의 전투기 개발 완료
출처 : 꺼리디펜스 2025. 04. 13.
https://www.youtube.com/watch?v=qxvhwj4tKIw
[총집편] 중국 전투기 추락 영상 공개되자 무조건 삭제하라는 시진핑 발악
| 믿었던 동맹국마저 중국 전투기 환불 시도
출처 : 꺼리튜브 2025. 04. 13.
https://www.youtube.com/watch?v=mmHtkhxe0VQ
[Why Times 정세분석 3273] 인민들에게 대미항전 선동하는 시진핑,
‘중국의 종말’ 피할 수 있을까?
출처 : Why Times 2025. 04. 13.
https://www.youtube.com/watch?v=z0rWOMQd8eA
전례없이 폭망하는 일본 경제, 일본 라멘 가게 싹다 망했다 (박정호 교수 풀버전)
출처 : 김작가 TV 2025. 04. 13.
https://www.youtube.com/watch?v=8VYpCxaKNrk
결국 트럼프가 노린 이것 관세보다 끔찍한 게 온다 (이철 / 1부)
출처 : 신사임당 2025. 04. 13.
https://www.youtube.com/watch?v=4jL6PIG4N2A
사상 첫 시진핑 숙청 신호 중국 쿠테타 임박했나 (김대영 군사평론가 / 3부)
출처 : 신사임당 2025. 04. 13.
https://www.youtube.com/watch?v=I8QP3GfML30
트럼프의 관세 폭탄, 오히려 기회였다! 수출 120% 폭증한 놀라운 반전
/ 미국인들이 사재기 중인 k뷰티 "최대 수혜주는?" | iM증권 이영훈 이사
출처 : 815머니톡 2025. 04. 13.
https://www.youtube.com/watch?v=HbUpKHCX4m0
"BBC 속보, 일본 도심이 멈췄다" 쌀도 사치가 된 일본, 경제·도시·시스템 모두
한꺼번에 무너지고 있다 (신작가 / 풀버전)
출처 : 웅달 책방 2025. 04. 13.
https://www.youtube.com/watch?v=DxN3UxgGd2I
"제2 대공황 경고 떴다" 모든 징조가 맞아떨어졌다 더 이상 늦으면 회복은 불가능하다
(이현훈 교수 / 3부)
출처 : 웅달 책방 2025. 04. 13.
https://www.youtube.com/watch?v=YefWmHwu5LM
"기술력의 TSMC가 주는 교훈" 삼성전자 어쩌면 마지막 기회 왔다.
한국 반도체 앞으로 이렇게 된다 (이주완 박사 / 1부)
출처 : 웅달 책방 2025. 04. 13.
https://www.youtube.com/watch?v=30azEJpBt3g
"이걸 자랑이라며 방송에 내보낸다" 세계가 경악한 일본 성문화의 실체
(호사카 유지 / 4부)
출처 : 웅달 책방 2025. 04. 13.
https://www.youtube.com/watch?v=KCvWDUmh5vU
“푸틴도 당황했다” 젤렌스키의 대반격 시작. 러우전쟁 180도 뒤집혔다
⎮ 김정호 교수 4부
출처 : 달란트투자 2025. 04. 13.
https://www.youtube.com/watch?v=SK2sVmFqbcg
"2차대전과 똑같은 신호" 한달내 러우전쟁 판도가 뒤바뀐다 |진재일 교수 2부
출처 : 달란트투자 2025. 04. 13.
https://www.youtube.com/watch?v=6Z2Hbv0dPFM
결국 우크라이나가 노린 건 ‘이것’, 푸틴 트럼프에게 뒤통수 제대로 맞았다.
|김재천 교수 3부
출처 : 달란트투자 2025. 04. 13.
https://www.youtube.com/watch?v=2_0mhRhA6Eg
미국이 손도 안 댔는데 수출길 죄다 막힌 중국, 이젠 손가락만 빨게 생겼다
⎪김정호 교수, 조한범 박사, 홍춘욱 박사, 이철 박사 특집
출처 : 달란트투자 2025. 04. 13.
