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하문명(黃河文明) / 다원커우문화(大汶口文化)
다원커우문화(大汶口文化, dawenkou culture)는 중국 산동성 태산(泰山) 주변 황하하류지역에서 약 6,300~4,600여년 전에 존재했던 신석기문화이다. 1970년대 태산 남쪽 황하지류인 다원허(大汶河)에 위치한 다원커우(大汶口)지역에서 대규모 유적이 발굴되어 다원커우문화(大汶口文化)라 불린다.
다원커우문화 전기에는 붉은색 도기(紅陶)가 주로 만들어졌으며, 후기에는 흑도(黑陶)와 회도(灰陶)가 주로 만들어졌으며, 고령토를 사용한 백도(白陶)도 만들어 졌다. 다원커우문화 중기(5,500~ 4,800년 전)에는 물레를 사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토기들이 만들어지기 시작했으며 동물모양을 본뜬 토기들도 제작되었다.
후기(4,800~4,500년 전)에는 얇고 세련된 흑도와 회도를 남들었다. 초기에는 모계 씨족공동체였을 것으로 추측되면 후기에 들어서면서 부계사회가 확립된 것으로 보인다. 다원커우문화 유적지에서는 고대 중국문명을 대표하는 유물인 채도(彩陶)와 갑골문자 이전 한자가 새겨진 도기 등이 출토되어 산동지역이 중국에서도 가장 먼저 고대문명이 발생된 지역 중 하나였음을 보여주고 있다.
다원커우문화(大汶口文化, Dawenkou Culture)
다원커우문화는 1950년대 중국 산동성 타이안시(泰安市) 다원커우(大汶口)에서 발견된 신석기시대 유적지와 같은 시기의 산동지방 신석기문화를 말한다. 다원커우문화는 시기적으로 지금부터 6,300년~4,600년 전 (기원전 4,300년~2,600년)에 해당한다. 지역적으로는 황하하류지역보다는 태산(泰山) 남쪽 큰 강 주변과 해안에 유적지들이 분포하고 있다. 황화하류지역에서 번성했던 베이신문화(北辛文化)를 계승하고 있는 중국 동부지방의 대표적인 신석기문화이다. <출처:산동성박물관>
중국 신석기 시대 다원커우 문화 [大汶口文化 (대문구문화),]
중국의 산둥성[山東省]과 장쑤성[江蘇省] 일대에서 나타난 후기 신석기 문화로 기원전 4300년에서 기원전 2500년 무렵까지 존재하였다. 1959년 황허[黃河]의 지류(支流)인 원허[汶河] 유역의 닝양[寧陽]의 보두촌(堡頭村)에서 유적(遺蹟)이 발견되었으며, 타이안[泰安]의 다원커우[大汶口]에서도 대규모 유적이 발굴되었다. 그 뒤 산둥[山東]과 장쑤[江蘇] 지역에서 동일한 특징을 나타내는 100여 곳의 유적(遺蹟)이 발견되었고, 1964년 중국과학원(中國科学院) 고고연구소(考古研究所)가 대표 유적의 이름을 따서 다원커우[大汶口] 문화라 이름 붙였다.
다원커우[大汶口] 문화의 영향은 산둥성(山東省) 중부의 타이산[泰山] 일대를 중심으로 동서(東西)로는 루시베이[鲁西北] 평원(平原)의 동쪽에서 황해(黃海)까지, 남북(南北)으로는 장쑤[江蘇]의 화이허[淮河] 북부에서 보하이[渤海]의 남안(南岸)까지 폭넓게 분포하며, 안후이성[安徽省]과 허난성[河南省]에서도 비슷한 특징을 지닌 유물(遺物)이 발견되기도 한다. 다원커우[大汶口] 문화는 베이신[北辛] 문화의 특징을 잇고 있으며, 중국 동부(東部) 지역의 신석기 문화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다원커우[大汶口] 문화는 전기(前期)와 중기(中期), 후기(後期)로 구분되어 발전하였다. 전기(前期)에는 홍도(紅陶)가 주로 나타나지만, 후기(後期)에는 흑도(黑陶)와 회도(灰陶)가 대부분을 이루고 있으며, 고령토(高嶺土)를 사용한 백도(白陶)도 일부 발견된다. 기원전 4300년에서 기원전 3500년 무렵까지의 전기(前記)에서는 토기(土器)의 종류나 형태가 그다지 다양하지 않을 뿐 아니라, 소성온도(焼成温度)도 낮아 홍도(紅陶)가 주로 나타난다. 하지만 8각 별무늬를 새긴 두[豆, 굽이 높으며 뚜껑이 있는 제기(祭器)]가 발견되어 농경(農耕)이 발달하였음을 보여준다.
기원전 3500년에서 기원전 2800년 무렵의 중기(中期)부터 물레[轆轤]를 사용하여 좀더 다양한 형태의 토기들이 만들어졌다. 이 시기부터 회도(灰陶)나 흑도(黒陶)가 늘어나고, 동물 모양 등을 본뜬 복잡한 토기들도 제작되기 시작하였다.
