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바이오, 잇따른 조단위 빅딜… 배경엔 '혁신 기술'
에이비엘바이오·알테오젠, 빅파마와 계약
각각 BBB 극복 및 피하주사 관련 기술 확보
출처 : 머니S 2025. 04. 08. 김동욱 기자
국내 바이오 회사들이 글로벌 빅파마(대형 제약사)와 잇따라 대규모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 뛰어난 기술력을 바탕으로 미래 성장 분야에서 두각을 드러내고 있다는 분석이다.
8일 업계에 따르면 에이비엘바이오는 영국 GSK와 총 4조1000억원대 기술이전 계약을 맺었다고 전날 공시했다. 계약은 계약금 및 단기 마일스톤(단계적 기술료) 1481억원(7710만파운드), 임상·허가·상업화 등의 성공에 따라 단계적으로 수령하는 기타 마일스톤 3조9623억원(20억6300만파운드)으로 구성됐다. 에이비엘바이오는 이번 계약을 통해 순매출의 일정 부분을 받는 로열티에 대한 권리도 확보했다.
에이비엘바이오가 계약을 따낸 배경에는 유망한 기술력이 자리한다. GSK와 맺은 계약은 IGF1R(인슐린 유사 성장인자 1 수용체) 기반 뇌혈관장벽(BBB) 셔틀 플랫폼 '그랩바디-B'와 관련된 내용이다. GSK는 에이비엘바이오의 그랩바디-B를 적용한 신규 타깃 후보물질 개발·상업화 독점적 권리를 확보해 새로운 퇴행성뇌질환 치료제를 개발할 방침이다.
그랩바디-B는 퇴행성뇌질환 치료제 개발의 장애물로 평가받는 BBB를 극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BBB는 이물질이 뇌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기능을 한다. 그랩바디-B는 항체의 BBB 투과를 도와 약물 전달력을 높인 게 특징이다. GSK는 신경 분야로 적응증을 확장하기 위해 BBB 셔틀을 활용하고자 하는 것으로 증권가는 판단했다.
증권가 자료를 살펴보면 BBB 셔틀 기술을 가진 회사는 대부분 TfR(트랜스페린 수용체) 타깃을 기본으로 한다. 에이비엘바이오만 유일하게 IGF1 수용체 타깃 BBB 셔틀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IGF1R은 TfR보다 타 조직 대비 뇌 발현율이 5배 이상 높고 안전성 측면 혈액 독성 이슈에서도 자유로운 것으로 알려졌다. 그랩바디-B는 현재 외부 협업이 가능하고 임상 단계 검증을 받은 유일한 BBB 기술로 평가받는다.
정맥주사를 피하주사로… 빅파마 이목 끈 알테오젠
알테오젠도 기술력을 바탕으로 대규모 기술이전 계약을 따냈다. 지난달 아스트라제네카 자회사 메디뮨의 영국·미국 법인과 각각 '인간 히알루로니다아제 원천 기술'(ALT-B4) 계약을 체결한 것. 계약 규모는 총 2조원(13억5000만달러)으로 계약금 4500만달러(약 660억원), 마일스톤 13억500만달러(약 1조9200억원)로 구성됐다. ALT-B4 적용 제품이 상업화하면 매출의 일정 부분을 로열티로 받는 내용도 포함됐다.
알테오젠의 ALT-B4는 정맥주사를 피하주사 형태로 전환하는 플랫폼 기술이다. 투여 시간을 줄여 환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게 장점이다. 항암제의 경우 정맥주사 소요 시간은 4~5시간에 걸리는데 피하주사의 경우 5분 안팎이면 충분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반적으로 약물의 인체 흡수를 방해하는 히알루론산이 피하주사 걸림돌로 여겨지는데 알테오젠의 ALT-B4는 히알루론산을 분해하는 방식으로 약물 흡수력을 높인다.
빅파마 입장에서도 정맥주사를 고집하기보다는 피하주사로 전환하는 것이 사업에 도움이 된다는 게 업계 평가다. 제형 변경을 통한 특허 연장으로 수익성 확보 기간을 늘릴 수 있어서다. 경쟁 약물과 차별화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는 점도 장점으로 꼽힌다. 현재 알테오젠의 ALT-B4 기술을 확보한 빅파마는 아스트라제네카, 머크, 산도즈, 다이이찌산쿄 등이 있다.
업계 관계자는 "혁신 기술을 바탕으로 국내 바이오 회사들이 대규모 기술이전 계약을 따낸 건 흔치 않은 일"이라며 "좋은 선례를 남긴 만큼 앞으로도 다른 국내 회사들도 세계를 대상으로 성과를 꾸준히 냈으면 한다"고 말했다.
올해만 7조원… K제약바이오 기술 수출 잇따라 잭팟
에이비엘바이오 약물전달 플랫폼
GSK에 4조 규모 기술이전 계약
올릭스·알테오젠 이어 올 세번째
韓 바이오 기술 경쟁력 높아져
출처 : 파이낸셜뉴스 2025. 04. 07. 강중모 기자
글로벌 경기 침체와 미국발(發) '관세폭탄' 우려 속에서도 국내 바이오기업들이 성과를 내며 세계 시장에서 주목도를 높이고 있다. 특히 기술 경쟁력을 앞세워 글로벌 빅파마와 연달아 '기술이전(L/O)' 계약을 성공시키며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
7일 제약바이오 업계에 따르면 국내 바이오기업들은 올해 4월까지 벌써 3건의 대규모 기술이전 계약을 성사시켰다. 이들 기업들의 계약 규모를 단순하게 합산하면 7조원대에 이른다.
기술이전은 신약개발 물질과 연구개발 및 상업화 권리를 글로벌 제약사에 이전하는 방식이다. 공동개발과 함께 계약금 및 개발 단계별 마일스톤을 수취하는 형태로 이뤄진다.
계약 규모 자체가 실적으로 연결되는 것은 아니지만 최근 K바이오의 기술이전 흐름을 보면 다양한 모달리티를 활용한 기술 수출이 늘고 있고 계약 규모 역시 점차 커지는 모습이다.
이날 에이비엘바이오는 GSK와 뇌혈관장벽(BBB) 셔틀 플랫폼 '그랩바디-B(Grabody-B)'를 기반으로 한 퇴행성뇌질환 치료제 개발을 위한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은 약 4조원 규모다. 지난 2020년 알테오젠과 미국 MSD 간 4조7000억원대 계약에 이어 2번째로 큰 규모다.
계약에 따라 에이비엘바이오는 계약금 739억원(3850만파운드)을 포함해 최대 1480억원의 계약금 및 단기 마일스톤을 수령할 예정이다. 에이비엘바이오는 그랩바디-B 관련 기술 및 노하우를 제공하고, GSK는 전임상 및 임상 개발, 제조, 상업화를 담당할 계획이다.
BBB는 뇌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지만, 치료제 개발에 있어서는 중요한 장애물로 작용한다. 그랩바디-B는 IGF1R(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1 수용체)을 활용해 약물이 BBB를 효과적으로 통과하고 뇌에 전달될 수 있도록 개발된 플랫폼이다.
지난 2월 초, 올릭스는 미국 제약사 일라이 릴리와 약 1조원 규모의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하며 올해 K바이오의 기술수출 신호탄을 쏘아 올린 바 있다. 이번 계약을 통해 올릭스는 대사이상 지방간염(MASH)과 심혈관·대사 질환 치료제 후보물질을 릴리에 이전했다.