https://www.youtube.com/watch?v=o5TTGg16OD8
[W디펜스] "무기 물물교환 어때?" 日 '고려중'..韓 '안받아'
출처 : MTN 머니투데이방송 2025. 04. 12.
https://www.youtube.com/watch?v=AqMs5zkvMtE
[K디펜스] 군함만 하냐, 헬기도 한다 "응답하라, 블랙호크"
출처 : MTN 머니투데이방송 2025. 04. 12.
https://www.youtube.com/watch?v=dVo1rYnXyCE
"관세전쟁은 다 속임수"..관세 뒤에서 미국이 노리는 진짜 "깡패짓" ㄷㄷ
출처 : 지식세포 2025. 04. 12.
https://www.youtube.com/watch?v=zUojnBROSQ0
이정후 홈런 직후 인터뷰 반응 폭발 “꿈의 구장에서 스윙 한방에 역사썼다”
'뉴욕을 멈추게 한 이름 LEE'
출처 : 풀앤푸시(Pull&Push) 2025. 04. 12.
https://www.youtube.com/watch?v=-rmp0Q4qVYM
속보! 일본 군대 역사상 최악의 날 '절망'해안가의 K9 자주포 적 향해 공격
韓 게임체인저 신형 포탄 개발 완료
출처 : 잡식왕 2025. 04. 12.
https://www.youtube.com/watch?v=MYND04IBkkQ
올스톱된 일대일로 부실공사 현장에 韓 기술자 투입! 중국 건설사들 경악
/ 아프리카 국가들 中일대일로 손절선언 한국에 전부맡긴다 수조원 대박제안!
출처 : 잡식왕 2025. 04. 12.
https://www.youtube.com/watch?v=z94OT_r_iGY
외국에서 절대 수입 안하는 죽음의 독초, 한국인들 술안주로 먹는 상황
출처 : 디씨멘터리 2025. 04. 12.
https://www.youtube.com/watch?v=WI5ZFt9ReD8
레이더로 한국 훔쳐보던 중국 부산에서 갑자기 전투기 수십대 분열하자
당장 가서 사진 찍어오라고 난리난 상황 "허름한 공장밖에 없는데??"
출처 : why?와이튜브 2025. 04. 12.
https://www.youtube.com/watch?v=SLkSU8wb_RA
“한국인들 행동 자체가 현실 K-드라마” 폭싹 관식이 등장에 마비된 대만 현지
박보검 한국식 손짓에 ‘발칵’
출처 : why?와이튜브 2025. 04. 12.
https://www.youtube.com/watch?v=l_Np4KAiyb8
"이 날씨에는 저지도 못넘깁니다" 이정후 양키스전 홈런 난리난 이유
현지방송 200mm 폭우인데 정후리 컨택 미쳤다 저지와 스윙비교
출처 : 트래블튜브 2025. 04. 12.
https://www.youtube.com/watch?v=BgrbScbSULE
“미국도 버거운데 천무까지” 유럽 방위 플랫폼 ‘천무가 넘버원’
출처 : 꺼리튜브 2025. 04. 12.
https://www.youtube.com/watch?v=yXR-jvz4RWM
세계 4위라더니 뜨는 족족 추락에 차라리 중국제라도 사라며 난리 난 국가
출처 : 꺼리튜브 2025. 04. 12.
https://www.youtube.com/watch?v=mQjHjHo_zak
[Why Times 정세분석 3272] 美-中 사실상 ‘헤어질 결심’, 결국 디커플링으로 간다!
