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안국 (定安國)
압록강 유역을 중심으로 세워진 발해 유민(遺民)의 국가이다.발해가 926년에 거란의 급습을 받고 멸망한 뒤 그 유민들은 거란군이 되돌아가자 곧 각 지에서 조직적인 항거를 시작했는데, 그중 가장 체계적으로 움직이며 구심점이 되었던 세력은 압록강 일대를 거점으로 한 대씨정권(大氏政權)이었다. 그들은 광복운동의 거점으로 압록강 중류에서 하류에 걸치는 압록부 일대를 선정했다. 압록부의 지세는 북쪽·동쪽·남쪽의 3방면이 험난한 산으로 둘러싸여 있어 외부 공격을 막는 데 유리할 뿐 아니라, 압록강을 따라 내려가면 바다를 건너 중국과 통해 물자의 공급이 원활하므로 광복운동을 하기에 적합한 지역이었다. 이 지역에 세워진 대씨정권을 원래의 발해와 구별하여 편의상 ' 후발해'라고 부르는데, 그 규모는 원래의 발해에 비할 수 없지만 대씨일족이 발해왕족이었다는 점에서 유민들을 결집하기가 쉬웠고, 좋은 지리조건으로 인하여 강력한 정치체제를 갖출 수 있었다.
특히 옛 발해의 토지와 인민을 통치하기 위해서 거란이 926년에 세웠던 동단국(東丹國)이 내부사정으로 928년 통치기구와 많은 발해유민을 데리고 랴오양[遼陽]으로 옮겨간 이후에는 후발해의 세력이 더욱 강성해져서 발해국의 이름으로 중국 5대조(五代朝)의 후당(後唐)과 통교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했다. 그런데 954년 7월 발해국의 추호(酋豪) 최오사(崔烏斯) 등 30여 명이 후주(後周)에 귀화했다는 기록 이후로는 후발해와 5대조와의 관계가 보이지 않는다. 그뒤 후발해에 대한 기록은 보이지 않고, 5대 이후 전중국을 통일한 송(宋)에 알려진 것은 열씨정권(烈氏政權)의 정안국이다. 즉 970년에 처음으로 국왕 열만화(烈萬華)의 이름으로 송에 사신을 보냈는데, 이때의 국명이 정안국이었다. 이로 보아 정안국은 954~970년에 열씨정권이 후발해를 이끌었던 대씨정권을 무너뜨리고 세운 국가임을 알 수 있다. 그런데 934년 7월 발해국의 세자라고 칭하는 대광현(大光顯)이 수만의 무리를 이끌고 고려에 투항한 데 이어, 같은 해 12월 발해 종실인 대진림(大陳林)이 후당(後唐)으로 투항했으며 938년 박승(朴昇)이 3,000여 호를 이끌고 투항했던 사실로 미루어보아 954년 이전에 후발해에서는 이미 내분이 일어나고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또한 이미 언급했던 최오사의 후주 귀화사건도 내분상태에 빠져 정권이 대씨에서 열씨로 넘어가는 사실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열씨정권인 정안국은 여진인을 통하여 국왕 열만화의 이름으로 송에 방물을 바치고 국교를 맺었으나, 두나라가 긴밀한 관계를 맺은 것은 이 거란의 요를 치는 데 정안국의 힘을 빌리고자 한 데서부터이다. 즉 태평흥국연간(太平興國年間 : 976~983)에 송의 태종이 거란을 협공하자고 제의한 데 대해 정안국이 찬성한 이후부터 긴밀해졌다. 이때 정안국 왕의 성은 열씨가 아닌 오현명(烏玄明)의 오씨로 바뀌어 있었다. 왕의 성이 열씨에서 오씨로 바뀐 것은 이에 앞서 정안국에서 다시 한번 정권다툼이 벌어졌음을 뜻한다. 그 시기는 분명하지 않으나, 발해인 수만 명이 고려에 투항했던 979년(경종 4)으로 보인다. 즉 약 40년간의 열씨정권이 무너지고 새로 오씨정권이 세워져 송과 국교를 맺었으며, 국서에 대흥(大興)이라는 연호를 사용해 독립국가로서의 모습을 갖추었다. 그러나 거란에 성종이 즉위하여 고려에 대한 견제의 일환으로 동북방면에 대해 적극적인 통치책을 쓰면서 정안국의 위기는 시작되었다. 983년(성종 2) 거란은 압록강 방면을 경략하여 하류지역을 제압하고 이듬해 압록강 방면에 있던 여진에 대한 경략을 시작했는데, 이 작전은 압록강 중류에서 하류에 걸친 지역에 자리잡고 동으로는 두만강 유역까지 그 종주권을 행사하며 해로(海路)로 송과 국교를 맺고 있던 정안국의 본거지를 공격하려는 작전이었음이 분명하다. 이때 거란은 원정군의 규모에 비해 큰 성과를 거두지는 못했던 것 같다. 그러나 985년 7월부터 압록강 방면을 다시 공격하여 작전개시로부터 반 년 후인 986년 정월에 정안국은 쓰러지고, 그곳에 거란의 4주(州)가 새로이 설치되어 행정력에 의한 통치가 강화되었다. 그러나 <송사 宋史> 정안국전에는 그뒤에도 동단국의 왕자가 989년 여진 사신편에 필마 등을 조공함에 이어 991년에는 다시 동단국의 왕자 태원(太元)의 이름으로 여진인을 보내어 표(表)를 올린 것으로 되어 있어 얼핏 정안국이 그대로 남아 있었던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정안국의 왕자로 되어 있는 태원이 〈문헌통고 文獻通考〉에는 대원(大元)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후발해국의 대씨 자손인 것으로 짐작된다. 즉 정안국의 오씨정권이 쓰러지자 거란군의 병화를 받지 않은 지역에 있던 대씨후손이 일시 정안국의 이름을 빌려쓴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정안국은 986년 오씨정권이 무너지면서 멸망하여 발해유민의 부흥운동은 거기서 끝난 것으로 여겨진다.
출처: 브리태니커백과사전 참고
'홍익인간·인류공영 > 1)貊族,고구리,발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해사 [2]: 문왕의 실리 외교 (0) | 2013.10.01 |
---|---|
발해사 [1]: 대조영의 출신 문제 (0) | 2013.10.01 |
“거대영토 통치 목적…”수도를 5곳에 설치한 발해의 五京제도 (0) | 2013.09.01 |
옥저·발해 온돌 발견…“우리 역사 확실하다” (0) | 2013.09.01 |
13. 보장왕 한성평양 시대ad650(개화)~ad668 (0) | 2013.08.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