또 지난 3월에는 알테오젠이 글로벌 빅파마인 아스트라제네카(AZ)의 자회사 '메드이뮨'과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하며 2조원대의 성과를 기록했다.
하이브로자임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인간 히알루로니다제(ALT-B4)를 적용해 AZ의 항암 치료제를 피하주사(SC) 형태로 개발·상업화하는 계약이다. 이번 계약에는 계약금 4500만달러(약 650억원)를 포함해 개발·규제·판매 관련 마일스톤도 포함돼 있어, 향후 성과에 따른 추가 수익이 기대된다.
제약바이오 업계에서는 올해 초부터 K바이오가 연이어 대형 기술이전 계약을 성사시키는 것은 국내 바이오기업들의 기술적 경쟁력과 완결성이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기술에 대해 매우 까다로운 조건을 요구하는 글로벌 빅파마들이 한국 바이오기업들과 협력면을 확대하고 있는 최근 모습은 우리 기업들의 기술 수준이 국제적으로 인정받고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라고 평가했다.
분주해진 K바이오벤처…'세계 최초' 치료제 쏟아진다
세포·유전자 신약 연구 활성화
임상 허들 낮아져 절차 빨라질 듯
출처 : 한국일보 2025. 04. 11. 오현아 기자
‘완전 척추 손상 유전자치료제, 전립선·폐암 키메릭항원수용체(CAR)-T세포 치료제….’
올해 2월 개정 첨단재생의료·첨단바이오의약품 안전 및 지원에 관한 법률(첨생법) 시행으로 국내 바이오기업의 세포·유전자 치료제 개발이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스탠드업테라퓨티스는 세계 최초로 완전 척수 손상 환자용 유전자치료제 ‘STUP-001’에 대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임상 1/2a상 승인(IND)을 획득했다고 11일 밝혔다. 첨단재생의료 실시 기관인 연세세브란스병원에서 임상할 예정이다. 척수가 손상돼 척수조직 신경세포가 단절되면 이 부위에 ‘아교흉터’가 생긴다. 이는 신경 재생을 막아 신체 마비를 유발한다. STUP-001은 이런 불필요한 흉터를 신경세포로 변환해 뇌와 신경 연결을 회복시킨다. 그동안 치료가 불가능하다고 여겨지던 만성 척수 손상 질환의 치료 가능성을 연 것이다. 회사 관계자는 “늦어도 4분기 안에는 환자에게 약물 투여를 시작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개정 첨생법으로 임상 허들이 낮아져 더 빠르게 치료제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임상 단계에서 환자 투약이 진행되면 곧바로 매출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기업들의 연구가 탄력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큐로셀은 개정 첨생법으로 개발 중인 14개의 CAR-T 치료제 파이프라인에 대한 임상 진입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기대한다. 큐로셀이 보유한 후보물질에는 아직 개발에 성공한 기업이 없는 전립선암·폐암 CAR-T 치료제가 포함돼 있다. 큐로셀 관계자는 “아직 고형암 치료제는 전임상 단계지만, 개정 첨생법으로 향후 비용을 청구하며 임상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차바이오텍도 자가 유래 NK세포 치료제 파이프라인 ‘CHANK-101’의 간암 관련 치료 계획을 올해 8월 제출할 예정이다. 2세대 암 반응성 종양침윤림프구(TIL) 세포치료제인 ‘CHATIL-101’도 9월 임상 연구를 신청한다는 목표다.
유럽 바이오시밀러 허가 간소화···"K바이오 성장 기회"
■EMA, 내년부터 시행
대규모 3상 없이도 품목 허가
자금 부족한 중견업체에 수혜
출처 : 서울경제 2025. 04. 13. 박효정 기자
유럽의약품청(EMA)이 바이오시밀러 허가 과정을 간소화함에 따라 국내 바이오 업계도 수혜를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대규모 비교 임상 시험 과정을 생략해 비용과 기간을 절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자금 여력이 부족한 중견 바이오시밀러 개발 기업들이 빠르게 시장에 진입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13일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에 따르면 EMA는 최근 바이오시밀러 개발 간소화를 위한 가이드라인 초안을 공개했다. 핵심 사항은 바이오시밀러가 구조적·기능적으로 오리지널 의약품과 유사함을 입증하기만 하면 대규모 임상 3상 시험 없이도 품목허가를 내줄 수 있다는 점이다. EMA는 9월까지 의견을 접수받아 최종 가이드를 완성한 뒤 내년부터 시행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바이오시밀러 개발 기업들은 품목당 수백억 원에서 최대 2000억 원 이상의 비용 절감이 예상된다. 자금력이 부족한 기업들이 쉽게 바이오시밀러 시장에 진입할 길이 열린 셈이다. 특히 대규모 비교 임상을 위해 필요했던 고가의 오리지널 의약품 구매 비용을 절약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최소 2~4년 걸리는 임상기간도 단축할 수 있게 됐다.
시장에서는 중견 바이오시밀러 개발 기업들이 혜택을 입을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해 7월 블록버스터 유방암·위암 치료제인 ‘허셉틴’ 바이오시밀러로 처음 EMA 품목허가를 받은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950210)가 대표적이다. 이 회사는 EMA 가이드라인 초안 발표 이후 임상 1상을 진행 중인 ‘휴미라’ 바이오시밀러 ‘PBP1502’ 임상을 빠르게 완료할 계획을 세웠다. 전임상 단계인 ‘프롤리아’ 바이오시밀러 ‘PBP1601’과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PBP1602’ 등도 임상 1상 궤도에 올려 신속히 개발하기로 했다.
에이프로젠(007460)은 기존에 진행 중이던 허셉틴 바이오시밀러 임상 3상을 조기 종료하고 바로 EMA에 품목허가를 신청하는 것을 검토 중이다. 임상 1상과 3상 시료 생산을 마친 휴미라 바이오시밀러도 임상 1상만을 신속히 진행해 품목허가를 신청하기로 했다. 에이프로젠 관계자는 “그동안 휴미라 바이오시밀러를 경쟁사의 5분의 1 원가로, 허셉틴 바이오시밀러를 경쟁사의 4분의 1 원가로 제조할 수 있는 기술을 보유하고도 막대한 임상 3상 비용 탓에 상업화 속도를 내지 못했다”면서 “하지만 이번 정책 변경을 계기로 원가 경쟁력이 월등한 생산 기술을 확보해놓고도 비용 문제로 임상에 들어가지 못했던 ‘키트루다’ 임상 개발에 조기 착수할 것”이라고 말했다.
바이오경제연구센터는 “2030년까지 유럽에서 69개 의약품의 특허권 만료가 예고돼 있어 바이오시밀러 기업에 더 큰 기회가 주어질 수 있다”며 “국내 바이오 업계 전반이 성장할 계기가 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유럽, 바이오시밀러 친화 속도…K-제약바이오 공략 확대
임상 데이터 줄여 허가 절차 간소화…2026년 적용 전망
"2030년 69개 의약품 특허권 상실…큰 기회 있을 것"
출처 : 뉴스1 2025. 04. 08. 황진중 기자
(서울=뉴스1) 황진중 기자 = 유럽의약품청(EMA)이 바이오시밀러 개발 간소화를 위한 가이드라인 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다. 임상시험 관련 데이터 규모를 줄여 허가 절차를 간소화하는 정책이다. 가이드라인 제정 시 유럽 바이오의약품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삼성바이오에피스와 셀트리온(068270)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가이드라인 초안 마련…최종 완성 시 2026년 적용
8일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에 따르면 EMA는 바이오시밀러가 승인되기까지 개발과 규제 승인 등에 필요한 임상 데이터를 줄여 관련 절차를 간소화하는 가이드 초안을 마련했다.