기원전 2800년에서 기원전 2500년 무렵의 후기(後期)에 와서는 회도(灰陶)와 흑도(黒陶)가 대부분을 차지하게 되는데, 특히 이 시기의 흑도(黑陶)는 두께가 매우 얇으며 정교한 아름다움을 지니고 있어 토기 제작 기술의 뛰어난 수준을 보여준다. 이러한 흑도(黒陶)의 조형 기술은 룽산문화[龍山文化]로 계승되었다.
경제 생활에서는 수렵(狩獵)과 어로(漁撈)도 나타나지만 농업이 중심이 되었으며, 조[粟] 등의 작물을 재배하였다. 돼지와 개, 소와 양 등이 사육되었으며, 농업 생산력이 발달하여 후기(後期)에는 상당한 양의 잉여(剩餘) 양식(糧食)이 저장되기에 이르렀다. 정교하게 만들어진 간석기[磨製石器]를 도구로 사용하였는데, 돌도끼나 자귀날도끼, 끌 등이 많이 출토되었다.
당시의 무덤에서는 뒷머리뼈[後頭骨]를 인공적으로 변형시키거나 윗앞니를 뺀 유골(遺骨)들이 많이 나타나는데, 이는 독특한 풍속(風俗)의 영향으로 보인다. 대부분 널무덤[土壙墓]이지만 후기(後期)에는 덧널무덤[土壙木槨墓]도 발견된다. 고라니의 어금니를 죽은 사람의 손에 쥐어주는 풍습이 나타나며, 후기(後期)의 무덤들에서는 옥(玉)이나 상아(象牙) 등으로 만들어진 그릇이나 목걸이, 팔찌 등의 껴묻거리[副葬品]가 출토되기도 하였다.
돼지를 부유함의 상징으로 여겨 돼지의 머리뼈가 많게는 32개까지 함께 출토되기도 하였다. 이는 후기(後期)에 이르러 빈부(貧富)의 차이가 발생하고, 사유재산제도(私有財産制度)가 출현하기 시작했음을 알려준다. 그리고 부부(夫婦)를 합장(合葬)하거나, 부부와 아이를 합장한 무덤도 발견되는데, 이는 다원커우[大汶口] 문화의 후기(後期)에는 부계(父系) 씨족사회(氏族社會)로 전환되었음을 알려준다.
01.돌도끼(单孔石斧, Stone Axes with one hole, 타이안다원커우 출토, 다원커우문화), 02.돌삽(单孔石铲, Stone spade with one hole, 타이안다원커우 출토, 다원커우문화), 05.돌바퀴(石纺轮, Stone spindle whoris,타아안원커우 출토, 다원커우문화),
03.돌망치(石锤, Stone Axes), 04.돌끌(石凿 Stone chisel), 09.돌도끼(单孔石钺, Stone Axes with one hole),
07.돌창(石矛, Stone spearhead,타이안다원커우 출토, 다원커우문화), 08. 뼈낫(骨镰, bone sickle),
10. 뼈바늘(骨針, Bone needle), 11,12.뼈송곳(骨锥, Bone Drill), 13. 뼈바늘(骨針, Bone needle),
14. 붉은도기호(紅陶壶, Red Pottery Pot), 15.붉은도기단지(紅陶背壶, Red Pottery flat-backed Jar), 16. 회색도기호(灰陶壶, Greay Pottery Pot), ), 17.회색도기단지(灰陶背壶, Grey Pottery flat-backed Jar), 18.붉은도기호(紅陶壶, Red Potte
22.회색도기잔(灰陶觚形杯, Grey pottery Gu-beaker), 23.탑모양꼭지굽다리잔덮개(塔形钮陶高足杯盖, Pottery Stemmed-lid), 24.회색도기잔(灰陶觚形杯, Grey pottery Gu-beaker), 25.손잡이가 있는 접시(陶镶环高柄碟, Pottery Stemmed-Cup with a Ring),
26.붉은도기세발바리(紅陶三足钵, Red pottery bowl-tripod), 27.붉은도기그릇, 28.붉은도기발(紅陶钵, Red pottery Bowl), 29.붉은도기세발완(紅陶三足碗,Red pottery bowl-tripod), 31, 붉은도기덮개(紅陶器盖)
30.회색도기제기(镂刻灰陶豆, Grey Pottery Stemmed-cup)
31.다원커우 문화시기 사람들이 도기를 제작하는 모습.
32.동물모양홍도호(紅陶兽形壺, red pottery animal-shaped pot, 타이안다원커우출토, 다원커우문화)
33.팔각별무늬채도두(八角星紋彩陶豆, painted pottery dou-saucer, 다원커우출토, 다원커우문화)
34.회도누공그릇받침(灰陶镂空器坐, grey pottery perforated stand, 저우현(邹县) 출토, 다원커우문화)
'홍익인간·인류공영 > 한국(BC7197)'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미술의 기원, 드디어 풀리다! (0) | 2019.05.06 |
---|---|
장강 문명(長江文明) / 허무두 문화(河姆渡文化) (0) | 2018.07.04 |
황하문명(黃河文明) / 양사오문화(仰韶文化) (0) | 2018.07.03 |
염제(炎帝) 신농(神農) (0) | 2018.07.02 |
《역경(易經)》 / 《주역(周易)》 (0) | 2018.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