출처 : Why Times 2025. 04. 12.
https://www.youtube.com/watch?v=W1T3Z9gXdNk
심해를 뚫는 괴물. 한국이 만든 세계 최강 드릴쉽 '웨스트 카펠라호’
|시추선의 모든 것|다큐프라임|#골라듄다큐
출처 : EBSDocumentary (EBS 다큐) 2025. 04. 12.
https://www.youtube.com/watch?v=MINWaB3HNMY
폭주하는 트럼프! 한국, 이번엔 어떻게 맞설 것인가? / 한국 핵 무장 하려면
반드시 필요한 3가지 조건 ㅣ연세대 문정인 교수
출처 : 815머니톡 2025. 04. 12.
https://www.youtube.com/watch?v=7Zdf6qugCRk
키신저의 충격적인 예언 "한국도 핵무장 할 것" / 트럼프의 핵우산 약속,
믿을 수 있을까? 세계 질서가 급변하고 있다.ㅣ서울대 서균렬 명예교수
출처 : 815머니톡 2025. 04. 12.
https://www.youtube.com/watch?v=EGLw95c0c20
탈북민이 충격받은 한국인들의 이 표정 (박주희 기자 / 풀버전)
출처 : 신사임당 2025. 04. 12.
https://www.youtube.com/watch?v=N9hZaHlIhwY
중국이 대만을 침공해도 전쟁은 무조건 질 수밖에 없다 (안승범 대표 풀버전)
출처 : 김작가 TV 2025. 04. 12.
https://www.youtube.com/watch?v=8XNtoXNmPcQ
동남아 국가들이 미국 F-16 마다하고 한국 KF-21 눈독들이는 이유 ⎮안승범 대표 2부
출처 : 달란트투자 2025. 04. 12.
https://www.youtube.com/watch?v=xEfNak9xk6I
트럼프 한방에 초박살난 중국 경제, 앞으로 쫄쫄 굶게 생겼다|이철 박사 풀버전
출처 : 달란트투자 2025. 04. 12.
https://www.youtube.com/watch?v=aenIzeRci-I
“트럼프가 진짜 노린 건 따로 있었다” 4월 이후 세계는 전혀 다르게 움직인다
(박정호 교수 / 풀버전)
출처 : 웅달 책방 2025. 04. 12.
https://www.youtube.com/watch?v=cXnRwiNicSY
'미국 후티반군 무차별 폭격! 벙커버스터 B-2 전략폭격기, 항공모함 추가 출격!'
소름끼치는 미국의 속내 (박현도 교수 / 풀버전)
출처 : 웅달 책방 2025. 04. 12.
https://www.youtube.com/watch?v=vdwI9kL5gLc
"드디어 드러난 트럼프의 본심" 세계최고의 군사기지 될 한국,
중국에 끔찍한 위기가 온다 (조의준 대표 / 2부)
출처 : 웅달 책방 2025. 04. 12.
https://www.youtube.com/watch?v=go5a0WNHz3w
"KF-21 제발 빨리 수출 해 주세요?" 해외에서 싹 달라진 시선...
수출 가능성 제대로 터진 이유(김민석 특파원 / 풀버전)
출처 : 웅달 책방 2025. 04. 12.
https://www.youtube.com/watch?v=WRx50P4xUNk
[여의도튜브] "파병北軍에 충격적 질병" 100년전 '러 참사' 되풀이
출처 : MTN 머니투데이방송 2025. 04. 11.
https://www.youtube.com/watch?v=fIOwiptKGuI
[W디펜스] '용의 이빨' VS 우크라 전차 '대충돌'
출처 : MTN 머니투데이방송 2025. 04. 11.
https://www.youtube.com/watch?v=XDQ57kLa1mA
중국반응│19세 여성에게 남성 60명이 당했다│중국 전역은 충격에 빠뜨린 사건과
그녀의 이야기│대학가에서 늦은 밤 혼자 걷는 남성들만 노린 중국의 19살 순결폭격기
출처 : 중국어로 [路] 2025. 04. 11.
https://www.youtube.com/watch?v=XyBcSJHHQcU
"정후야 네 얼굴 눈빛 보면 형은 다 알아"지쳐 쓰러질 것 같을 때 두리형이 말해줬어요
이정후를 지금 MLB 괴물 타자로 만들어준 차두리
출처 : why?와이튜브 2025. 04. 11.