그간 바이오시밀러 개발을 위해서는 7~10년의 기간이 필요하고, 비교 평가를 위한 오리지널 의약품 구매 비용, 환자 다수 모집 등이 요구됐다.
EMA는 바이오시밀러 개발 간소화 가이드라인을 통해 유럽연합(EU) 안전 기준을 유지하면서 약물 개발을 촉진할 계획이다.
이번 가이드라인은 EU 환자들의 바이오시밀러 접근성을 높이면서 유럽이 바이오시밀러 의약품 개발에 있어 최적화된 곳이라는 입지를 다지기 위해 만들어지고 있다.
가이드라인은 바이오시밀러의 구조적·기능적 비교 유효성과 약동학 등과 관련한 데이터가 오리지널 의약품과 유사성을 입증하는 데 충분하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EMA는 업계에서 가이드라인과 관련한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 최종 가이드가 마련되면 2026년부터 적용될 전망이다.
시장조사기관 리서치앤드마켓에 따르면 유럽 바이오시밀러 시장은 2022년 기준 103억 4000만 달러(약 15조 원)에서 2032년 532억 2000만 달러(약 75조 원) 규모로 커질 전망이다.
바이오경제연구센터 관계자는 "유럽은 2030년까지 69개 의약품 특허권 상실이 예고돼 있다"면서 "해당 가이드가 적용되면 바이오시밀러 기업에 더 큰 기회가 주어질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삼성바이오에피스·셀트리온, 유럽 바이오시밀러 공략 속도
국내 주요 바이오의약품 기업인 삼성바이오에피스와 셀트리온은 유럽 바이오시밀러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기존 차지하고 있는 시장 점유율을 굳건히 지키면서 신제품 성장을 도모할 전망이다.
주요 제품 '베네팔리'(성분명 에타너셉트)는 삼성바이오에피스가 유럽 시장에 가장 먼저 선보인 제품으로 해당 성분 바이오시밀러 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다. 다른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피즈치바'(성분명 우스테키누맙) 역시 오리지널 제품인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 시장에서 시장 점유율 43%를 나타내면서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셀트리온 주요 제품은 글로벌 시장에서 안정적으로 높은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다.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아이큐비아에 따르면 '램시마IV'(성분명 인플릭시맙·정맥주사제형)의 유럽 시장 점유율은 지난해 3분기 기준 62%에 이른다.
램시마SC(성분명 인플릭시맙·피하주사제형)까지 합산하면 유럽 주요 국가인 영국 89%, 프랑스 80%, 스페인 76%, 독일 74% 등 압도적 점유율을 나타내고 있다. 해당 국가에서 램시마SC만으로 점유율 25%를 기록 중이다.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유플라이마'(성분명 아달리무맙) 유럽 시장 점유율은 16%다. 이탈리아, 핀란드, 노르웨이에서 각각 점유율 43%, 35%, 35%를 기록하고 있다. 베그젤마는 원가 경쟁력 등에 기반해 빠르게 성장해 유럽에서 점유율 1위를 달성했다.
삼성바이오에피스와 셀트리온은 신제품 개발로 유럽에서 바이오시밀러 강자 입지를 굳힐 방침이다. 글로벌 매출 1위 의약품 '키트루다'(성분명 펨브롤리주맙) 바이오시밀러 허가를 위한 글로벌 임상시험 등을 진행하고 있다.
제약바이오 업계 관계자는 "유럽은 미국과 달리 대부분 입찰 방식으로 의약품을 구매한다"면서 "국산 바이오시밀러가 품질이 좋고, 가격 경쟁력이 있는 만큼 유럽에서 지속 선전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바이오 특허 심사' 빨라진다…"K바이오, 경쟁력 생길 것"
우선심사시 18.9개월→2개월로 단축 처리
글로벌 경쟁서 빠른 특허 권리 확보 중요
5년간 K바이오 특허 출원, 연평균 8.2% ↑
출처 : 뉴시스 2025. 03. 14. 송연주 기자
[서울=뉴시스]송연주 기자 = 정부가 특허심사 기간을 줄이는 제도를 마련해, 치열한 글로벌 신약 개발 경쟁 속에서 우리 기업이 빠른 특허권리 확보로 경쟁 우위를 점할지 주목된다.
14일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에 따르면 최근 특허청은 바이오분야 특허심사 전담조직을 출범하고, 바이오 특허심사 분야에 출원인이 2개월 이내 심사 결과를 받아볼 수 있는 패스트트랙을 가동하기로 했다.
18.9개월 소요되던 심사 처리 기간이 우선심사 적용을 통해 2개월 이내로 단축될 전망이다.
앞서 지난 10일 특허청은 바이오 분야에 대한 전문적인 심사가 가능하도록 4개과를 신설하고 1개과를 개편, 총 5개과 120명의 바이오 분야 전담 심사조직을 출범했다고 밝혔다.
바이오는 연구개발에 막대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한편, 소수의 우수한 특허로도 제품화·수익 창출 및 장기간의 시장 지배가 가능한 특징이 있다. 선제적·전략적 특허권 확보를 위한 기업의 신속한 심사 서비스 요구가 높은 분야다.
최근 5년간 국내 바이오(생명공학 및 헬스케어) 분야 특허 출원도 연평균 8.2%씩 급증했다. 전체 특허출원 증가율(2.3%)의 3.5배에 달한다.
바이오경제연구센터는 "글로벌 바이오산업의 경쟁 우위 확보를 위해서는 빠른 특허 권리 확보가 중요하다"며 "지난해 대내외 어려운 상황에서도 미국 FDA에서 허가된 50개 신약 중 국내 기업이 개발한 신약 2개가 포함됐다"고 말했다.
이어 "신약 개발은 10년 이상 장기간의 투자가 필요하지만 성공 확률이 낮다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바이오 기업은 특허 같은 지식재산으로 권리를 보호해 이익을 창출한다"며 "창출된 이익을 다시 새로운 신약 개발에 투자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중소 및 벤처기업은 기술 이전을 비즈니스 모델로 삼고 있다. 그 기업이 얼마나 강한 특허를 가지고 있는지는 기술 도입을 결정하는 기업 입장에선 중요한 판단 요소로 작용한다.
바이오경제연구센터는 "이번 특허청의 바이오 특허 전담조직 확대 출범으로 바이오기업 등 출원인들은 최대 2개월 내에 특허심사 결과를 받아볼 수 있게 돼 신속한 특허권 확보를 통해 경쟁력을 갖추는데 도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어 "선진국에 비해 늦은 우리 후발기업 입장에서는 특허침해분석(FTO)이나 특허회피전략에 대해서도 신경써야 한다"며 "우리가 바이오 강국이 되기 위해서는 신속한 특허 심사뿐 아니라 해외 기업의 정크 특허와의 분쟁 대응에 있어서도 업계 애로사항과 지원방안이 공유되고 논의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K바이오 뉴프런티어 (5)]
에비드넷 "병원마다 쌓인 의료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신약개발·의료 패러다임 바꾼다"
조인산 대표 인터뷰
국내 60여개 병원과 연계 / 병원 의료 데이터 분산망 구축
병원 연구자간 데이터 공유 / 제약사 등에는 분석 데이터 제공
맞춤형 진료, 신약 개발에 활용 / 미국 등에선 의료 분산데이터 플랫폼 성업중
에비드넷, 내년 매출 50억원 목표 / 질병 예측 등으로 서비스 확장 중
출처 : 한국경제 2025. 03. 31. 박영태 바이오 전문기자
"환자의 유전체 정보, 의료 빅데이터를 의료기관과 제약사 등에 제공해 개인 맞춤형 환자 치료가 이뤄지는 정밀의료 시대를 열어가겠습니다."