https://www.youtube.com/watch?v=uUH_lm0dU-g
“보면 죽을 것 같은데 안봐도 죽을 것 같아요” 공개 하루만에 ‘폭싹’ 제치고
7개국 1위 실 눈뜨고 본다는 미친 K-드라마
출처 : why?와이튜브 2025. 04. 11.
https://www.youtube.com/watch?v=eleG6k_Vb-0
동남아에서만 자라는 줄 알았더니 지금 한국 점령해가는 과일
출처 : 디씨멘터리 2025. 04. 11.
https://www.youtube.com/watch?v=bhFdVLp7uL0
“중국 전기차 샀더니 1년만에 75% 가격하락” BYD 한국 첫출고 일주일전 큰일났다..전세계
중국차 불매운동인데 한국차만 보면 해외에서 환호하는 이유 “한국인들 기가막힌 전략”
출처 : 쓸모왕 2025. 04. 11.
https://www.youtube.com/watch?v=B6PNVqAtaEk
“잠깐 저 한국배우가 진짜 그사람이라고??”폭싹 제치고 해외 1위 찍고있는 미친 K-
드라마..전세계 시청자들이 갑자기 환호한 이유 “한국인들은 진짜 드라마 천재들입니다”
출처 : 쓸모왕 2025. 04. 11.
https://www.youtube.com/watch?v=HSa7xcqDd9g
미국 월가 최고의 부자들이 식사 후 절대 디저트를 먹지 않는 이유
l 2000년 넘게 전해져 온 고대 로마인들의 인생 비결 l 다이어트 때문이 아님
출처 : Peachy 피치 2025. 04. 11.
https://www.youtube.com/watch?v=nURjCFwtLrs
韓 전투기 유출 중국인 '긴급체포' 집안 출신 확인해보니.. 모두가 경악
/ 이건 빙산의일각, 중국의 은밀한 계획
출처 : 잡식왕 2025. 04. 11.
https://www.youtube.com/watch?v=Y3p3DqGAj6w
전 세계 군함 '총집결' 넘버 원 한국 | 극비 기술 개발에 미국마저 호들갑
출처 : 꺼리튜브 2025. 04. 11.
https://www.youtube.com/watch?v=AH6DcWbzI7k
[Why Times 정세분석 3270] 中서 퍼지는 '6개월내 대만 침공론',
시진핑은 과연 어리석은 선택할까?
출처 : Why Times 2025. 04. 11.
https://www.youtube.com/watch?v=jsnfZtlM6gM
[Why Times 정세분석 3271] 미중 관세전쟁으로 갈 곳 잃은 中상품들,
내수시장까지 파괴하고 있다!
출처 : Why Times 2025. 04. 11.
https://www.youtube.com/watch?v=OLDK6lx78gg
말도 안돼 세계가... 미국도 못한 일 한국이 해냈다 중동이 KF-21에 목매는 이유
(김대영 군사평론가 / 2부)
출처 : 신사임당 2025. 04. 11.
https://www.youtube.com/watch?v=2h_TrU8daAw
미국이 숨긴 러우전쟁의 충격적인 진실. 전쟁 판도 180도 뒤집힌다|진재일 교수 1부
출처 : 달란트투자 2025. 04. 11.
https://www.youtube.com/watch?v=x4PxY9_Rkhk
"평택 아닙니다” 미국이 숨겨둔 동북아 최강 기지. 주한미군의 존재 이유 완전히 바뀐다
⎹ 안승범 대표 1부
출처 : 달란트투자 2025. 04. 11.
https://www.youtube.com/watch?v=Ghjyq5NrZ7o
"트럼프한테 까불다 제대로 박살난 중국" 곧 대륙이 발칵 뒤집어진다 (조의준 대표 / 1부)
출처 : 웅달 책방 2025. 04. 11.
https://www.youtube.com/watch?v=f5Yq1nU287o
"미국채권 10년물 금리 폭등, 일본이 던지나?" 1929년 대공황과 똑같다.