조인산 에비드넷 대표는 최근 서울 양재동 본사에서 인터뷰를 갖고 이같이 말했다. 올해로 설립 8년차인 에비드넷의 비전은 '데이터로 세상을 건강하게'다. 의료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 기술을 기반으로 의료 비효율을 없애고, 인류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헬스케어 기업이 되겠다는 취지다.
에비드넷은 의료 분산데이터 플랫폼의 국내 선두 주자다. 여러 의료기관에 산재해 있는 환자 의료 데이터를 외부 반출 없이 분석한 뒤 환자 진료는 물론 신약 개발에 유용한 정보를 추출해준다. 정밀의료 인프라 같은 역할을 하고 있는 셈이다. 에비드넷은 글로벌 의료 빅데이터 플랫폼으로 도약한다는 비전도 갖고 있다. 일본 대만 등 아시아권을 1차 공략 시장으로 잡고 있다.
'규제 텃밭' 의료 데이터에서 길을 찾다
조 대표는 의과학자다. 서울대 기계항공학부와 중앙대 의대를 나왔다. 성균관대 삼성융합의과학원에서는 임상 데이터 연구를 하며 석박사 과정을 밟았다. 보톡스, 필러가 아직 대중화되지 않았던 2011년 미국 보툴리눔 톡신 업체 앨러간에서 학술부장을 맡아 바이오 업계와 인연을 맺었다. 그러다 2014년 1월 한미약품 투자담당 임원으로 자리를 옮기면서 정밀의료에 눈을 떴다.
조 대표는 "바이오 혁신기술을 발굴하고 투자하는 업무 외에도 작고한 임성기 한미약품 회장이 꿈꾸던 그룹 미래 사업의 밑그림을 그리는 일도 했다"며 "그때 찾은 사업 아이템이 정밀의료였다"고 했다.
정밀의료는 환자의 유전 정보, 환경, 생활습관 등을 고려한 맞춤형 치료다. 모든 환자에게 똑같이 적용했던 기존의 치료 방식이 개인별 최적의 치료로 바뀐다는 걸 의미한다. 유전체 분석, 빅데이터, AI가 바꾸고 있는 의료 패러다임 시프트다. 이를 가능하게 하는 원천이 바로 데이터다.
2017년 11월 에비드넷을 설립한 조 대표는 병원에 산재해있는 의료 데이터를 모아서 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 구축에 뛰어들었다. 하지만 출발부터 가시밭길이었다. 규제와 편견 때문이었다.
병원에 쌓인 전자의무기록(EMR)을 활용하는 것부터가 난관이었다. 용어 표준화가 되어 있지 않은데다 병원간 교류가 사실상 단절돼 있어서다. 국내 병원의 EMR 구축율은 92%로 높지만 연구 등의 목적 보다는 건강보험 청구용으로 쓰였다. 의료 정보 교류에 대한 인식이 낮기도 했다.
개인정보보호법, 정보통신망법, 신용정보법 등 데이터 3법은 의료 정보 활용을 막는 '대못 규제'였다. 다행히 2020년 1월 환자 동의 없이 연구개발(R&D), 시장분석 등에 제한적으로 가명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하지만 여전히 가명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하려면 병원마다 데이터심의위원회와 기관생명윤리위원회 심의를 별도로 받아야 했다. 2021년 규제샌드박스 심의위원회가 분산데이터망을 통해 얻은 통계치는 예외 대상이라고 결론내고 나서야 에비드넷은 숨통을 트게 됐다.
조 대표는 "AI를 통해 표준화되지 않은 의료 용어를 재정리하고, 분석에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도록 플랫폼을 개발했다"며 "그동안 버려져왔던 병원 의료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정밀의료가 국내서도 이뤄질 수 있는 출발점이 됐다"고 했다.
'국내 선두' 의료 분산데이터 플랫폼
에비드넷은 '피더넷'이라는 독자적인 의료 분산데이터 플랫폼을 가동 중이다. 국내 60여개 병원이 연결된 국내 최대 규모 민간 플랫폼이다.
국내 '빅 5' 병원들이 대형 정보기술(IT)업체들과 손잡고 의료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했지만 내부용에 그쳐 확장성을 갖지 못한 것과는 대조적이다. 정부 국책과제로 추진됐던 프로젝트들도 대부분 사업화 등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국내 현실에 맞는 의료 데이터 분산망 구축이 수월치 않다는 방증이기도 하다.
조 대표는 "국내서 의료 데이터 분산망을 구축한 곳이 에비드넷과 카카오헬스케어에 불과하다"며 "의료 서비스의 대부분을 민간에서 제공하는 시스템과 각종 규제 등이 발목을 잡고 있다"고 했다.
에비드넷이 다루는 핵심 데이터는 RWD(Real World Data, 실제 임상 데이터)다. 개별 병원에 쌓인 전자의무기록(EMR), 건강보험 청구 데이터 같은 원본 데이터다. 익명 처리된 RWD를 취합한 뒤 연구분석에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하고 표준화 작업을 거쳐서 얻는 게 CDM(Common Data Model, 공통데이터모델)이다. CDM은 제약사 보험사 등의 비즈니스 의사결정, 다기관 연구를 위한 임상, 여러 종류의 질환 환자 탐색 등에 활용된다.
조 대표는 "지금까지 병원 연구자들은 자신이 소속된 병원 데이터만 주로 썼지만 피더넷에 참여하는 60여개 병원 연구자들은 참여 병원의 데이터를 모두 손쉽게 활용할 수 있다"며 "최근들어 관련 연구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는 추세"라고 했다.
임상시험·의료연구 '룰'을 바꾸다
에비드넷의 또다른 주요 사업은 RWE(Real World Evidence, 실제 임상 근거) 서비스다. RWD를 분석해 도출한 임상적·과학적 근거가 되는 데이터다. 국내 제약사는 물론 글로벌 빅파마들도 에비드넷의 고객사다.
조 대표는 "제약·바이오기업들이 신약 승인이나 약물재평가, 치료효과 검증 등에 RWE를 활용할 수 있다"며 "화이자 등 글로벌 빅파마에는 관련 직원만 수백명에 이를 정도로 중요한 업무로 취급받고 있다"고 했다.
에비드넷은 시장현황 분석은 물론 연구를 위한 프로토콜 개발, 데이터 분석, 논문작성 지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요로상피암 환자에서 신보조항암요법과 보조항암요법의 생존율 비교 연구 △고지혈증 치료제의 당뇨병 발생 위험률 연구 △암환자 치료 기간별 항암치료 패턴 및 비용 분석 연구 등이 제약사들이 요청하는 항목들이다.
제약사들이 RWE에 주목하는 이유는 연구개발 시간과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어서다. 제약사가 병원에 흩어진 의료 데이터를 활용하려면 제약사마다 개별 병원에 기관생명윤리위원회 등의 심의를 일일이 거쳐야 했다. 시간과 노력이 적잖이 소요되는 일이다. 조 대표는 "제약사 등이 필요로 하는 데이터 분석을 자동화하고 플랫폼화한 덕분에 수요가 갈수록 늘고 있다"고 했다.
RWE 활용은 글로벌 추세이기도 하다. 기존 데이터를 잘 활용하면 불필요하게 임상시험에 참여하는 환자를 줄일 수 있고, 임상시험 기간도 단축할 수 있어서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2018년부터 매년 RWE 가이드라인을 내놓으며 제약사들의 활용을 권장하고 있다. 암젠의 이중항체 면역항암제인 블린사이토 임상 때 환자모집이 어려운 현실을 감안해 대조군을 면제해주기도 했다. 대조군 의약품은 이미 환자 치료에 쓰이고 있어 임상 데이터가 나와 있기 때문이다.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도 2018년 RWE 사례집을 공개하고 임상시험에 기존 데이터 활용을 촉진하는 쪽으로 정책을 펴고 있다.
해외선 신약 개발 필수 아이템…몸값 높아지는 의료 빅데이터
의료 빅데이터는 신약 개발에 필수적인 도구다. 국내에서는 아직 걸음마 단계지만 미국 유럽 등에선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글로벌 빅파마인 스위스 로슈가 대표적인 사례다.
로슈는 2011년부터 항암제 개발 방식을 바꿨다. 유전체 데이터, 환자 진료 데이터 등을 토대로 전략을 짠다. 어떤 암환자에게, 어떤 약을 만들어서, 어떤 컨디션으로 질환을 해결해줄지를 결정한 뒤 개발에 들어간다. 대상 환자를 정밀하게 타깃한 뒤에 신약 개발 프로젝트를 가동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환자의 세부적인 유전체 데이터는 물론 질병력, 투약 기록 같은 환자 진료 데이터 등이 필수적이다.
로슈는 2018년 플랫아이언헬스라는 스타트업을 19억달러(약 2조원)에 인수했다. 플랫아이언헬스가 보유한 미국 암클리닉 100여곳의 암환자 진료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해서였다. 로슈는 이 데이터를 임상시험 환자군을 찾고 분석하는 등의 용도로 활용하고 있다. '당뇨, 고혈압 없는 췌장암 3기' 같은 조건의 환자군을 실시간으로 찾고 분석할 수 있어서다.
로슈 뿐만이 아니다. 화이자 등 빅파마들은 의료 데이터 확보를 위해 수백명의 전담팀을 가동하고 있다. 의료 데이터를 타깃 신약 물질 발굴은 물론 임상시험 환자 모집, 판매 중인 의약품의 부작용 모니터링 등에 활용하기 위해서다. 조 대표는 "시장 분석, 타깃 설계, 환자 모집 등 신약 개발 전 과정에 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하는 게 보편화되고 있다"며 "신약 실패 확률을 줄이는 것은 물론 개발 시간이나 비용도 크게 낮출 수 있다"고 했다.
의료 분산데이터 플랫폼 기업들도 성업 중이다. 2015년 설립된 탬퍼스AI는 노바티스 GSK 등에 AI 기반 유전체 분석과 의료 빅데이터를 제공하며 급성장하고 있다. 2020년 1억8800만달러였던 매출은 지난해 6억9340만달러로 3배 넘게 늘었다. 칼라일그룹이 대주주인 미국 트라이넷엑스도 100여개 병원을 연계하는 분산 데이터망을 운영하며 성장세를 타고 있다.
의료 빅데이터는 보험 산업에도 접목되고 있다. 미국에서는 보험 상품을 설계하거나 보험 가입자를 모집할 때 의료 빅데이터가 필수적이다. 미국 최대 건강보험사인 유나이티드헬스케어가 옵튬이라는 의료 데이터 분석회사를 직접 세웠을 정도다.
"질병 예측으로 서비스 진화…해외 진출도 본격화"
에비드넷은 정밀의료를 넘어 예측의료 서비스도 준비 중이다. 유전체 데이터와 병원 의료 데이터를 토대로 환자의 질환을 조기진단하고 발병 시점까지 예측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에비드넷은 국립암센터가 주도한 암 예후예측 지원 시스템 구축 사업,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의 고형암 및 알츠하이머 조기진단과 예측 소프트웨어 개발 사업 등에 참여했다. 의료 분산데이터망을 활용해 대규모 감염병 유행을 감시하는 사업도 지원했다.
에비드넷은 의료 분산데이터 플랫폼이 확장될수록 사업 기회는 더욱 커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조 대표는 "플랫폼 기업과 병원 간 데이터 고속도로가 만들어지면 수백만명, 수천만명의 환자 데이터를 한번에 분석할 수 있다"며 "그 결과를 토대로 맞춤형 의료, 신약개발, 보험상품 개발 등 인류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고 했다.
글로벌 헬스케어 데이터 시장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마켓앤드마켓에 따르면 2022년 274억달러였던 글로벌 헬스케어 데이터 산업 규모는 2027년 859억달러로 성장할 전망이다.
에비드넷은 해외 진출도 추진 중이다. 일본, 대만 등 아시아 시장이 타깃이다. 의료 데이터 플랫폼 시장이 아직 활성화되어 있지 않아 시장 선점이 가능하다는 판단에서다. 대신 미국 시장은 RWE 서비스로 진출을 노리고 있다. 글로벌 제약사들의 RWE 수요가 많기 때문이다. 조 대표는 "아시아는 의료시스템이 우리나라와 유사한 만큼 탬퍼스AI 등 미국 분산데이터 플랫폼 업체들이 진출하더라도 승산이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여의도튜브] 글로벌 톱10 '일대 난리' "韓 '없어서' 너무 좋아요"
출처 : MTN 머니투데이방송 2025. 04. 20.
https://www.youtube.com/watch?v=8shHNr6Y20o
[W디펜스] 폴란드 군인들 써보곤 '천무 입소문' 나자 결국..
출처 : MTN 머니투데이방송 2025. 04. 20.
https://www.youtube.com/watch?v=EhBCfzSoVd8
"이정후가 또 무슨 짓 할지 예측이 안된다" 이정후가 메이저리그 야구의
기본 공식마저 뒤흔들고 있단 놀라운 이유
출처 : 바이스톰 코리아 2025. 04. 20.
https://www.youtube.com/watch?v=RwEWXgZ3Sbo
“이딴 게 중국식인가요?” 13억이 시청한 한류 ‘흉내’ 영상
중국서 현타 와 한국 오는 이유 “이럴 줄 알았으면 첨부터 한국에 갔지”
출처 : why?와이튜브 2025. 04. 20.
https://www.youtube.com/watch?v=MwzV9a1tBAk
미국 3억이 시청한 중국 시골 영상 한국은 가만히 있는데 난리난 전세계 반응
“XX, 저게 한국식이라고?”