곧 전세계가 아수라장 된다 (이현훈 교수 / 1부)
출처 : 웅달 책방 2025. 04. 11.
https://www.youtube.com/watch?v=8UosdY7F4QA
"중국 본토도 박살낸다는 보고서" '이것' 장착한 KF-21 보고 미국이 뒤집어진 이유
(김민석 특파원 / 풀버전)
출처 : 웅달 책방 2025. 04. 11.
https://www.youtube.com/watch?v=HRLgqkG_dBU
[K디펜스] "韓 주도 9국 참여 최대" 印-튀르키예는 왜 불참?
출처 : MTN 머니투데이방송 2025. 04. 10.
https://www.youtube.com/watch?v=YNzzuhfsFJI
[여의도튜브] 관세폭탄에 '탈중국' 환호성 올린 나라
출처 : MTN 머니투데이방송 2025. 04. 10.
https://www.youtube.com/watch?v=habVvDJH88g
현재 한국 문화가 전세계 청소년들에게 침투하자, "한국어가 그들의 암호가 되어
심각한 상황"이라는 놀라운 이유
출처 : 바이스톰 코리아 2025. 04. 10.
https://www.youtube.com/watch?v=fCgiYpoFCp4
중국, 전세계 힘합쳐 미국과 싸우자더니 연쇄 뒤통수 완전히 새된 상황 난리난이유
“하루만에 손절” 주요강대국 폭탄선언
출처 : 트래블튜브 2025. 04. 10.
https://www.youtube.com/watch?v=fEkeDX4FcV0
미쳐버린 이정후 또 또 또 멀티히트1,2,3루 무자비 방망이질 미친 역전승
멜빈 감독 4분간 계속된 이정후 찬양
출처 : why?와이튜브 2025. 04. 10.
https://www.youtube.com/watch?v=QdqNz05rHrY
종영 일주일 후 역주행 전세계 1위 한국 드라마 때문에 모인 수천 명 기립박수
생방송 중 오열하는 리포터에 방송사고
출처 : why?와이튜브 2025. 04. 10.
https://www.youtube.com/watch?v=jJlWYBLnay0
허수아비된 시진핑.. 결국 흔들렸다 대만 포위훈련 속 드러난 中내부균열
중국 권력 지형 대격변 신호탄인가?
출처 : 잡식왕 2025. 04. 10.
https://www.youtube.com/watch?v=fmK35-QoljY
“1루타, 2루타, 3루타 대역전승” 흥분..‘거인’ 이정후 미친 타격으로 대역적승
만들자 미 관중들이 보인 특이한 행동,환호성지른 해설진 “저 타격방법은 말도 안됩니다”
출처 : 쓸모왕 2025. 04. 10.
https://www.youtube.com/watch?v=hAeE1JPmzkg
[여의도튜브] "中 의약품 지배는 재앙" 美 '바이오 급성장' 태클
출처 : MTN 머니투데이방송 2025. 04. 10.
https://www.youtube.com/watch?v=QHrCZLigHvQ
“손흥민 더는 참지 않기로 했다” 감독 경질설에 직접 개입 정황
// 유로파 8강 앞두고 폭풍전야 토트넘
출처 : 풀앤푸시(Pull&Push) 2025. 04. 10.
https://www.youtube.com/watch?v=f6-HALg731E
"뭐? 관세 낼래? 100억 달러 낼래?" 트럼프 갑질 뒤집는 한국 파격 대응/ "주둔하려면
주둔비 200억 달러 내고 주둔하던지" 꼼수 들통에 트럼프 핵심지지층 붕괴 자충수
출처 : Sion TV 2025. 04. 10.
https://www.youtube.com/watch?v=OnEymIVSkUw
지금 자동차 업계 난리난 최근 람보르기니 CEO 충격 인터뷰 l 최근 출시된 람보르기니
전기차들 성능이 대박인 이유 l 현대차가 무서운 진짜 이유
출처 : Peachy 피치 2025. 04. 10.
https://www.youtube.com/watch?v=mzeL_zlndDU
한국, 공산권 국가 최초로 K-9 대박 수출 신화 | 공산국가들이
중-러 무기 손절하게 된 이유
출처 : 꺼리튜브 2025. 04. 10.