출처 : why?와이튜브 2025. 04. 20.
https://www.youtube.com/watch?v=giGJex2HRFc
(속보) 인도 삼성 노동자들 파업 지켜보던 미국 대기업들 결단 내리자
인도 총리 난리난 상황
출처 : 진포터 2025. 04. 20.
https://www.youtube.com/watch?v=yKg5Wwh71-I
(속보) 쎈척하며 삼성 협박하던 인도 노동자들 현재 X된상황
출처 : 진포터 2025. 04. 20.
https://www.youtube.com/watch?v=m7VdZHtpTfg
깡패축구 일본에 제대로 참교육! 금메달 노린다며 페어플레이하던 일본 1군
골 먹으니 돌변! 일본대 우즈벡
출처 : Sion TV 2025. 04. 20.
https://www.youtube.com/watch?v=VO9yExKTBrk
한국계가 MLB 점령하고 있다, 타격왕, 홈런왕까지 모두 나오자 발칵
/ MLB "이들은 다른 수준이 야구를 하고 있어" 감탄 분석
출처 : Sion TV 2025. 04. 20.
https://www.youtube.com/watch?v=v-jrUTYPRPA
세계가 놀란 韓 전투기 반전 실력 / 믿었던 F-35 배신,
프 전투기 폭발 미국 특집 방송한 KF-21 현상황
출처 : 잡식왕 2025. 04. 20.
https://www.youtube.com/watch?v=uIPu4s3ALm4
트럼프 관세 폭탄? 한국만 대박났다! 미국 마트에서 한국물건 사재기 열풍
/ 대반전 결과에 당황한 트럼프, 삼성전자 관세예외 특별조치 결정
출처 : 잡식왕 2025. 04. 20.
https://www.youtube.com/watch?v=wViMW4dcRdY
“이정후 오늘은 절대 안타못쳐” 완벽 좌투수 고집하다 맞은 최후
확률상 98% 아웃 설마했는데
출처 : 트래블튜브 2025. 04. 20.
https://www.youtube.com/watch?v=x8jGXoTdcL8
한국, 이제 F-35A 전투기 무한대로 찍어 낸다 ㅣ전투기를 어떻게 건물 사이에 착륙
시키거야? 전세계 언론 한국 기술력 극찬ㅣ 한국 기술로 F-35A 전투기와 똑같은 기술 구현
출처 : 꺼리튜브 2025. 04. 20.
https://www.youtube.com/watch?v=61VSuAbXA_4
[Why Times 정세분석 3285] 일본에 전례 없는 폭격기 태스크포스 배치,
“B-1B, 베트남전 이후 처음으로 장기주둔”
출처 : Why Times 2025. 04. 20.
https://www.youtube.com/watch?v=AYoW9RFvIFc
우크라이나, 독일처럼 나눠진다? 켈로그 특사의 충격 시나리오!
/ 러우전쟁의 원인은 네오나치? 젤렌스키는 하수인?!ㅣ류한수 교수 (풀버전)
출처 : 815머니톡 2025. 04. 20.
https://www.youtube.com/watch?v=2LnR6j3P64E
젤렌스키 대반격 시작했다. 상황 완전히 달라진 러우전쟁|김정호 교수 풀버전2
출처 : 달란트투자 2025. 04. 20.
https://www.youtube.com/watch?v=FdmEfoOFxIk
“강한 척하다 그대로 박살났다” 미국의 자존심, 우크라 진흙에서 그대로 멈췄다
(진재일 교수 / 풀버전)
출처 : 웅달 책방 2025. 04. 20.
https://www.youtube.com/watch?v=9UGbdQQi6qQ
“5분이면 베이징이 끝난다” 중국은 이걸 진짜 두려워한다.
주한미군은 이미 실전 투입을 마쳤다 (김민석 특파원 / 풀버전 1부)
출처 : 웅달 책방 2025. 04. 20.
https://www.youtube.com/watch?v=6OmotZXrxPA
"푸틴이 이긴 순간, 러시아는 끝났다" 지금 벌어지고 있는 일은 소련 때와 똑같다
(류한수 교수 / 풀버전)
출처 : 웅달 책방 2025. 04. 20.
https://www.youtube.com/watch?v=bV0SpRc6EBU
[W디펜스] 유럽은 온통 '자주국방' "그리스가 겁낸 적국은?"
출처 : MTN 머니투데이방송 2025. 04. 19.
https://www.youtube.com/watch?v=FcS6yICNAms
중국 러시아도 얼떨결에 찬성, 유네스코 만장일치 한국 초희귀지형
출처 : 디씨멘터리 2025. 04. 19.
https://www.youtube.com/watch?v=1BRidzXZT04
"오타니와 같이 뛰는걸 보고싶었는데"MLB 공식 이정후 특집 영상까지 나왔다
美 반응 폭발시킨 상황에 일본감독 충격 발언
출처 : why?와이튜브 2025. 04. 19.
https://www.youtube.com/watch?v=j92tVqaT5hQ
한국 X먹어보라고 계약 엎은 인니KF-21 조종석에서 나온 뜻밖의 얼굴에 '사색’
"정신차려 너네가 버려진거야ㅋㅋ“
출처 : why?와이튜브 2025. 04. 19.
https://www.youtube.com/watch?v=Flp9eHHLv8k
"이정후.. 이제 진짜 무서울지경" MLB도 놀란 괴물등장 팬들 열광!
해설자들 소리 지르고, 경악한 장면
출처 : 잡식왕 2025. 04. 19.
https://www.youtube.com/watch?v=GyJJAV5oQaI
美이지스함 한국이 만든다 '충격' 관세로 전세계 큰소리치던 트럼프
갑자기 韓 군함보더니 흠칫 놀랐다
출처 : 잡식왕 2025. 04. 19.
https://www.youtube.com/watch?v=eIIno83PtnI
"수익률 4,000%의 전설".. 무일푼 청년이 대한민국 재계 20위가 되기까지
(feat. 박현주 회장)
출처 : 지식세포 2025. 04. 19.
https://www.youtube.com/watch?v=5qATJ4gtUjQ
트럼프도 놀란 한국 관세 TF대표 한국 저승사자 뜨자 미국도 다 내줄 판
/ 일본과 달리 한국에 다른 대우 나오는 이유
출처 : Sion TV 2025. 04. 19.
https://www.youtube.com/watch?v=57Cov4hgvdA
지금 관세 때문에 오히려 떡상 중인 한국 제품들 상황 l 가격 오르기 전에
사재기 시작되어 아마존 싹쓸이 중인 한국 제품들
출처 : Peachy 피치 2025. 04. 19.
https://www.youtube.com/watch?v=h2JjWX-r7V8
긴급 개조 후 서해안 몰빵 | 군함 때려잡는 450km 미사일 장착한 신형 천무,
중국 해군 난리 난 상황
출처 : 꺼리디펜스 2025. 04. 19.
https://www.youtube.com/watch?v=2nboDEjGI8g
“중국 핵무장시 한국 다 망한다” 중국의 숨겨진 핵 미사일기지 공개되자 일본이 초긴장
하는 이유, “역사상 가장 위험한 국가가 핵을 가졌다” 일본까지 술렁, 시로시마 악몽?
출처 : 꺼리튜브 2025. 04. 19.
https://www.youtube.com/watch?v=OdyZeAJfeGA
[Why Times 정세분석 3284] 미군 공격하는 후티반군 지원한 중국,
“결코 용서하지 않을 것”
출처 : Why Times 2025. 04. 19.
https://www.youtube.com/watch?v=ShuafFi3_p4
"중국 굉장히 위태롭다" 충격적인 중국 정부의 조치 (이욱연, 이철 / 중국 특집)
출처 : 신사임당 2025. 04. 19.
https://www.youtube.com/watch?v=9iVowlfQZjk
김정은, 북한군 파병 대가로 29조원 받았다?! 그 돈 어디에 쓰나? / 북한 군수 공장
풀 가동! 전쟁 특수로 살아난 경제?ㅣ북한동포직접돕기운동 이민복 대표
출처 : 815머니톡 2025. 04. 19.
https://www.youtube.com/watch?v=fJZPmNsmd3w
샤넬백 사러 프랑스로 가는 이유? 샤넬백이 '사치품'이 아니라 '필수품 이라고?"
경제학으로 푸는 명품의 진실 ㅣ 박정호 교수
출처 : 815머니톡 2025. 04. 19.
https://www.youtube.com/watch?v=xzxQ2NWRiNA
지금 아쉬운 소리 하지 마라! 중국 견제 카드로 한국 핵무장?!
트럼프, 결국 허락한다! ㅣ서울대 서균렬 명예 교수
출처 : 815머니톡 2025. 04. 19.
https://www.youtube.com/watch?v=suhSVG00Ijw
“이젠 우리가 판을 흔든다" 미중 전쟁이 불러온 역대급 찬스,
한국의 협상카드 3가지| 김정호 교수 (3부)
출처 : 경제야놀자 2025. 04. 19.
https://www.youtube.com/watch?v=llIHEoQwsGk
"알래스카 LNG부터 동해 대왕고래까지" 한국이 반드시 확보해야 하는건 이겁니다
/ 양수영 전 한국석유공사 사장 (풀버전)
출처 : 와이스트릿 2025. 04. 19.
https://www.youtube.com/watch?v=IujlEGz9Rtg
미 정부와 언론이 은폐한 러우전쟁의 충격적인 진실|진재일 교수 풀버전
출처 : 달란트투자 2025. 04. 19.
https://www.youtube.com/watch?v=cypiTIxb9Ps
"평택보다 한수위" 미국이 숨겨둔 동북아 최강기지. 주한미군 앞으로 이렇게 될 겁니다
|안승범 대표 풀버전
출처 : 달란트투자 2025. 04. 19.
https://www.youtube.com/watch?v=ey80tl7bK7Q
"KF-21 미사일, 엔진 국산화 속도 미쳤다" 예산 확보되면 스텔스 까지.
25년 1단계 엔진, 26년 천룡 미사일 발사 예정 (김민석 특파원 / 3부)
출처 : 웅달 책방 2025. 04. 19.
https://www.youtube.com/watch?v=-KQG9JU5xgs
[여의도튜브] 日 건조이력 없어 "韓 사실상 유일한 대안"
출처 : MTN 머니투데이방송 2025. 04. 18.
https://www.youtube.com/watch?v=jrkqD72gPrM
[여의도튜브] 66년만에 美 역수출 "세계유일 고성능 쾌거"
출처 : MTN 머니투데이방송 2025. 04. 18.
https://www.youtube.com/watch?v=_NMJVXDXJvM
한국이 해결해줬다(feat. 이집트 100년 묵은 난제)
출처 : 디씨멘터리 2025. 04. 18.
https://www.youtube.com/watch?v=bMprvWaZctg
"한국인들은 다 이렇게 해요" 한국 가정집 냉장고마다 들어있는 음식
1억뷰 미국 방송에 등장하자 다 따라 먹는 상황
출처 : why?와이튜브 2025. 04. 18.
https://www.youtube.com/watch?v=JA4mCcmtGpg
“무조건 아웃이었는데...불가능합니다!” 패배 확률 97% 161km 한방 초토화
3분간 이정후 외치며 미쳐버린 5만 관중
출처 : why?와이튜브 2025. 04. 18.
https://www.youtube.com/watch?v=PBwvqDSSqQ8
중국반응│쓰러진 중국 유학생 업고 달려 살린 한국 버스기사님│중국언론들 1면 대서특필!
감격한 중국인민들│너도나도 인증하는 한국미담챌린지
출처 : 중국어로 [路] 2025. 04. 18.
https://www.youtube.com/watch?v=NuYruYrNO48
“전세계 이런 관객들은 처음입니다 ㅋㅋㅋ” 한국인들의 역대급 떼창 못잊고
돌아온 레전드 해외가수, 한국팬들 새로운 행동에 또다시 자지러진 이유..
일본방송 인터뷰가서 한국썰만 풀음
출처 : 쓸모왕 2025. 04. 18.
https://www.youtube.com/watch?v=moZSgg-msLA
“한국야구가 지금 미국 전체를 바꿔놓았죠” 이정후 9회 안타보다 美야구팬들과 전문가들
이 더 크게놀란 한장면, “여기가 한국인가요?” MLB 이정후 긴급 특별방송 “언빌리버블”
출처 : 쓸모왕 2025. 04. 18.
https://www.youtube.com/watch?v=KLKF8vqqZ2k
미중 싸움난 사이 한국이 조용히 중국원조 빼앗아 난리난 중국상황
한국 손들어준 미국제대로 긁힌 주변국들
출처 : 트래블튜브 2025. 04. 18.
https://www.youtube.com/watch?v=JgYtI91jTUE
(속보) 베트남 삼성 공장 하루아침에 증발! 월급 5배 인상 요청한 베트남인들 X된 상황
출처 : 진포터 2025. 04. 18.
https://www.youtube.com/watch?v=oo7xAoXPRCs
[2부] 이제 미국에게 한국 밖에 없는 진짜 이유 l 지금 궁지에 몰린 트럼프에게
가장 필요한 것들
출처 : Peachy 피치 2025. 04. 18.
https://www.youtube.com/watch?v=lZAMDOoLfeo
[Why Times 정세분석 3283] 저사양 AI칩까지 中수출 막은 美, 관세전쟁 반도체로 확전
출처 : Why Times 2025. 04. 18.
https://www.youtube.com/watch?v=8TbMJzfUUMg
[Why Times 정세분석 3282] 트럼프 관세로 마비된 중국, “센척하지만 지금 너무 힘들다!”
출처 : Why Times 2025. 04. 18.
https://www.youtube.com/watch?v=M-B40xpXZ1Y
푸틴이 덫에 빠진 겁니다 러시아 난리난 실제 상황 (류한수 교수 / 풀버전)
출처 : 신사임당 2025. 04. 18.
https://www.youtube.com/watch?v=4fdlF_lDKjc
사상 첫 시진핑 숙청 신호 중국 군대 쿠테타 임박했나 (이철 박사 / 풀버전)
출처 : 신사임당 2025. 04. 18.
https://www.youtube.com/watch?v=Qe-ZVPVf2HA
젤렌스키의 마지막 승부수 러시아가 발칵 뒤집혔다 (류한수, 조의준, 김대영 / 군사 특집)
출처 : 신사임당 2025. 04. 18.
https://www.youtube.com/watch?v=DUDhEO4dNyo
결국 트럼프가 노린 이것, 관세보다 훨씬 끔찍한 게 온다|김정호 교수 풀버전1
출처 : 달란트투자 2025. 04. 18.
https://www.youtube.com/watch?v=VoNnT4UuDjM
트럼프 무시한 푸틴! 러우전쟁 휴전은 끝, 다시 전면전 시작될까? / 중국군,
우크라 전선 참전?” 젤렌스키의 폭로…사실일까, 전략일까?ㅣ상명대 류한수 교수
출처 : 815머니톡 2025. 04. 18.
https://www.youtube.com/watch?v=lYCBhTWpHR8
중동 박살내는 트럼프. 진짜 속셈은 따로 있습니다 (조한범 박사 2부)
출처 : 머니인사이드 2025. 04. 18.
https://www.youtube.com/watch?v=L6f5RKa3Sl0
"제가 직접 들었어요" 미국이 한국에 숨겨온 진짜 본심. 주한미군 지금 난리났다
(김동현 기자 / 2부)
출처 : 웅달 책방 2025. 04. 18.