https://www.youtube.com/watch?v=AX_DVbDihmw
계약파기 주장까지 나온 F-16 “이제 겨우 한 대 도착했습니다”
출처 : 꺼리튜브 2025. 04. 10.
https://www.youtube.com/watch?v=OITOhkSxA_Q
[Why Times 정세분석 3269] 우크라 핫이슈2 ⓵쿠르스크 퇴각에 숨겨진 비밀
⓶러군 위해 싸우던 중국인 2명 생포
출처 : Why Times 2025. 04. 10.
https://www.youtube.com/watch?v=L2j_2d7jDSo
[Why Times 정세분석 3268] 트럼프 중국에 104% 관세,
“끝까지 싸운다”는 시진핑의 착각과 망상
출처 : Why Times 2025. 04. 10.
https://www.youtube.com/watch?v=RJS3kY5_Fc4
미티어 성공이 문제가 아니다 KF-21 이것에 NASA 난리났다 (김대영 군사평론가 / 1부)
출처 : 신사임당 2025. 04. 10.
https://www.youtube.com/watch?v=Fel1QwJzfFE
파병 후 술렁이는 북한 군부, 곧 평양이 발칵 뒤집힌다|조한범 박사 5부
출처 : 달란트투자 2025. 04. 10.
https://www.youtube.com/watch?v=M3HaY-OP0NY
부동산 위기보다 더 큰 거 온다. 미국 없이도 알아서 침몰 중인 중국 경제
⎸ 김정호 교수 2부
출처 : 달란트투자 2025. 04. 10.
https://www.youtube.com/watch?v=o-ld9t7r2bw
마침내 드러난 트럼프의 큰그림. 중국 경제 완전히 망했다|홍춘욱 박사 풀버전
출처 : 달란트투자 2025. 04. 10.
https://www.youtube.com/watch?v=VyH0r1CXO0Y
"지금부터 한국이 갑이다" 트럼프가 판 흔들 때 기회인 이유 (조한범 박사 1부)
출처 : 머니인사이드 2025. 04. 10.
https://www.youtube.com/watch?v=coLTdQsQJ8Y
"한국무기 과소평가한 트럼프의 실수" 큰소리치던 미국이 뒤늦게 한국에 굽신대기
시작한 이유 (김민석 특파원 / 풀버전)
출처 : 웅달 책방 2025. 04. 10.
https://www.youtube.com/watch?v=nv8oVv_EFzo
"오직 한국만 할 수 있다" 유독 이슬람 국가들이 한국을 진심으로 부러워하는 이유
(박현도 교수 / 풀버전)
출처 : 웅달 책방 2025. 04. 10.
https://www.youtube.com/watch?v=DZ_N95lFE3Q
"k-방산 냉정하게" KF-21 수출 가능성과 한계 딱 여기까지입니다
(안승범,김대영 / 통합본)
출처 : 웅달 책방 2025. 04. 10.
https://www.youtube.com/watch?v=mtRP3Opp9x0
"미국 국고가 텅 비어버렸다" 스스로 돈줄을 끊어버린 트럼프,
하지만 4월 이후 진짜 뒤집히는 건 따로 있다 (박정호 교수 / 풀버전 3부)
출처 : 웅달 책방 2025. 04. 10.
https://www.youtube.com/watch?v=sfQYUZtti_Q
'우리는 지금 > 정치·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체코 '한수원 원전 계약' 경쟁사 진정 최종 기각 (0) | 2025.04.28 |
---|---|
동남아·유럽 홀린 K고속도로… 올 해외수주 1兆 향해 '씽씽' (1) | 2025.04.24 |
‘AI특수’ K-전력인프라 수주잔고 30조 (0) | 2025.04.10 |
“세계 최초 HBM4” SK하닉, HBM ‘절대 지존’… (2) | 2025.04.07 |
중국이 ‘내수 진작’ 외치며 ‘소비 과시’는 때려잡는 이유 (4) | 2025.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