https://www.youtube.com/watch?v=vLn85i_Xx8o
트럼프가 제조업 부활 외치는 숨겨진 군사적인 이유. 이번에 부정부패 개혁 못하면
미국 망한다 (진재일 교수 / 6부)
출처 : 웅달 책방 2025. 04. 18.
https://www.youtube.com/watch?v=2x8BeP4Drqo
중국 대만 침공 시작하면 주한미군 베이징 초토화 시킨다. 중국은 이제 망했어요
(김민석 특파원 / 2부)
출처 : 웅달 책방 2025. 04. 18.
https://www.youtube.com/watch?v=RE0hd7KxXsE
"여러분은 걱정 안되십니까?" 훈련 안 하는 한국군대 정말 큰일 났습니다
(전인범 장군 / 풀버전)
출처 : 웅달 책방 2025. 04. 18.
https://www.youtube.com/watch?v=W2ZwV49eU4Y
"결혼할 남자가 없어요" 넘치는 러시아 여자들이 한국남자에게 열광하는 충격적인 이유
(류한수 교수 / 4부)
출처 : 웅달 책방 2025. 04. 18.
https://www.youtube.com/watch?v=lCgLdlCcM18
[여의도튜브] '中 원가공개' 태풍 "美 소비자들 난리 났다"
출처 : MTN 머니투데이방송 2025. 04. 17.
https://www.youtube.com/watch?v=uijtbID9EJM
[W디펜스] 美 벙커버스터 '총동원' "후티에 12톤 융단폭격"
출처 : MTN 머니투데이방송 2025. 04. 17.
https://www.youtube.com/watch?v=v54jcRDNlLQ
“2배씩 더 내!” 한국인에 함부로 갑질한 세계 1위 기업의 최후
출처 : 디씨멘터리 2025. 04. 17.
https://www.youtube.com/watch?v=LQuma6tohDM
활활 타고있는 日 엑스포의 희망 일본부흥 기대했는데..
현실은 절망 "수조원 쏟은 시한폭탄이 터졌다"
출처 : 잡식왕 2025. 04. 17.
https://www.youtube.com/watch?v=u8mTZWGv8sQ
“다들 이정후에게 속고 있었습니다” 멀티히트 직전 이정후의 미친기술을 본
美NBC 방송 중계진들이 경악한 이유 “정말 희귀한 기술입니다. 미쳤어요”
출처 : 쓸모왕 2025. 04. 17.
https://www.youtube.com/watch?v=uLymMombglA
편견을 뒤집는 역사지리와 기후의 힘 [2025년 4월 세종포럼 강연]
역사기후연구소 이영철 소장
출처 : 학림TV 2025. 04. 17.
https://www.youtube.com/watch?v=ADo0mcUp1gc
(속보) 베트남 총리 결국 중대발표! 한국 기업 다 쫓아낸 베트남, 현재 X된 상황
출처 : 진포터 2025. 04. 17.
https://www.youtube.com/watch?v=VLjUbj1PyTA
(속보) 태국 현대차 300개라인 동시 증발! 연봉 3배 올리라던 태국 노동자들 X된 상황
출처 : 진포터 2025. 04. 17.
https://www.youtube.com/watch?v=GaZ2mXNRbzA
“아니 이럴 거면 한국에서 열었죠” 역사상 최초 폭동난 일본 엑스포
시민마저 보이콧에 협회 최후 통보
출처 : why?와이튜브 2025. 04. 17.
https://www.youtube.com/watch?v=b21UkIUI-PY
지금 너무 당황스러운 트럼프 상황 l 상상도 못했던 중국의 트럼프 대응 전략과
미중 관세 전쟁 상황
출처 : Peachy 피치 2025. 04. 17.
https://www.youtube.com/watch?v=hqjwqQ7f5OU
“그는 2루타의 신인가?” 이정후 또 다시 팀승리 이끈 멀티히트!
"그가 샌프란시스코 팬들의 심장을 다시 뛰게 만들었다"는 놀라운 이유
출처 : 바이스톰 코리아 2025. 04. 17.
https://www.youtube.com/watch?v=DhGgTVKYiks
600km 실사격 영상 공개되자 급 침묵 | KF-21에 가짜 뉴스 살포하던 중국 몰락
출처 : 꺼리튜브 2025. 04. 17.
https://www.youtube.com/watch?v=wXbJn01gA-0
한국 패싱하려던 트럼프 후회 | 세계 최초로 마하 7 이상 스텔스 미사일 개발
출처 : 꺼리튜브 2025. 04. 17.
https://www.youtube.com/watch?v=6PtfkUh6QXA
[Why Times 정세분석 3280] “미국, 중국 중 하나만 택하라!”
갈수록 강해지는 美의 中 고립전략
출처 : Why Times 2025. 04. 17.
https://www.youtube.com/watch?v=hCDpL2XQGBE
[Why Times 정세분석 3281] 깊은 고민에 빠진 러시아 푸틴,
“봄철 전면 공세 대 실패, 돌파구가 없다!”
출처 : Why Times 2025. 04. 17.
https://www.youtube.com/watch?v=smVwyoOP1qY
한국 대통령 탄핵 발표에 일본이 공포에 빠진 이유 (김태형 소장 / 1부)
출처 : 신사임당 2025. 04. 17.
https://www.youtube.com/watch?v=LiJb_LFrhME
치명타 크게 날린 트럼프, 다급해진 일본 '초비상 사태' (이창민 교수 / 1부)
출처 : 신사임당 2025. 04. 17.
https://www.youtube.com/watch?v=MeEaHhgf1GE
사거리 500km '타우러스', 드디어 우크라로 지원... 러시아-우크라이나 미사일 전쟁
앞으로 이렇게 됩니다 (진재일 교수 / 5부)
출처 : 웅달 책방 2025. 04. 17.
https://www.youtube.com/watch?v=D3UQRyOm8_0
"중국 밥줄 죄다 끊겼다" 미국 한방에 초박살난 중국, 이젠 쫄쫄 굶게 생겼다
(조의준 대표 / 풀버전)
출처 : 웅달 책방 2025. 04. 17.
https://www.youtube.com/watch?v=smjV4w8_HsU
드디어 드러난 트럼프의 진짜 노림수, 중국에 곧 상상못할 일 벌어진다
|김재천 교수 풀버전
출처 : 달란트투자 2025. 04. 17.
https://www.youtube.com/watch?v=6qHX2XHZM4Y
"완전히 멘붕에 빠진 트럼프" 미중 관세 전쟁, 결국 미국이 중국한테 질 수 밖에 없는 이유
| 김정호 교수 (1부)
출처 : 경제야놀자 2025. 04. 17.
https://www.youtube.com/watch?v=clHOHzq55kg
'우리는 지금 > 환경·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K뷰티·바이오 쌍끌이…보건산업 수출 252억 달러 ‘역대 2위’ (3) | 2025.04.17 |
---|---|
1호 글로벌 블록버스터 탄생…줄 서있는 차기 주자들 (1) | 2025.03.10 |
‘초격차’로 K바이오 성공방정식 쓴 삼성바이오...글로벌 투자자 홀렸다 (0) | 2025.01.27 |
삼성바이오로직스 또 ‘빅딜’···연간 수주 5조 돌파 (5) | 2024.12.19 |
K바이오, 中 공백 노린다··· 유럽 최대 전시회서 '수주전' (6) | 2024.10.14 |